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성이랄까 영재성이랄까 기발한 번뜩임 같은것은
어릴적에 모두들 가지고 있는 건데 환경이 교육이 사회가
제도가 양식이 그 틀을 막아 버리는 것이 아닐까...
너무 뛰어난 사람들이 많으면 곤란하니까 사회 나 가정
그 일정한 교육과 테두리에 양식을 두고 이른바 가정교육
이라던가 학교면 학교 사회면 사회성 을 발달시켜가는 과정에
자연 도태되도록 그렇게 된건 아닌지 ..

가끔 기발하게 ㅡ별 교육적 성과없이 부모가 치맛바람에
열 올리지않아도 천재성을 번뜩이며 그림을 하는 아이들을
보곤 하는데 그런때마다...아..이 아이들은 정규 교육에
들면 안되겠다...그럼 틀에 갇히겠다..
그런 걱정이 불쑥 들때가 있거든...사회성을 위해 스스로
자신의 천재성을 죽일수도 있을테니..물론 선택은 스스로
하는거지만...

용은 잠들다 ㅡ를 읽으며 ㅡ신지와 나오야 의 능력이 남의
생각이 여과없이 들리고 하는 것이니 만치 꽤나 고통스러웠을
텐데..그걸 신지는 사명처럼 받아든 반면..좀 더 넓은 의미의
운명론자 에 가까운 ㅡ끝까지 책임을 다 할 수없다면 ㅡ암것도
하지 말아야한다는 나오야의 의견 대립이 흥미로웠는데. ..
결국 ㅡ나오야는 신지가 지키려던 것을 위해 싸우다 치명적
으로 힘을 쓰고 또 결국 죽음에 이르게 돼
그렇지만 ㅡ나오야는 웃으며 갔다지..ㅡ자신이 뱃속 아이를
구했다는 뿌듯함을 가지고 ㅡ 아마 자신의 능력이 뭔가를. .
해낼 수 있었던 데서 온 소감 아닐까 싶다

원래 우리 인간은 모두 서로 소통이 되었던게 아닐까
말과 글이 있기도 전ㅡ 생각과 몸짓 만으로도
대화하던 때가..ㅡ있었던게 아닐까..
그건 ㅡ부작용으로 인류가 너무 위험해지니까 ㅡ서서히
잊혀지고 사라진건 아닐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리미 2015-12-31 23: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바벨탑 이야기가 생각나네요. 사람들이 너무 똑똑해져서 신을 위협하니까 서로 다른 언어를 만들어서 소통하지 못하게 하였다는....
제가 종교적인 내용은 잘 모르지만요 ㅎㅎ

[그장소] 2015-12-31 23:27   좋아요 0 | URL
음 ㅡ인류가 나뉘고 언어가 나뉘었던 시작을 말하시는 모양 ㅡ예요.
저도 종교는 그닥 ㅡ인간의 잠재성을 저도 그리
봤어요.철학으로가면 성악설이니 성선설이니 하겠죠...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