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이라는 멋진, 거짓말 - 어쩌다 보니 황혼, 마음은 놔두고 나이만 들었습니다
이나미 지음 / 쌤앤파커스 / 2021년 2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305/pimg_7752852942863822.jpg)
너무나 화사하고 눈에 띄는 예쁜 표지로 포장된 책이 오히려 담담하게 인생의 마지막, 죽음을 얘기하고 있어서 책의 제목 <인생이라는 멋진, 거짓말>이 무슨 의미인지 어렴풋이 눈치채 가고 있다.
아주 어릴 때 병아리의 죽음을 보고 쓴 신해철의 <날아라 병아리>라는 노래가 40이 넘은 이제야 나는 절절해 지나보다.
지금은 보내는 입장으로 책을 읽지만, 시간이 금세 흐르고 나면 나도 어느 날 남겨질 자식들과 후대를 생각하며 읽게 되겠지.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305/pimg_7752852942863823.jpg)
그동안 40대를 넘어서고 나니, 이제야 책들이 말하는 것을 내가 어느 정도 알아먹고 있는 나이는 된 것 같다는 생각도 잠시 했었다. 그러나 이 책 앞에서는 아~~ 나는 아직 신생아에 불과하구나~ 하고 이 책을 대한다.
직접적인 죽음에 대한 얘기들은 거의 처음 진지하게 들여다보게 되었기 때문이다.
비단 죽음 앞에서만이 아니라 인생에서 일상을 무너뜨리는 큰 사건들을 마주할 때에도 조금은 깊고 크게 보는 시선을 이 책에서 배우리라.
어쩌다 보니 황혼
마음은 놔두고 나이만 들었습니다.
어른이 채 되기도 전에 노년으로 저물어가는 수많은 모순과 허무함 속에서도 여전히 계속되는 삶에 대하여
그러니 나의 사랑하는 벗, 같이 늙어가서 참 고마운 벗이여. 이 책을 들고 읽거든, 조악한 흔적을 완벽하게 지울 수 없는 어떤 평범한 사람이 세상과 가족들에게 자신의 보잘것없는 삶과 죽음에 대한 장황한 변명 비슷한 것 적어두었다 생각해 주면 좋겠어.
p 241 유쾌하고 따뜻한 유언장을 준비하는 나의 벗에게 중에서
죽음 앞에서 우리가 놓치고 있는 가장 작은 것보다 더 작고, 가장 큰 것보다 더 큰 것은 무엇일까?
이 책 저자는 60이 넘은 나이이고, 내 입장에선 가보지 않은 길을 가본 멘토가 되지만 친정엄마 입장에선 아주 어린 동생이고 청춘이라고 생각되실 테니 나이라는 것, 참 상대적이라는 생각을 하기도 했던 것 같다.
만약, 이 글이
내 어머니가 쓴 글이라면 어떨까?
시작부터 왠지 그런 생각이 들었다.
일평생 우리의 엄마로 아내로만 살았던 엄마가
조금은 다르게 자신만의 전문직을 가졌었고
이렇게 작가였다면 ~ 지금쯤 나에게
무슨 얘기를 들려주고 싶으실까?
엄마에게 듣는 말들이라 생각하면 먹먹하고
더 감사하고 소중했다.
노인에 대한 공감 역이 없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미래에 대한 공감력이 없다는 뜻이다.
저자가 60대에 겪는 노화에 대한 힘듦을 얘기할 때마다 부모님 생각이 났다. 그 과정도 더 지나서 더 힘든 몸으로 살고 계신 부모님을 곁에서 챙겨드리고 싶은 마음도 커졌다.
노년의 경제적 힘듦과 불안이 생각보다 크게 자리했다. 그리고 그보다 더 큰 것은 이제 자신이 쓸모없고, 자신 있는 일도 없고, 사회에 뒤처지며 모든 게 시들해져 간다는 우울감이다.
자식이 해드릴 수 있는 것이 용돈 많이 드리는 일도 크겠지만 가까이서 작은 불편함 들을 좋은 방향으로 바꿀 아이디어나, 체력 등이 젊은 우리에게 많으니 나눠 드려야 하는데 손주만 봐달라고 내맡긴 것은 아닌지 반성하게 된다.
저자는 누구에게도 기대지 않고 오롯이 어른으로 스스로 해내길 바랐지만 자식 입장에서는 함께 사는 것도 아니라 그렇게 아무것도 해드리지 못하면 보내드릴 때 너무 큰 한이 될 것만 같다.
살아 계실 때 자주 찾아뵙고, 만지고 끌어안아보며 엄마 냄새를 기억하고 싶었다.
노인에 대한 공감 역이 없다는 것은 결국 자신의 미래에 대한 공감력이 없다는 뜻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305/pimg_7752852942863829.jpg)
저자가 60대에 겪는 노화에 대한 힘듦을 얘기할 때마다 부모님 생각이 났다. 그 과정도 더 지나서 더 힘든 몸으로 살고 계신 부모님을 곁에서 챙겨드리고 싶은 마음도 커졌다.
노년의 경제적 힘듦과 불안이 생각보다 크게 자리했다. 그리고 그보다 더 큰 것은 이제 자신이 쓸모없고, 자신 있는 일도 없고, 사회에 뒤처지며 모든 게 시들해져 간다는 우울감이다.
자식이 해드릴 수 있는 것이 용돈 많이 드리는 일도 크겠지만 가까이서 작은 불편함 들을 좋은 방향으로 바꿀 아이디어나, 체력 등이 젊은 우리에게 많으니 나눠 드려야 하는데 손주만 봐달라고 내맡긴 것은 아닌지 반성하게 된다.
