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양장)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청미래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불안에서 벗어나려고 운명이라는 것을 만들어낸다. - P17

가장 사랑하기 쉬운 사람은 우리가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일지도 모른다. - P78

우리는 서로에게 친절했을지는 모르지만, 이제 예의는 차리지 않았다. - P91

사랑과 사랑의 정치의 시작이 똑같이 장밋빛이라면, 그 마지막도 똑같이 핏빛이다. 우리는 정치적 사랑이 압제로 끝나는 현상, 진심으로 국가의 진정한 이익을 돌본다는 통치자의 강한 확신이 결국 자신에게 동의하지 않는 사람은 아무런 가책없이 모두 죽여도 좋다는 자신감으로 벌전하는 현상에 이미 익숙하지 않은가? - P92

상상력이 치아 사이의 틈으로부터 철수하기로 결정하는 순간 훌륭한 치열 교정 의사가 필요한 것 아닐까> - P104

자신이 온전하다는 느낌을 얻으려면, 근체에 나 지신만큼 나를 잘 아는 사람, 때로는 나보다 더 잘 아는 사람이 필요핟. - P143

사랑의 요구가 해결되었다고 해서 감랑의 요구까지 해결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 P161

현재의 불안은 한 해 내내 나를 위로해주었던 미래의 가능성 하나가 마침내 현실이 되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주저했기 때문이었다. - P180

현재를 살지 못한다는 것은 어쩌면 내가 평생 갈망해온 것이 바로 이것이라는 깨달음을 두려워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 P181

통제할 수 있는 일들을 통하여 얻은 행복, 이성적으로 노력해서 어떤 일들을 성취한 뒤에 찾아오는 행복은 받아들이기 쉽다......단지 신의 기적적 개입에 의하여 찾아온 행복은 위험햇다. 자족적인 지속성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 P184

문제를 파악하는 것과 문제를 해결하는 것, 지혜와 지혜로운 인생은 크게 다르다. - P2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