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전집 1 - 소크라테스의 변론 / 크리톤 / 파이돈 / 향연, 2017년 개정판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플라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에게 철학은 중고등 시절 도덕교과서이다. 거의 이 세상의 중요한 철학자들의 이름과 그들의 주요 사상을 키워드로 배우고 암기하기를 시험이라는 통과 의식을 통하여 강요당했다. 그저 철학은 어려운 것이었으며, 암기할 것이 많은 것이었고, 동서양을 막론하고 일상과는 거리가 좀 있는 저 너머 세상 어떤 것이었다.

 

   소크라테스는 도덕 시간에 나오는 철학자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이었고, 분량도 많아서 시험에 자주 나오는 경향이 있는 사람이었다. 소크라테스와 함께 나오는 키워드는, '대화' '악법도 법이다' '악처 크산티페' 등이었다. 그래도 가장 강조되어 교육받았던 것 '악법도 법이다'라는 명제였다. 이 말이 당최 언제 어디서 어떻게 왜 나오게 되었는가도 모르고 진도빼기에 바빠서 그렇게 넘어갔다. 이 후 대학때도 사회생활때도 철학과 소크라테스는 학업과 직장의 현실에서 역시 저 너머 세상 소리였다.

 

   플라톤의 철학책을 보았다. 제자 플라톤이 스승 소크라테스의 말과 행동 등을 정리하여 기록하고 거기에 자신의 생각을 더하여 '향연'이라는 책을 냈는데 바로 그거다. 이 책은 천병희 선생이 번역하여 그나마 우리 나라에 나온 번역서 중에서는 쉽게 읽힌다고 평가받는 책이다. 이 책에는 네 개의 장이 있다. 첫번째 소크라테스의 변론, 두 번째 크리톤, 그 다음 파이돈 그 다음이 향연이다. 소크라테스의 변론은 소크라테스가 세상을 현혹하고 젊은이들은 선동한다는 죄로 소피스트들에 의하여 소송을 당하여 그 스스로가 자신을 변론하는 내용이다. 크리토은 소크라테스의 절친 크리톤이 절친 소크라테스에게 가만있다가 사형을 당하지 말고 도와줄테니 어서 도주하라고 하는 장이며, 파이든은 소크라테의 제자 파이든이 소크라테의 사후 귀가길에 지인을 만나 소크라테스가 독배를 마시고 죽을 당시 남겼던 말을 사람들에게 전하는 내용이며, 마지막 향연은 소크라테스와 전혀 상관이 없는 내용인데 에로스가 무엇인지 각자의 상황에 맞는 정의를 내리는 내용이라 말할 수 있다.

 

   이 책을 가만히 읽다보면, 중고등 시절 도덕시간에 배웠던 소크라테스의 대화가 '변론'편에 나오고, 악법도 법이다는 소크라테스의 그 유명한 명제가 크리톤에서 발견되었다. 내가 도덕 시간에 배운 소크라테스는 바로 이 책이 출발점이었던 것이다.

우리는 철학을 암기와 의무로 잠깐 맛만 보았다. 그래서 인간 사회의 필수 덕목인 철학적 사유가 그저 어렵고 귀찮은 것이 되어 버린 것이다.

 

   철학은 어려웠다. 소크라테스의 대화도 너무 어려웠다. 철학을 별로 사유하지 않은 나 같은 범인은 플라톤의 말 한 줄 글 한 줄이 마치 30키로 짜리 돌을 들어올리면 팔이 아프고 힘들듯 나의 뇌가 힘들었다. 왜냐하면 철학은 우리가 살고 죽을 때까지 고민해야 하는 문제이고 정답이 없기 때문이다. 이 책을 통하여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왜 세상이 그런지 질문에 궁금증을 다시 가지는 계기가 되었슴에 큰 의미를 두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