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정약용 유배지에서 만나다 교양 교양인 시리즈 4
박석무 지음 / 한길사 / 200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대학교 동아리 활동을 녹차동아리에서 하였다. 이름은 지산다우회라고 작은 대학교 안에 있는 작은 찻잔이 있는 작은 동아리이었다. 그곳에서 대학교 3학년과 4학년을 보내며, 마지막 대학 청춘을 보낸 곳이다. 그러나 내가 대학교를 졸업 후에 군간부로 복무하던 중에 인원이 없어서 폐부된 것으로 인해 나의 마음을 심하게 아프게 한 추억이다.

일단 여기까지 나의 대학 추억담을 올려 놓으면서 저 위에 소개할 "다산 정약용 유배지에서 만나다"와 무슨 관계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분명 관계가 있다. 아주 깊고 깊은 관계가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내가 있던 녹차동아리에서 차의 인물로 꼭 등장시킨 역사적인 사람이 있었다. 18C 조선 후기 불교계의 거승이며 현학자인 아암 혜장 스님과 19C 한국 최고의 다인인 초의선사와 그의 친구인 추사 김정희 선생님, 그리고 이 3명의 다인에게 스승으로 존대받은 다산 정약용 선생이 있었기 때문이다.

다산 정약용하면 한국 정치, 철학, 사상, 문학, 의학 등 많고 많은 학문을 발전시킨 인물이다. 한국에는 이런 말을 들은 적도 있었다. 한국 철학사상의 마지막으로 나오고 그 집합되는 사람이 다산 정약용이라고, 물론 그 이전이나 그 이후에도 훌륭한 분들은 꾸준히 나왔다. 그러나 다산 정약용이란 인물이 한국 정치사상사에 끼친 영향은 매우 지대하다는 사실이다.

게다가 그의 가렴주구로 병들어 가는 불쌍한 백성들에 향한 애정은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 베트남과 같은 다른 나라까지 가지 않았는가? 월남전이 발발할 때 베트콩의 지도자인 호치민은 다른 것을 다루 내버려 두어도 다산 정약용 선생의 목민심서만은 가지고 다녔다. 물론 월남전은 미국이 1964년 베트남 동쪽 통킹만에서 공작을 펼쳐 일어난 일이었으나 적어도 이 전쟁에서 승리로 이끈 호치민이 어떤 지도자였고 그 지도자가 그토록 중시하던 것이 무엇이냐에 대해 우리는 생각해 봂 필요가 있다.

그 호치민이 가슴 속에 품은 목민심서, 이 목민심서의 위대함은 그저 단순히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이 목민심서를 만든 다산 정약용은 조선 후기 영조시절에 양반가문에서 태어나 얼마든지 권력을 누리고 편하게 살 수 있었는데도 그렇게 하지 않은 열렬한 충신이었기 때문이다.

"다산 정약용 유배지에서 만나다"는 다산 정약용의 일대기와 그의 인생에 대해 고찰한 서적으로 다산 정약용이란 인물이 얼마나 자신보다 약한 백성들을 사랑하는지 얼마나 그 시대의 비틀림에 통곡했는지 얼마나 그 분이 어긋난 권력 앞에서 시련을 당했는지 우리는 절실하게 다가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다산 정약용 선생이 강진으로 유배가는데, 어느 농민이 관에다가 세금(군포세)을 제때 납부하지 않아 집에 하나뿐인 재산인 소를 강제로 빼앗겼다. 그리고 그 농민은 자신이 가난하고 힘이 없다는 분노와 자신이 후사를 낳아 이런 부당한 일에 당한 것에 자괴하여 낫으로 자신의 남근을 베어버렸다.

그 농민이 자신의 신체를 날카로운 낫으로 베어 방안에서 시름하고 있을 때 밖에서 남편의 신음소리를 들은 아낙네는 방에 급히 들어오 보니 자신의 남편이 고통스러워 하는 장면을 보았다. 그리고 그 아낙네는 자신의 남편이 베어버린 남근을 손에 잡고 그 피가 줄줄 흐르는 슬픈 남편의 남근을 잡고 관아에 달려가서 자신의 억울함을 호소하였다.

그러나 관아에 가서 호소만 하면 무엇하리, 관아에 퍼져 나가는 젊은 아낙네의 울음 소리는 동네방네를 돌아가나 높은 담으로 쌓인 관아에는 콧털하나 꿈쩍하지 않는다. 그리고 아낙네는 남편의 남근을 잡고 집으로 돌아가며 서럽게 울며 돌아갔다고 한다. 이것이 바로 그 유명한 "애절양"이라는 한국 국문학의 대표적인 작품의 탄생배경이다.

최근 75만원 용역에 300~400원 식사비를 제공받는 용역하시는 할머니와 아주머니의 슬픈 기사를 보았다. 물론 내가 보고도 직접 도와주지 못하는 점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면 내 자신도 그런 위선자일지도 모른다. 그런데 그런 사람들이 힘겹게 일을 하고 대우조차 받지 못한채 일자리에서 내몰리는 것을 본다면 위에서 보는 애절양과 무엇과 다르랴?

그런데도 세상은 그분들을 딱하게 여기지 못할 망정 그들에게 야유와 멸시를 보내는 이마져 있으니 참으로 슬프고도 원통하고도 분노가 넘치는 일이다. 다산 정약용 선생, 그는 분명히 한 시대를 풍미하고 그 심한 박해속에서도 자신의 의지를 굴하지 않은 불멸의 인간이다. 하지만 그분의 위대하고도 아름다운 정신은 여전히 되찾지 못한채 이렇게 허무하게 지나가니 비극이 아닐 수가 없다.

이 책에서 나온 어느 시조를 인용하여 각박한 세상이 단군시대보다 못한 것 같으니 정말 답답하기 짝이 없다. 그런다고 다산 정약용 선생이 원한 세상을 포기해서는 안된다. 그저 조금 조금씩 바꾸어 가야 하는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