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희미한 빛으로도
최은영 지음 / 문학동네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아하지 않을 수 없는 작가.
늘 좋은 이야기를 써내는 작가 최은영.
슴슴하게 읽히지만 가슴 속에 은은한 슬픔과 불안과 이미 오래전 열화된 분노같은 것을 생각나게 한다.
하고픈 말들을 차마 발화하지 못한 채 마음을 누르고 또 누르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
그런 마음이 계속해서 울컥하게끔 만든다. 마음 속에 잠겨 있는 그들의 말들을 누군가는 경청해주어야 하지 않는가.

이미 다른 지면을 통해 읽은 단편들도 있었지만, 미묘하고 간과되는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를 환기시켜주는 이야기들은 다시 한번 마주쳐도 좋았다.

- 어느 순간부터 나는 그녀의 이름으로 나온 글이나 번역서를 찾을 수 없었다. 구 년 전의 내 눈에는 누구보다도 똑똑하고 강해 보였던 그녀가 어디에도 자리잡지 못하고, 글이나 공부와 무관한 사람으로 살아간다는 사실이 때로는 나를 얼어붙게 한다. 나는 나아 갈 수 있을까. 사라지지 않을 수 있을까. 머물렀던 흔적조차 남기지 않고 떠난, 떠나게 된 숱한 사람들처럼 나 또한 그렇게 사라질까. 이 질문에 나는 온전한 긍정도, 온전한 부정도 할 수 없다. 나는 불안하지 않았던 시간을 기억하지 못한다. - 43, 아주 희미한 빛으로도

- 당신은 그런 글을 쓰고 싶었다. 한번 읽고 나면 읽기 전의 자신으로는 되돌아갈 수 없는 글을, 그 누구도 논리로 반박할 수 없는 단단하고 강한 글을, 첫번째 문장이라는 벽을 부수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글을, 그래서 이미 쓴 문장이 앞으로 올 문장의 벽이 될 수 없는 글을, 언제나 마음 깊은 곳에 잠겨 있는 당신의 느낌과 생각을 언어로 변화시켜 누군가와 이어질 수 있는 글을. - 52, 몫

- 그 문제를 왜 지금 다뤄야 하는 거죠?
용욱이 물었다.
아직도 그곳에 사람이 사니까요. - 71, 몫

- 일을 마치고 복도로 나와서 서울의 야경을 멍하니 바라보던 날들이 떠올라. 그럴 때면 내가 아직 스물두 해밖에 살지 않았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았어. 벌써 백 년은 산 것 같은데, 이미 너무 오래 산 것처럼 지쳐버렸는데 아직도 스물둘이래. 밤하늘 아래의 불빛들이 반짝이면서 너는 앞으로도 살아야 해, 살아가야 해, 하고 낮게 합창하는 것 같았어. 더 알고 싶은 것도, 더 해보고 싶은 것도 없는데, 이젠 아무것도 궁금하지 않은데, 그런데도 살아야 한다고 자꾸만 누가 내 등을 떠미는 것 같았지. - 160, 답신

- "...... 나는 언니가 살아 있어서 좋아."
"......"
"언니더러 틀렸다는 사람들은 잊어."
"너도 잊어. 그따위 말들."
"응." - 230, 이모에게

- 원고를 묶으면서 그 동네에서 글을 썼던 삼십대 초중반의 시간을 고마운 마음으로 기억할 수 있었다. 그때의 내가 필사적으로 지키고자 했던 마음 덕분으로 나는 나의 지금을 살아가고 있다.
나는 여러모로 결핍이 큰 사람이었고, 어려서부터 삶이라는 것을 어쩔 수 없이 치러야 할 벌처럼 느낀 적이 많았다. 그렇지 않은 척 스스로를 포장할 때조차 그랬다. 그런 내가 나의 결핍에 감사하고 그걸 받아들이는 데까지 쉽게 점프하여 갈 수 없다는 것도 이해는 한다. 삶은 언제나 현재진행형이고 나는 그 누구도 대신 해결해줄 수 없는 문제를 풀면서 한 걸음 한 걸음씩 나아갈 뿐이다.
나의 결핍을 안고서 그것을 너무 미워하지도, 너무 가여워하지도 않고 그저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것. 슬프면 슬프다는 것을 알고 화가 나면 화가 난다는 것을 알고 사랑하면 사랑한다는 것을 알면서 나를 계속 지켜보는 일. 나는 지금 그런 일을 하는 중인 것 같다. - 작가의 말 중


2024. jan.

#아주희미한빛으로도 #최은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