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밤중에 잠깨어 - 한시로 읽는 다산의 유배일기
정약용 지음, 정민 엮음 / 문학동네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밤에 잠이 들어 아침까지 일어나는 것도 참 행복이다. 늦은 밤까지 잠을 청해도 오지 않고, 눈을 감아 잠이 들었다고 여기다 갑자기 눈을 뜨면 창밖으로 보이는 하늘은 아직도 컴컴하기만 하다. 인간의 잠자리에서 보통사람도 그러하나, 가끔 집에 우환이 있으면 어떠하랴? 한밤중에 잠을 깨면 이렇게 할 것도 없이 잡념만 무성하다. 일상생활에서 이런 상황이 제법 길지 않아도 답답한데, 만약 집에 우환이 있거나 아니면 자신의 처지가 곤란한 지경에 있다면 어찌 해야 할까?

 

20177월 초반에 나는 강진군 도암면 귤동마을에 위치한 다산초당에 다녀왔다. 다산초당이라고 하면 한국 대표 실학자이면서도 유학자, 그리고 민족의 등불인 다산 정약용 선생이 기거하신 곳이다. 다산초당이 문화관광지로 유명하나, 막상 가면 화려하지 않은 곳이다. 시골에 한적한 만덕산 산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다산초당의 주인이던 윤단의 후손은 아직도 거기서 선조의 땅을 지키고 있다. 정약용 선생이 여기 유배오면서 많은 혜택을 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가 혜택을 입어도 하더라도 그런 일들은 차라리 겪지 않을 것이다. 정약용은 1801년 신유사옥으로 인해 장기현으로 유배가고, 형님의 사위인 황사영의 백서사건으로 다시 의금부로 끌려와서 모진 형을 받아야 했다. 백서사건에서 둘째 형인 정약전을 마지막으로 보고 그는 먼 강진 땅으로 다시 유배를 가야했다. 신유사옥에서는 셋째 형과 매형을 잃고, 자신의 친구와 동지들을 잃어야 했다. 조선사에서 천주교박해사건인 신해사옥은 단순히 가톨릭 교회사로 보는 게 아니라 조선 붕당정치에서 상대진영을 몰살시키기 위한 정치적 전략이었다.

 

장기와 강진이란 곳에 가면서 땅과 물이 몸에 맞지 않았다. 그나마 강진은 농촌과 어촌이 같이 있지만, 장기현은 전형적인 동해바다가 인접한 마을이다. 장독이 언제나 밀려오고 음식 맛도 맞지 않았다. 찾아온 이도 없고, 찾아갈 이도 없이 하랄 것 없이 방안에서 슬픔에 젖어 하루를 보내고 있다. 인간에게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비극이 온다면 보통 사람들은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지 못해 미치고 만다. 가족과 친구들이 몰살당하고, 자신 역시 고문에 지쳐 폐인이 되었다.

 

먼 길을 떠날 때 가족을 언제 다시 만날지 기약할 수 없으며, 늙으신 집안어른들은 죽기 전에 볼 수 있을까 하는 슬픔으로 눈물을 훔친다. 유배가기 전에 떠오른 풍경에서 정약용 선생이 느낄 앞날이란 어떤 것일까? 조선시대 유배에 대해 생각하면 한양에서 거리가 멀면 멀수록 그 죄가 크다. 게다가 유배는 사형의 아래 단계에 위치한 형벌이다. 죽을지도 모르는 운명 앞에서 겨우 명줄만 보존했다. 게다가 천주학쟁이란 오명을 받아 시골오지로 내려가니 동네주민들이 바라보는 시선은 마치 괴물 1마리가 마을을 덮치는 것과 같았다.

 

슬픈 일에 힘든데, 외로운 시간은 더욱 괴롭다. 마재에 있는 집안에 가족들의 얼굴을 생각할 때마다 눈물이 흐르니 그 슬픔 어찌 하면 좋을까? 다산 정약용 선생이 유배지를 머물면서 잠들지 못해 남긴 시들을 모아 만든 <한밤중에 잠깨어>는 다산 정약용 선생이 살아오면서 느낀 감정과 회한을 엿볼 수 있는 서적이다. 개인의 심정을 바라보면 그 안타까움 마음과 슬픔을 200년이 지난 지금도 느낄 수 있다. 다산 정약용 선생이 사람들은 민족의 위대한 인물이라 하나, 그가 겪은 아픔과 고통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 않는다.

 

<한밤중에 잠깨어>는 다산 정약용 선생이 인생에서 가장 힘든 유배생활을 할 때 남긴 시들이다. 다산초당에 기거하게 되면서 그나마 힘든 생활을 하지 않게 되었다. 강진에 오면서 바로 다산초당으로 가지 않았다. 사의재에 머물면서 초라한 주막에 외로움을 달랬다. 우연히 아버지 친구인 윤광택이 자신의 조카 윤시유에게 명을 내려 은근히 찾아와 위로해주었다. 강진에 머물면서 외가의 친척이 다산초당 주인이기에 운 좋게 들어갈 수 있었다. 다산초당은 강진군 도암면에 위치하고, 도암면에서 서측으로 가면 해남군이 위치해 있다.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는 녹우당이 있고, 거긴 다산의 외갓집이다.

 

다산초당, 녹우당, 그리고 친구 겸 사돈인 윤서유의 도움으로 다산은 적막한 외로움과 슬픔에서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었다. <한밤중에 잠깨어>를 읽은 후 다른 시집을 읽으면 기분이 다르다. 특히 다산초당에 머물면서 남긴 시들은 그나마 낙천적 요소를 읽을 수 있다. <한밤중에 잠깨어>는 오히려 그가 제일 힘든 시기에 남긴 글들이다. 가장 찐한 글은 집에 하인이 찾아와 물품을 전달할 때, 정약용 선생의 어린 아들이 밤을 넣어 보낸 것이다. 많은 자녀를 낳았지만, 남은 자식은 31, 그나마 막내아이조차 유배지에서 부고를 접한다.

 

먼 지역에 있으면 가장 그리운 것은 가족과 친구들이다. 나도 군대 훈련소에서 밤늦게 혼자 보초를 서면서 집에 있는 가족들이 생각났다. 몇 개월 동안 보지 못해도 그리운데, 18년 동안 강진에 머문 정약용 선생은 오죽할까? 자신을 아껴주던 학자군주 정조대왕, 그리고 많은 동지들까지 생각하면 마음속에서 한탄만 더해간다. 자신이 원한 이상적 유학이란 백성들이 배고픔에 괴로워하지 않고, 세금이 무서워 가난에 찌들어가지 않은 것이다. 백성들이 가렴주구한 관리로 인해 고통의 눈물이 마르지 않았다.

 

이런저런 일들이 계속 머릿속에서 맴돌며 다산의 가슴은 타들어간다. 그냥 잠을 청해도 오지 않으니 나그네가 할 수 있는 것이란 자신의 불평을 시로 옮기는 일밖에 없다. 당시에 남긴 시조는 다산 정약용 선생의 마음이나, 후대에 내려온 이 글귀들은 아주 훌륭한 한국 문학 자취들이다. 내년 2018년이면 다산 정약용 선생이 강진에서 해배되신지 200년이 된다. 다산이 떠난 지 200년이 넘은 강진을 돌아보면 여전히 다산의 흔적이 사라지지 않고 오히려 지키려고 한다. 그런 아픔을 겪은 다산이기에 <한밤중에 잠깨어>에서 보인 그분의 마음은 아련할 수밖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