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을 말하다 2 - 이덕일 역사평설 조선 왕을 말하다 2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 왕을 말하다 1권을 다 보고나서 2권을 안 볼수가 없었다. 그 만큼 조선왕1권이 재미있었고 유익했다는 말이다.  

   2권은 총 4부로 나뉜다. 1부 : 삼종 혈맥의 시대를 연 임금들 (효정,현종,숙종), 2부 : 독살설에 휩싸인 임금들 (예종, 경종), 3부 : 성공한 임금들 (세종, 정조), 4부 : 시대를 열고 닫은 임금들 (태조, 고종)이 그것이다.  

   1부 삼종 혈맥의 시대를 연 임금들 편에 있는 세 임금은 장희빈의 남자 숙종을 제외하고는 평소 우리가 많이 접해보지 못한 임금들이다. 그러나 효종이나 현종이나 제한된 권력 속에서 힘써 나라를 일으키려는 임금들이었다. 비록 치세가 짧아 그 연구가 활발하지는 않았지만 말이다. 그리고 이 임금들 시대에는 송시열이라는 우리가 성리학의 대부요 걸세출의 인물이라고 알고있는! 이 사람때문에 상대적으로 임금들의 업적이 가려지고 송시열 개인에 대한 얘기가 후세에 많이 전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 책은 송시열이란 인물이 얼마나 왜곡되게 후세에 그 이름과 업적이 전해졌는지 알려준다. 물론 저자 한 사람의 역사적 견해가 전부 다 옳다고 할수는 없지만, 우리의 일방적 인물관을 다시금 되돌아 보는 데 큰 도움을 준 것 같으며, 더불어 송시열과 그의 나라라는 책도 같이 보고싶어졌다. 그 사람이 조선 후기에 얼마나 시대 역행적인 행적을 했는가 더 자세히 알아야겠기에.  

   2부 독살설과 관련된 임금들 역시 그저 놀랍니다. 보통 경종은 유약하고 병약한 임금으로 상식적으로 알고있었고, 똑똑한 연잉군 (영조)이 자연스레 왕위를 이었다고 알고 있었는데, 내가 아는 상식은 과연 도대체 어디서 어떻게 배운 것인가를 고민하게 만드는 편이다. 왜냐면 사대부를 향한 칼날을 휘두려는 찰나 갑자기 경종이 사망하고 너무도 빨리 연잉군이 임금이 되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그동안 한 쪽편의 역사학자들이 교과서를 통해 보여준 세상에 너무 익숙해져 있었슴을 알게되었으며 늘 깨어 있고 생각을 해야 함을 또 알게 되었다.  

   3부, 그래 역시 우리에게도 성공한 임금은 있었다. 세종이야 너무도 잘 알고 있었지만 정조에 대하여서는 소설 영원한 제국, 아버지 사도세자, 한중록 등이 그 분에 대하 알고있는 거의 대부분이다. 저자는 10년만 더 정조가 살았더라도 우리가 일본의 속국이 되지는 않았을거라며 안타까움을 금치못하고 있다.  

   4부에서는 고종의 이야기가 놀랍니다. 드라마 명성황후 등의 영향으로 고종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독립을 위해 은밀히 노력한 자주의 임금이라는 인식이 있었는데 완전 그 반대다. 사치스럽고 전제군주제를 계속 향유하고 싶어했으며 우유부단하고 정세 판단이 흐린 그런 임금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모든 것을 종합해볼 때, 과연 우리가 알고있는 것이 진짜 알고 있는 것인가! 과연 진짜 사실(史實)은 무엇인가! 누가 무슨 의도로 사실을 왜곡하는가! 등에 대하여 많은 고민을 던져 주는 책이다. 그리고 가장 가까운 왕조 조선의 역사를 제대로 인지하고 현재를 비춰보기 위해서라도 한 번쯤은 왕의 역사를 살펴보면 좋겠다. 

   그리고 중요한 한 가지! 역사는 민중의 역사이고 주체는 백성이다. 이는 변할 수 없는 진리이다. 그러나 탁월한 군주, 리더십이 동반된다면 그 백성과 역사는 찬란하게 빛나고 모두가 편안해진다는 것은 역시 어쩔 수 없는 옳은 말인 듯 하다. 세종이나 정조와 같은 백성을 하늘과 같이 생각하고 하늘을 편안히 해주는 것을 골똘히 연구하는 미래를 보는 혜안이 있는 그런 리더십이 간절히 그리운 오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