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통령의 글쓰기
강원국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글을 쓸 기회가 많지 않다. 초등학교시절 글짖기나 글 좀 쓴다는 아이들이 나간다는 백일장 정도가 학창시절 글쓰기의 대부분일 것이다. 그러다 대학이라는 데를 가면, 각종 레포트니 논문을 쓰게 되는데, 이 때 많은 이들이 실로 막막해한다. 왜? 자기 속에 있는 것을 글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끄집어 내는 훈련을 해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러다 보니, 요즈음의 대학생들은 각종 인터넷 사이트를 뒤져 레포트 혹은 숙제를 복제해오기 일쑤다. 아이가 걸음마를 하듯 글쓰기도 차근 차근 연습을 해야함에도 갑자기 학점과 관련된 글쓰기를 하지니 막막하기 이를 데 없다. 물론 타고 날 때부터 풍부한 감수성과 손빨로 인하여 글쓰기를 잘 하는 사람도 물론 있다. 그러나 이런 재능을 그리 많은 사람이 갖고 있진 않다. 그런데 왜 흔히 말하는 서양의 학생들 사람들은 글쓰는데 두려움이 없을까. 그건 바로 어렬 적 부터의 훈련이다.
토론과 글쓰기 수업이 없이 무작정 암기만 하는 우리는 글이라는 도구로 자신을 끄집어내는 데 익숙지 않다. 그래서 무엇을 쓰라고 하면 흰 것은 종이요 들고 있는 건 펜이라, 그저 희디 희 종이만을 바라볼 뿐이다. 그리하여 하다 하다 안되면 저작권을 침해하여 ctrl C, ctrl V에 이르는 것이다.
강원국은 어찌하다 대우 사보팀에 입사하여 글쓰는 일로 밥 벌이를 하게 되었다. 우연히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시절 연설비서관이라는 드문 직업에 세계에 발을 들여 놓게 되고, 그 시절 겪은 일 및 두 대통령의 글쓰기에 대한 기억을 여러 사람과 나누고 싶어 이 책을 쓰게 된다. 다른 글쓰기 책도 많지만 이 책은 연설문 위주의 대중 정치인이 국민을 대상으로 한 글쓰기를 다룬 책이라 그런지 글 쓰는 법에 대한 요령이 어렵지 않다. 충분히 읽고 유념하여 글을 쓴다면, 일필휘지까지는 아니더라도 누구나 고개를 끄덕거리는 것 정도까지는 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다만, 글 쓰느 요령을 숙지하고 유념하기가 쉽지는 않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래의 정리된 글쓰는 방법을 잘 익혀두었다가 이제부터라도 나의 글을 써보련다. 이 책은 40장의 챕터는 글쓰기 방법에 대한 (그리고 두 대통령의 글쓰는 방법에 대한) 하나 하나의 요약이다.
1. 글쓰기가 두려운 이유 - 어떻게 쓸까 고민하지 말고 무엇을 쓸까 고민하자.
2. 생각의 숙성 시간을 가져라 - 관심이 생각으로 깊고 오랜 생각은 늘 할말을 준비하게 만든다.
3. 독자와 교감하라 - 훌륭한 커뮤니케이터는 상대의 언어를 사용한다. 하고싶은 이야기와 듣고 싶어하는 이야기와의 줄타기가 필요하다.
4. 집중과 몰입의 힘
5. 글쓰기의 원천은 독서 - 독서는 지식과 영감과 정서를 가져다 준다.
6. 결국엔 시간과 노력이다. - 글은 머리가 아닌 엉덩이로 쓰는 것이다.
7. 메모하라
8. 횡설 수설하지 않으려면 - 욕심을 버리고 할 얘기를 분명히.
9. 기조를 잡아라
10.자료가 관건이다 - 짚신으로 나물을 만들 수 없다.
11.글의 구조를 만드는 법
12.첫머리 시작 방법 - 말과 글은 시작이 절반. 첫마디/첫문장에서 판가름 난다.
13.서술하기 - 한 문장 한 메세지, 군더더기 삭제, 접속사 절제, 논리적 전개, 연역과 귀납, 선택과 집중, 리듬 ㅌ기, 논박, 호흡의 일관성, 현장감, 근거 제시
14.표현하기 - 최대한 쉽게, 짧은 문장, 단순 명료 펑법 압축, 자연스러움, 중복회피, 상징, 점층, 친근감 표시, 눈에 그려지게, 인용, 속담 명언, 인상깊은 문구
15.맺음말 쓰기
16.시작보다 중요한 퇴고 - 모든 초고는 걸레다 (헤밍웨이)
17.제목을 붙여라 - 글쓰기의 화룡점정
18.글은 메세지다 - KISS (Keep it Simple Shortly)
19.짧은 말의 위력
20.짧게 쓰자
21.명료하게 써라 - 지식의 저주에 빠지지 말라.
22.진정성으로 승부하라
23.애드리브도 방법이다
24.잘 듣고 많이 말하라 - 방향이 맞고 앞뒤가 맞고 쿵짝이 맞고 언행이 맞아야 말을 잘 한다. (토론의 중요성)
25.콘텐츠 만들기 - 글쓰기는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보여주는 것이다. 경험과 생각, 이것이 콘텐츠다.
26.형식도 무시할 수 없다
27.이미지를 생각하라 - 비주얼도 중요하다 단, 진짜 이미지를 보여줘라.
