그 이상한 허기 속으로 ,
오전에 습관처럼 타인의 블로그에 방문해서 글들을 핥는다. 마치 새로운
먹잇감을 찾아 야금야금 먹고는 입맛을 다시는 하이에나 처럼 . 나는 모니터를 보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어쩌면 모니터 역시도 나를 삼킬 듯이
쳐다보고 있는지 모른다 . 이상한 시선(?) 을 종종 느끼는 터라 , 아예 모니터 상단에 자리한 까만 카메라 렌즈를 종이로 덮어 닫아 놓았다 .
나를 향한 돋보기는 하지 말라면서 나는 남들을 옹색한 구멍 속 쥐눈처럼 눈빛을 반짝이며 보고 있는건 아닌가 ...가끔 그런 생각을 한다 .
인간이 인간성을 가장 잘 드러내는 진실한 순간이 언제일까 ? 인간 생리
욕구의 기본이라는 성욕 , 식욕 , 수면욕 등등 많은 때가 있겠지만 역시나 먹는 순간이 아닐까 ? 그래서 이 이야기는 먹는 기관과 보는 기관을
통해 수줍지만 광포하게도 느껴지는 배설의 기쁨이랄지를 조명하고자 암흑으로 우릴 초대하고 굶기면서 또 준비된 것을 마구 먹이며 이야길 출발하는 게
아닐까 ? 인간성이고 뭐고 굶주림이라는 생의 극지에서 잔혹하게 또는 아름답게 찾아지곤 하는 먹는 인간 이야기 . 이 식당은 그런 인간을
초감각이 발휘되는 것 같은 어둠 속에서 차갑고도 뜨겁게 인간을 면밀히 관찰한다 . 코 앞에 작은 접시 하날 던져주면서 ...그럴 때 나는 순수한
열정을 가진 동물이 되는건지 모른다 . 인간을 포함하는 카테고리의 짐승 . 입을 크게 벌린 부등호 .
나는 먹는 인간이면서 또 뱉는 인간이다 . 철저히 내 욕망은 숨기면서
남의 것은 보고자 하는 일그러짐을 가진 . 아무도 안 볼때는 어쩌면 글 속의 그녀처럼 눈 위에 버려진 퉁퉁불은 라면가닥을 주워먹는 ...먹는
기관과 보는 기관을 통한 배설의 기쁨 . 딱히 배설과 관계된 문장은 없지만 , 보고 느끼는 감각 자체가 내겐 배설의 행위로 읽힌다 .
파리의 암흑식당 이름은 '뒤땅 뻬르디' 였다 . 안내해준 지인에 따르면
' 잃어버린 시간'이라는 뜻이라 했다 . 암흑식당의 본래 취지가 절대미각을 경험하는 것이니 센스 있는 작명이란 생각이 들었다 .
검은
천막 뒤의 뒤땅 뻬르디 안은 온통 암흑천지였다 . 먼지만한 빛조차 허용되지 않는 그곳에서 접시를 더듬고 , 음식을 만지고 , 냄새를 맡고 ,
물을 따르고 , 냅킨을 챙기는 일은 온몸의 말초신경까지를 동원해야 가능한 일이었다 .
ㅡ본문 42 쪽 ㅡ
파리의 한 식당 컨셉을 따라 김이 낸 식당을 사람들은 세탁선이라고 부른다
. 그 역시 19세기 파리 센느 강을 오르내리던 세탁선에서 발동한 의미이다 . 먹는 행위가 궁극적으로 그런 힘을 발휘한다는 좀 더 치밀한 들여다
보기를 통해 , 가난으로 더는 자신에게 가진 것이 없는 한 여자의 순수한 힘 , 내재된 기능들을 보여주는 단편이란 기분이 들었다 .
거기에 들이 댄 카메라에서 느껴지는 물성의 차가운 감각보다 더 차갑게 찾아지는 생의 이상한 허기를 ' 암흑식당' 에서 읽는다 . 맛있는
단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