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의 해 미친 아담 3부작 2
마거릿 애트우드 지음, 이소영 옮김 / 민음사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친 아담 3부작의 2부.

인류의 희망으로 상정되는 정원사 집단들이 솔직히 호감가지는 않았다. 새로운 구심점이 일조으이 종교인 것이 아무래도 가장 불호의 부분이었던 듯.

희망에 대해 말하는 것이 애트우드와는 좀 어울리지 않아 보이지만, 그럼에도 다 망할거다라고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니 이해한다.

사십대의 토비와 이십대의 렌, 두 여성의 생각과 행로가 모든 희망과 비전이랄수는 없겠지만.. 많은 의미들이 함축되어 있는 2부.

1권보다 훨씬 몰입감 있게 읽었다.

- 가까이에서 보면 모든 게 너무나 다르다. - 15

- 그들은 우리를 극단적인 음식 취향과 형편없는 패션 감각, 거기에다가 쇼핑에 대한 청교도적인 태도까지 결합시킨 왜곡된 광신자로 생각 하지. 하지만 우리한테는 그들이 원하는 게 하나도 없잖아. 그러니까 우리에겐 테러리스트의 자격이 없는 거야. 그러니 토비 아가씨, 안심하고 편안히 주무세요. 천사들이 그대를 지켜 준답니다.
별난 천사들이라고 토비는 생각했다. - 94

- 어째서 그녀가 살아남았을까? 셀 수 없이 많고 많은 사람들 중에서 말이다. 어째서 나이가 더 어리고 더 낙관적이고 더 신선한 세포를 지닌 사람이 아니고 하필 토비란 말인가? 자신이 살아남은 것은 어떤 특별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토비는 믿어야 했다. 증인이 되기 위해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 적어도 총체적인 파멸로부터 뭔가를 지켜 내기 위해서 말이다. 믿어야만 하는데 토비는 그럴 수가 없다. 너무 많은 시간을 한탄으로 보내는 건 잘못된 일이라고 토비는 스스로에게 이른다. 애도와 한탄. 그것으로 얻어 낼 수 있는 건 하나도 없다. - 171

- 토비는 지금 베이컨대 대해 생각할 겨를이 없다. 그녀는 ‘레베카.’하고 불러 본다. 그녀는 ‘어떻게 살아남았어요?’라고 물어보고 싶지만 이건 시간이 가면 갈수록 더더욱 무의미한 질문이다. 모든 사람들에게 해당되는 질문이기 때문이다. 저들은 어떻게 살아남았단 말인가? 그래서 토비는 그냥 ‘잘됐네요.’라고만 말한다. - 683

- 아담과 이브 들은 말했다. 우리가 먹는 것이 우리가 된다고. 하지만 난 우리가 바라는 것이 우리가 된다고 믿고 싶다. 희망조차 할 수 없다면, 살 이유가 있을까? - 701

2023. feb.

#미친아담삼부작 #홍수의해 #마거릿애트우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