저자는 누구에게도 기대지 않고 오롯이 어른으로 스스로 해내길 바랐지만 자식 입장에서는 함께 사는 것도 아니라 그렇게 아무것도 해드리지 못하면 보내드릴 때 너무 큰 한이 될 것만 같다.
살아 계실 때 자주 찾아뵙고, 만지고 끌어안아보며 엄마 냄새를 기억하고 싶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305/pimg_7752852942863830.jpg)
젊지도 늙지도 않은 나이 60 이후~
몸으로 자원봉사를 하기엔 왠지 걸리적거리고, 후원금이나 많이 내는 사람이 되어주길 사회가 바라는 것 같다고 말하며, 자신의 나이를 담담히 받아들 이 되 적극적으로 살아가기를 스스로 다짐하고 있다.
저자는 생로병사 중에 생노병은 자신의 병환과 가족을 통해서, 사는 병원 환자들과 그 가족들을 통해 가까이서 지켜본 사람으로서 인생을 말하고 있고, 저명인사들의 마지막 죽음에 대한 태도들이 많이 실려있다. 이 모두가 죽음을 미리 잘 준비하는 과정에 진정한 행복도 있음을 보여주었다.
열심히 살았던 서울대 의사, 교수, 분석가이자 평범한 엄마, 그리고 할머니이기도 하다. 어떠한 길을 걷고 있든 언젠가는 마지막 날이 있는 우리와 똑같은 사람으로 저자가 좋아했던 문학가들이나 과거의 위인들도 맞아야 했던 마지막 죽음에 관한 얘기들을 가볍지 않게 담담히 말해주고 있다.
책이 말하는 죽음을 통해 나의 죽음을 생각하기보다는 자연스레 엄마의 죽음을 생각해 보게 된다.
49년생의 엄마 평생 그다지 행복한 모습을 보지 못했다면, 생의 마지막이라고 하는 죽음만큼은 정말이지 엄마가 마음 편히, 눈 감으시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그러기 위해 나는 무엇을 도와드릴 수 있을까?
어려서부터 노인들과 함께 살았던 과거 세대와 달리 21세기 젊은이들은 노년이 무엇인지 모른다. 젊을 때 자신의 노년을 상상할 수 있어야 지혜롭게 젊은 시간의 가치를 안다.
나 역시 결혼 후, 부모님과 떨어져 지내며 어쩌다 한 번씩 친정을 찾으니, 엄마를 잘 모른다. 어떤 것들을 살펴드려야 하고, 심적으로 어떤 딸이 되어야 하는지 몰랐었는데, 덕분에 진지해져 볼 수 있었다.
왜 멀쩡하신 엄마를 상상으로 죽이고 있는가? 하고 의문이 생길 수도 있겠지만, 저자는 어릴수록 죽음을 상상하고 준비하는 것이 삶의 중요한 관점이 된다고 했기에, 나의 죽음 역시 생각해 보고 싶었으나 도무지 무엇을 생각해야 하는지 갈피를 못 잡겠던 마음이었다.
그리고 엄마의 죽음은 90세를 사신다면 멀게는 15년이라는 생각에 하루가 짧게 느껴진 오늘만큼 그날이 빨리 다가올 것 같아서 마음이 불편했는지도 모른다.
그리고, 저자는 수많은 죽음과 그 가족들을 가까이서 봐오며 죽음의 당사자로써 안락사에 대해 나쁘지 않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프로이트는 안락사를 결정하면서 딸 안나 프로이트도 부르지 않고 오로지 주치의와 둘이서 마지막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누군가에게도 기대지 않고 엉기지도 않았던 지극히 개인적인 인간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그저 딸에게 이렇게 내가 잘 죽었다 전해 달라고 부탁했다 하니 담담하게 죽음을 받아들이는 아버지에 대한 존경이 더 깊어졌을 것도 같다.
나도 어쩔 수 없이 안락사에 동의한다.
힘들게 사셨는데, 힘들게 연명치료하느니 편히 보내드리면 더 자유로우시지 않을까~ 하고 아직 닥쳐보지 않은 심정으로는 그렇게 말해 보기도 한다.
내 가까이 있는 어떤 동생네 부부는 부모님 병원비와 생활비를 책임지느라 일과 병원을 오가며, 아이를 가진다는 것을 결혼 초부터 생각지도 않았었다. 안타깝게도 우리가 알고 지낸 10년의 시간 동안 양가 부모님 네 분의 검사비, 수술비, 장례비까지 도미노처럼 이어지고 스러지기를 반복하고 있다.
오늘 가슴이 답답하다며, 같이 밥 먹고 싶다 해서 집으로 오라고 한 상태인데, 아~~ 어떤 조언도, 지혜도, 방법도 없는 상황이라 잠시 웃게 해주는 것이 나의 소임이다.
그래서 지금 이 책이 더 묵직한지도 모를 일이다.
이 책은 여러 번 읽어 보게 될 것 같다. 아마도 지금 이해했다 해도 시간이 지나고 보면 제대로 인해하지 못하는 말들이 분명 많으리라~ 나의 가족의 노후와 죽음을 미리 준비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면 꼭 만나봤으면 하는 책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305/pimg_7752852942863831.png)
그러니 나의 사랑하는 벗, 같이 늙어가서 참 고마운 벗이여. 이 책을 들고 읽거든, 조악한 흔적을 완벽하게 지울 수 없는 어떤 평범한 사람이 세상과 가족들에게 자신의 보잘것없는 삶과 죽음에 대한 장황한 변명 비슷한 것 적어두었다 생각해 주면 좋겠어. - P2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