28.용기가 필요하다
29.글을 혼자 쓸 필요는 없다 - 독회제도. 글을 많이 내돌릴 수록 좋다.
30.유머에도 법칙이 있다
31.타이밍을 잡아라
32.자기만의 글을 쓰자
33.적당히 잘 꾸며라
34.칭찬의 기술
35.편지를 써야 할 때
36.리더의 조건
37.치유의 글쓰기
38.거명하기
어떻게 쓰느냐과 무엇을 쓰느냐의 차이다. 어떻게 쓰느냐, 다시 말해 어떻게 하면 멋있게, 있어 보이게 쓸 것이가를 두고 고민하는 것은 부질없는 욕심이다. 그러나 무엇을 쓰느냐에 대한 고민은 많을면 많을수록 좋다. 글의 중심은 내용이다. 하지만 글쓰기에 자신이 없다고 하는 사람 대부분은 전자를 고민한다. 어떻게 하면 명문을 쓸까 하는 고민인 것이다. 이런 고민은 글을 쓰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부담감만 키울 뿐이다. 글의 김동은 기교에서 나오지 않는다. 우리는 시인도, 소설가도 아니지않은가.
16쪽
정보는 널려있다. 따라서 글감은 많다. 구슬을 꿰는 실이 필요하다. 그 실을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 바로 생각이다. 생각이 글쓰기의 기본이다.
27쪽
창조적 아이디어는 어느 날 갑자기 찾아오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영감이나 직관과는 다르다. 죽을힘을 다해 몰입해야 나오는 것이 창조력이다.
42쪽
횡설 수설한 이유는 첫째 쓸데없는 욕심을 내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첫째 길어진다.둘째 느끼해진다. 셋째 공허해진다. 횡설 수설한 두번째 이유는 할 얘기가 분명하지 않기 때문이다. 오락 가락하지 않으려면 주제, 뼈대, 문장이 명확해야 한다. 느낀대로 아는만큼, 최대한 담백하고 담담하게 서술하면 횡설수설하지 않는다.
69쪽
글의 구조를 만드는 이유 1. 글을 쓸 때 깅를 잃지 않기 위해서다 2. 하고자 하는 이야기간의 분량 안배를 위해서다 3. 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누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4. 앞에 나온 이야기가 중복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5. 전체적인 통일성과 일관성을 위해서다.
84쪽
"두 번씩이나 얘기할 때는 필시 무슨 사정이 있을 것입니다. 수용하는 게 맞습니다. 터무니없는 이야기가 아닌 한 그 사람을 참모로 뒀으면 받아들여야지요."
143쪽
글을 쓸 때는 더 넣을 것이 없나를 고민하기보다는 더 뺄 것이 없는지를 한 번 더 생각해봐야 한다. 더 이상 뺄 것이 없는 글이 좋은 글이다. 군살은 사람에게만 좋지 않는 게 아니다.
163쪽
글은 쉽게 써야 한다. 말과 글은 듣는 사람, 읽는 사람이 갑이다. 설득당할 것인가, 감동할 것이나가의 결정권은 듣는 사람, 읽는 사람에게 있으니까. 그렇다면 쉬운 글은 쓰기 쉬운가? 더 어렵다. 더 많은 고민을 필요로 한다. "쉽게 읽히는 글이 쓰기는 어렵다." 헤밍웨이의 말은 확실히 맞다.
178쪽
단순한 문제를 복잡하게 말하는 데는 지식이 필요하고 복잡한 문제를 단순하게 말하는 데는 내공이 필요하다. 아는 것은 다 쓰고 싶다. 힘들게 쓴 것은 버리기 싫다. 지식의 저주는 마지막까지 글 쓰는 사람을 괴롭힌다.
179쪽
자기 인생에서 길어올린 자기만의 콘텐츠가 있어야 한다. 나는 인생 경험이 보잘것없는데 어떻게 하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독서하는 것도 좋아하지 않는다면? 방법은 있다. 남의 것을 훔치는 것이다. 훔치는 방법은 관찰이다. 세심하고 용의주도한 관찰이다. 관심있는 만큼 보이고 알면 사랑한다고 했다.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12년의 관찰 결과 `개미`를 썼다.
221쪽
메라비언으 법칙; 어떤 사람이 말을 했을 때, 그로부터 받는 인상은 자세와 용모, 복장, 제스처가 55%, 목소리톤 음색이 38%, 내용이 7%의 중요도를 지닌다는 법칙.
229쪽
"우리는 아무리 강해도 약합니다. 두렵다고, 겁이 난다고 주저않아만 있으면 아무것도 변화시킬 수 없습니다. 두렵지 않기 때문에 나서는 것이 아닙니다. 두렵지만, 나서야 하기 때문에 나서는 것입니다. 그것이 참된 용기입니다. 그럴 때 우리는 아무리 약해도 강합니다."
244쪽, 김대중의 말 재인용.
글을 잘 쓰려고 하기보다는 자기만의 글을 쓰는 것이 중요하다. 모든 사람이 글을 잘 쓸 수는 없다. 하지만 가지만의 스타일과 콘텐츠로 쓰면 되고 이런 점에서 우리 모두는 성공적인 글쓰기를 할 수 있다.
271쪽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수사학`에서 누군가를 설득하려면 에토스(인간적 신뢰), 파토스(감성적 호소력), 로고스(논리적 적합성)가 필요하다고 했다.
281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