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는 방식 - 수전 손택을 회상하며
시그리드 누네즈 지음, 홍한별 옮김 / 코쿤북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창 공부하던 시절 가장 부러워하고 동경하던 사람인 수전 손택을,
요즘 가장 진지하게 좋아하게 된 미국 작가 시그리드 누네즈가 회고하는 글.

너무 좋음과 좋음의 축적인 책이다.

손택을 되돌아볼 가장 적임의 시선이 아닐까 생각한다.


- 그로부터 30년 뒤에 수전이 세상을 떴을 때, 그 소식이 놀랍지는 않았지만(상태가 매우 안 좋다는 걸 알고 있었다) 그래도 충격이었다. “너무 생생한 존재라, 이렇게 쓰러뜨려진다는 게 어이없어”라고 친구가 나에게 부고를 전하며 말했다. “쓰러뜨려진다”라는 단어가 마음에 와닿았다. 수전이 들었으면 마음에 들어했을 것 같았다. 이와 비슷한 감정을 불러일으킬 작가가 또 얼마나 있을까 싶었다. 수전 손택이 치료 불가능한 백혈병을 앓다가 일흔두 살이 거의 다 되어 사망했음에도, 수전의 죽음은 마치 목숨이 가혹하게 끊긴. 듯한, 전성기에 스러진 듯한 느낌을 주었다. ‘쓰러뜨려졌다.’ - 20

- 수전은 최후의 1등급 미국 소설은 포크너가 쓴 [8월의 빛]이라고 생각했다. (포크너는 수전이 존경하긴 하지만 좋아하지는 않는 작가였다). 물론 필립 로스와 존 업다이크도 좋은 작가이지만 수전의 열정을 불러일으키는 글을 쓰는 작가는 아니었다. 수전은 레이먼드 카버가 미국 소설에 미친 영향이 달갑지 않다고 했다. 미니멀리즘이 싫은 것은 아닌데, 단지 “말하는 방식하고 똑같은 방식으로 글을 쓰는” 작가에 열광하게 되지는 않는다고 했다. - 66

- 지금 생각하면 수전이 가르치는 일을 질색했던 까닭이 학생이 되고자 하는 열정이 워낙 강했기 때문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수전은 평생 학생다운 습관과 분위기를 유지했다. 언제나, 육체적으로는 아닐지라도, 젊은 사람이었다. - 76

- 수전은 “진지한 작가이자 동시에 왕성한 독자가 될수는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 말을 듣지 마”라고 했다(그렇게 말한 작가로 v.s.나이폴과 노먼 메일러가 떠오른다). 중요한 것은 정신의 삶이고 그 삶을 충만하게 살려면 독서는 반드시 필요했다. 하루에 한 권을 목표로 삼는 게 지나치지 않다고 했다. - 94

- 수전은 뉴욕 그 자체였다. 열렬한 격찬, 정력과 야망, 할 수 있다는 자신감, 어떤 난관도 물리치겠다는 정신, 어린아이 같은 본성. 또한 자신만은 예외이며 뭐든 의지의 힘으로 해낼 수 있다는 믿음, 스스로를 만들어 낼 수 있고 다시 태어날 수 있으며 새로운 기회가 끊임없이 주어져 모든 것을 누리리라는 믿음을 지닌 사람으로서, 내가 만난 누구보다 더 미국적인 사람이었다. - 149

2022. jun.

#우리가사는방식 #수전손택을회상하며 #시그리드누네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