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어타운 베어타운 3부작 1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이은선 옮김 / 다산책방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베라는 남자는 뭐 읽을만 하군.. 정도로 읽었던 기억이 있다.
딱히 작가의 다른 책도 읽어야지 싶은 정돈 아니었는데,
집에 이 책이 있다. 왜지? 누가 추천을 했었나 싶어 후딱 읽어야지 한 책이다.

그런데 뭔가 다르잖아 싶은 것이.
같은 작가 맞나 싶은 그런 분위기다.
몹시 마음을 뺏겨 읽었다.

하키말고는 남은게 없이 쇠락한 마을 베어타운 안에서의 돌이킬 수 없는 사건과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
진실이 가까운데도 외면할 수 있는지, 다수의 이익을 위해 얼마나 기꺼이 그럴 준비가 되어 있는지 현실적으로 보여주는 베어타운의 인간 군상.

후속 이야기도 있어서 얼른 주문했다.

- 이 스포츠가 요구하는 것은 단 한 가지. 당신의 전부다. - 21

- 수네는 아이스링크 지붕을 마지막으로 한번 올려다본다. 거기에 걸려 있는 깃발과 유니폼, 조만간 아무도 기억하지 못할 남자들에 얽힌 추억을 올려다본다. 그 옆에 이 구단의 모토가 적힌 후줄근한 플래카드가 걸려 있다. ‘문화, 가치, 공동체.’ 그 플래카드를 걸 때 수네도 거들었는데, 이제는 그게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 예전에는 알고 있었는지 가끔 자신이 없을 때도 있다. - 66

- 어른이면 누구나 완전히 진이 빠진 것처럼 느껴지는 날들을 겪는다. 뭐 하러 그 많은 시간을 들여서 싸웠는지 알 수 없을 때, 현실과 일상의 근심에 압도당할 때, 얼마나 더 버틸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 때 그렇다. 놀라운 사실이 있다면 우리가 무너지지 않고, 그런 날들을 생각보다 더 많이 견딜 수 있다는 것이다. 끔찍한 사실이 있다면 얼마나 더 많이 견딜 수 있을지 정확하게는 모른다는 것이다. - 88

- 베어타운의 이십대 남자들은 이 마을을 통틀어 가장 보수적인 부류가 되었다. 그들은 새로운 베어타운이 그들을 원하지 않는다는 걸 알기에 새로운 베어타운을 원하지 않는다. - 151

- “그럼 우리가 그 아이들한테 바라는 게 뭘까요, 라모나? 그 스포츠가 우리에게 줄 수 있는 게 뭘까요? 거기에 평생을 바쳐서 얻을 수 있는 게 기껏해야 뭘까요? 찰나의 순간들...... 몇 번의 승리, 우리가 실제보다 더 위대해 보이는 몇 초의 시간, 우리가 불멸의 존재가 된 것처럼 상상할 수 있는 몇 번의 기회...... 그리고 그건 거짓말이에요. 사실 중요한 건 그게 아니에요.”
둘 사이에 자리 잡은 정적이 고스란히 머문다. 페테르가 빈 잔을 카운터 너머로 밀어서 건네고 나가려고 자리에서 일어섰을 때에야 노년의 미망인이 잔을 비우고 으르렁거리듯 얘기한다.
“스포츠가 우리에게 주는 건 찰나의 순간들뿐이지. 하지만 페테르, 그런 순간들이 없으면 인생이 도대체 무슨 의미가 있겠나?” - 153

- 그녀는 그가 다른 사람의 것인 양 그녀의 몸을 만졌던 것을 기억할 것이다. 그의 노력으로 얻은 전리품인 양, 그녀의 머리와 나머지 몸이 서로 별개로 존재하는 사물인 양. 그 부분에 대해서 묻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녀가 얼마나 적극적으로 저항했는지에 대해서만 물을 것이다. 그녀가 충분히 ‘결백’한지. - 244

- 가해자에게 성폭행은 몇 분이면 끝나는 행위다. 피해자에게는 그칠 줄 모르는 고통이다. - 245

- 농담은 그런 면에서 강력한 도구다. 우리를 인사이더로 만드는 동시에 남들을 아웃사이더로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와 남들을 순식간에 가를 수 있다는 점에서. - 312

- 증오는 매우 자극적인 감정일 수 있다. 모든 것과 모든 사람을 친구와 적, 우리와 그들, 선과 악으로 나누면 세상을 훨씬 더 쉽게 이해 할 수 있고 훨씬 덜 무서워할 수 있다. 한 집단을 똘똘 뭉치게 하기에 가장 쉬운 방법은 사랑이 아니다. 사랑은 어렵다. 요구사항이 많다. 증오는 간단하다. - 374

- 인간이 서로를 대하는 태도에 대해 토론을 벌이다보면 거의 항상 ‘인간의 본성’을 둘러싼 논란으로 귀결된다. 이것은 생물 선생님이 설명하기에도 쉽지 않은 주제다. 인간이라는 종족은 똘똘 뭉치고 서로 협력한 덕분에 살아남았지만 또 한편으로는 강자가 약자의 희생을 딛고 번영을 구가함으로써 발전할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어디쯤에 선을 그어야 하는지 항상 의견이 분분할 수밖에 없다. 우리는 어디까지 이기적이어도 될 것인가, 얼마나 서로를 챙겨야 하는가.
“하지만 배가 가라앉을 때는? 집에 불이 났을 때는?” 이런 식으로 극단적인 시나리오를 제시하는 사람들에게는 당할 재간이 없다. - 391

- 어려운 문제, 단순한 해답. 공동체라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우리가 선택한 것들의 총합이다. - 426

- 마야는 지금도 어둠이 무서워서 불이 꺼진 방에 들어서면 어둠이 옷자락을 움켜쥐는 듯한 기분이 들지만 그래도 오늘 아침에 깨달은 게 있었다. 바깥의 어둠을 더 이상 무서워하지 않으려면 자기 안의 더 큰 어둠을 찾아야 한다는 사실이었다. 이 마을에서 정의의 심판은 절대 기대할 수 없을 테니 해결책은 한 가지뿐이다. 케빈이 죽든지, 마야가 죽어야 한다. - 454

2023. jun.

#베어타운 #프레드릭배크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