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한 사랑의 실험
신형철 지음 / 마음산책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간이 나왔다는 소식이 기쁜 저자중 하나인 신형철 평론가.

느낌의 공동체를 매우 재미지게 읽고, 몰락의 에티카는 원전을 먼저 읽고 보느라 띄엄띄엄 보고 있는 중이지만,

그의 글은 언제나 나의 어떠한 면을 자극한다.

이번엔 영화에 관한 이야기다.

상대적으로 과거에 비해 영화를 많이 보지 않게 되었는데, 다행히도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영화는 반은 넘게 보았으니, 나름 나의 감상과 신형철의 비평을 비교(한다는 것이 이상하지만... )하며 읽는 재미도 있다.

문득 문득 지루할 것 같은 순간이 다가오지만, 영화를 보고나서 한편씩 읽는 방법도 좋겠다.

신형철의 책이 좀더 자주 나오길, 그리고 행복한 결혼생활 되시길:)

해석은 일종의 창조다. 무에서 유를 창조할 수는 없지만, 잠재적 유에서 현실적 유를, 감각적 유에서 논리적 유를 창조해낼 수는 있다. 원칙적으로 해석은 무한할 수 있지만, 모든 해석이 평등하게 옳은 것은 아니다. 정답과 오답이 있는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더 좋은 해석과 덜 좋은 해석은 있다. 이를 가르는 기준은 다양할 텐데, 나에게 그것은 `생산된 인식의 깊이`다. 해석으로 생산된 인식이 심오할 때 그 해석은 거꾸로 대상 작품을 심오한 것이 되게 한다. 이런 선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해석이 좋은 해석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해석은 작품을 다시 쓰는 일이다. 작품을 `까는`것이 아니라 `낳는`일이다. 해석은 인식의 산파술이다. - 책머리 중

우리가 무엇을 갖고 있지 않은지가 중요한 것이 사랑의 세계다. 나의 `없음`과 너의 `없음`이 서로를 알아볼 때, 우리 사이에는 격렬하지 않지만 무언가 고요하고 단호한 일이 일어난다. 함께 있을 때만 견뎌지는 결여가 있는데, 없음은 더 이상 없어질 수 없으므로, 나는 너를 떠날 필요가 없을 것이다. -p.26, 나의 없음을 당신에게 줄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