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강의 중에서

절을 하는 것은 그림이나 조각에게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하는 것입니다.

어떤 종교든 최고의 이치는 마찬가지입니다.

다른 사람이 자신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이 스스로를 구합니다.

일념으로 공경심을 다했다면 그림이 진짜 부처니 아니니 말 할 필요가 없습니다.

나로 인해 그대들이 공경스럽게 되는 것(因我禮汝)입니다.

그것은 부처에게 절 하는 것이 아니라 곧 그대 자신에게 절하는 것입니다.

자신의 마음, 즉 자신의 誠 과 敬 입니다.

ps: 며칠간 몹시 아팠다.

아이의 수술과 감기로 걱정하던 마음을 놓아서 였는지, 이번엔 내가  감기 몸살로 된통 앓았다.

지난 일요일엔 백련암도 못가고, 가까운 통도사에 가서 삼백배만 하고 돌아왔다.

매일 하던 600배의 일과를 이번주엔 한번도 못했다.

처음 노는 토요일이라 주말엔 가족 여행도 계획했었는데, 내가 아픈 바람에 무산되었다.

이제 좀 나은 것 같아서 월요일부터는 조금씩이라도 일과도 시작해야겠다.

남회근 대사의 금강경 강의는 정말 너무 재미있어서, 그가 쓴 주역강의와 역경 잡설도 시간이 나면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니르바나 2005-04-01 08: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혜덕화님, 이제는 감기 몸살기운이 다 나으셨는지요.
최근 감기는 기본이 일주일에, 보름이 넘어서 한 달을 가는 독한 놈들도 많더군요.
마음도 그렇지만 몸도 아파 보아야 소중한 것을 알게 되어 잘 살피게 됩니다.
잘 맞는 신발만 신으면 발의 존재를 잊듯이요.
가끔은 부모님이 아파야 자녀들도 부모님의 은혜에 대해 생각하지 않을까요.
이를테면 자녀들의 공부꺼리인 셈이지요.
수행에 열심이신 혜덕화님의 글을 읽으며 저도 한 공부 하고 있습니다.
혜덕화님의 몸맘의 건강을 멀리서 빌어봅니다.

혜덕화 2005-04-01 12: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이번 감기는 얼마나 지독한지 겉으로 보기에도 몰골이 말이 아니었습니다.
어제저녁에도 겨우 밥만 챙겨 먹이고 8시 30분부터 잠이 들었는데, 눈뜨니 아침이더군요. 조용조용 움직여준 가족들에게 미안하고 고맙더군요.
수행에 열심은 아니구요, 열심히 하려고 하는데 몸이 말을 듣지 않아 일과를 아직도 시작도 못하고 있습니다. 마음가는데 몸간다고 말로 되뇌이면서도, 막상 몸을 따라 마음이 가버리니..........
맛있는 점심 먹고 힘내려고 합니다. 즐거운 오후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