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문화의 수수께끼 오늘의 사상신서 157
마빈 해리스 지음 / 한길사 / 199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필자가 가장 좋아하는 학자 중에서는 마빈 해리스 교수가 있다. 비록 몇년 전에 작고하신 분이지만, 그 분의 도서를 읽을 때마다 내 머릿속은 왜 우리는 항상 서로를 대해 이해하려고 하지 않고 편파적인 사고를 가지게 될까에 대해 아주 분석적으로 나열해 주고 있다. 우리 인간은 태어나면서 자신이 자라난 곳에서 살아오면서 거기에 적응하기 때문에 그 사회에서 자라온 인간은 그 사회에서 배운 모든 가치관이나 생활습관 그 자체가 하나의 인생관으로 잡혀 버린다.

그래서 인간이란 각 나라나 인종, 지역, 지형에 따라 각각 다른 모습으로 오늘 날을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그 각각 가지고 있는 속성이나 환경이 너무나도 다르기 때문에 거기에 대한 다른 인간이 보는 느낌은 매우 신기하고 이상하고 낯설고 한편으로 증오스럽고 미우며 괴로울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모든 인간이 같을 수가 없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이다.

일단 우리가 어디 멀리 여행을 가거나 이동할 경우 가장 먼저 이야기하는 내용이 있다. 그 나라나 지역에 있는 음식이나 물맛이 안맞는다라고, 아마 우리 인간이 다른 지역이나 나라에 갈때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것은 그 나라와 지역의 문화적인 현상들이며, 그 다음으로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 필수적인 음식물들일 것이다.

처음에 처음보는 사람들과 모습들은 어느 정도 우리는 마음속으로 준비된 자세로 임하므로 지나친 혐오감이나 적대감을 가지지 않는다. 하지만 문제는 음식에 들어가서부터 시작이다. 음식이란 우리가 살아가는 주변환경과 문화역사적인 흐름에 따라 상당히 다르다. 예를 들어 인도에서는 소고기를 먹지 못하는데 반해 이슬람국가에서는 돼지를 먹지 않는다. 또한 미국이나 유럽국가에서는 개고기를 먹지 않는다.

그래서 최근까지도 한국이나 중국에서 개고기를 먹는 것에 대해 서구사회에서는 미개인 취급하지만, 그것에 대해 항의하는 서구사회의 사람들이나 혹은 거기에 동의하는 한국사람이나 둘 다 편파적인 문화오류에 빠진 사람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개가 인간의 친구임은 분명하나 그 친구가 때에 따라서는 식량으로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그들은 인정하지 않으려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지금 한국은 육식생활습관이 많이 형성되어 있으나 과거에 육식을 제대로 사람들이 섭취할 수 없었다. 그리고 육식을 섭취하지 못하면 인간의 생명에 필요한 단백질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했다. 한국 근대사까지 복날이나 혹은 특별한 날에 개를 때려 잡아 죽여 그 개고기를 먹었다고 한다. 단지 너무 잔인하게 구타하여 한번에 죽이지 않은 것이 비인도적이나 우리나라 사람들이 개고기를 먹는 이유는 살아남기 위해서였다.

과거 한국사회에는 공업이 우선되는 국가가 아니라 농업을 중심으로 하던 국가였다. 농업국가에서는 토지당 비율적으로 쌀이나 보리 등과 같은 곡식이 많이 생산되지만, 이에 반해 단백질들은 한계가 있었다. 물론 콩과 같은 식물들은 단백질을 공급해주었으나 그 단백질들 성분들 중에서 많은 한계점에 봉착되어 있었다. 콩에서만 흡수되는 단백질은 한계가 있었고 나머지 단백질들은 동물의 고기로만 통해 얻을 수가 있었다.

그래서 그 방법이 개고기였다. 특히 복날과 같은 경우 아주 날이 더운 여름철에 개고기를 먹기 시작했다. 여름철에 개고기를 먹은 이유는 아마 단백질의 효과적인 흡수였을 것이다. 그 이유는 여름철에 아주 더운 햇살과 햇빛에 인간이 노출되면 인간세포가 파괴되기 쉬운데, 이 세포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인간은 멜라닌 색소를 만들어 내야 한다. 그러나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려면 단백질이 필요하다. 그래서 개고기를 먹어 단백질을 충분히 공급하여 더운 여름철에도 농사를 무사하게 짓을 수 있었던 것이다. 물론 한국인들은 농사가 주요 생산수단이므로 개가 아닌 야생 멧돼지, 산토끼, 꿩을 잡아 먹었으나 그 수는 한정되어 있었다.

그런 점에서 상대 국가나 민족, 인종에 대해 그 먹는 것이 나쁘다고 보는 것은 상당히 잘못된 관점이란 것이다. 물론 인간이 인간을 먹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윤리가치나 고대 아즈텍 국가에서는 인구수는 아주 많으나 주변에 잡을 수 있는 단백질 공급원인 동물이 없었다. 그래서 그들은 단백질 공급을 위해 인간의 살을 먹기 시작한 것이다. 우리 현대문명국가에서는 미개인 내지 잔혹한 인간으로 보겠지만, 그들은 그들이 살아가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었다.

그런 먹는 것에 대한 혐오감과 편식성에 대해 이 음식문화의 수수께기는 상세하게 거론하고 그 이유를 밝혀낸다. 심지어 종교교리에 언급된 식사까지도 왜 그렇게 터부시 되었는지도 나온다. 우리가 절대적으로 생각하는 이념이나 관념조차도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필연적인 역사와 현상이 따랐다는 것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편견과 고정관념이 음식으로 통해 배타적인 모습으로 나오지만, 그 뒤면에 감추어진 각 인간들의 생활과 자연환경에 대해 조금 더 생각해 볼 일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