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인과 제왕 - 문화인류학 3부작 ㅣ 넥스트 3
마빈 해리스 / 한길사 / 200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마빈해리스는 몇년 전에 작고하신 저명한 교수님이다. 필자가 마빈해리스라는 문화인류학자를 알게된 계기는 코스프레에 대한 공부를 시작하면서 알게 되었다.
코스프레가 왜 식인과 제왕이랑 무슨 관계가 있을까 하지만, 그것은 인간이 사회를 만들거나 만들기 이전에도 인간은 자신들만의 가치관을 가지고 살았다.
고대 인간들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이란 단순히 여흥을 가지면서 이야기하던 내용이 아니다.
현대사회의 인간은 우수한 과학기술과 문명을 통해 많은 혜택을 받고 살고 있지만, 당시 인간들은 질병, 재해, 기아, 맹수들의 공격으로 항상 생명에 대한 위험을 받고 있었다.
현실에서 얻을 수 없거나 혹은 부족한 면이 없으면 인간은 인간 내부 심리적으로 뭔가 현실에서 얻을 수 없는 간절한 소망을 갖는다.
그런 점에서 고대 인류의 주술행위나 코스프레에 대해 근본적으로 별반 차이가 없는 것으로 생각든다.
인간은 자신들의 부족한 점을 채우기 위해 항상 뭔가를 만들어가기 시작한다. 특히 제목 첫부분에 식인이란 말처럼 인간을 먹는 행위는 상당히 위험하고 잔인한 행위이다. 하지만 이런 행위 자체도 하나의 문화로서 그들의 생존과 관련된 문제이다.
부족한 단백질을 인간의 고기로부터 얻고, 자신들의 국가가 아닌 다른 부족이나 국가에 대한 침입과 공격에 대비하거나 혹은 그 다른 국가와 부족에 대해 위협함으로서 자신들의 부족을 지킬 수가 있다.
또한 국가가 형성되면 국가체계에 있어서 신분이 결정되어진다. 신분은 통치하는 사람으로부터 통치받는 사람들까지 다양한 요소로 나누어진다. 제왕은 이런 국가체계에 있어서 부족들을 이끌어갈 존재다. 그들은 단순히 부족사회 구조에서 군림하기보단, 그 군림을 하기 위해 막대한 재력과 정신적 에너지를 투입한다. 왕국은 부족장이 통치하지만 그 통치자는 부족들을 이끌기 위해선 부족원들을 어루만져야 했다.
이런 다양한 고대부족과 원시부족에 대한 이야기, 현대사회에 살아가고 있는 서구인들이 바라보는 원시부족에 대한 편견을 이책에선 올바른 관점에서 해석하여 우리의 사고를 전환하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