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사이에 이유 없는 경제 활동 미참여자가 100만 명 가까이늘어난 것이다. 혹자는 이를 실업 급여 수급 조건이 지나치게 후해진 탓에 발생한 문제라고 여길 수도 있다. 그렇지만 실업 급여 신청자는 같은 기간 30만 명 정도 늘어난 것이 고작이고, 다들 형식적으로라도 구직 활동을하기에 이들은 명목상으로는 분명 경제 활동 인구다. ‘이유 없는‘ 비경제 활동 인구가 100만 명이나 늘어난 까닭을 설명할 수 없다는 뜻이다. 현재 운영 중인 실업 급여제도에 개선이 필요할지는 몰라도, 숫자를 확인해 보면해당 제도가 비경제 활동 인구 증가의 이유가 될 수는 없다.
_ 이유 없는 비경제 활동 인구 중 - P66
우리 사회에서 AI에 대한 논의는 이런 현실적인 숫자에서 출발해야 한다. 모든 직업이 AI로 대체되고 말것이란 막연한 공포가 별로 도움되지 않는 것처럼, 무료로 사용해 본 AI 도구가 사람이라면 하지 않을 오류를범했다며 비웃는 것도 현실과 동떨어진 인식임은 마찬가지다.
_, 인공 지능 노출 지수 중 - P92
해외의 대규모 플랫폼 기업이 특정 국가에서 사업을 영위한다고 해서, 그 나라 국민이 생산한 데이터에 대한 소유권까지 가져갈 수는 없다. 병원에서 진료받았다고 의사가 함부로 환자의 의무 기록을 외부에 유출하지못하는 것과 마찬가지 이치다. 그래서 중국 정부는 해외기업이 중국에서 사업을 영위할 때, 반드시 자국 내에서버를 두도록 강제하고 있다. 생산된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게 막는 조치도 포함이다. 규제의 수위는 조절해야겠지만, 개인 정보 유출 방지 정도로 그치는 우리나라의 데이터 안보 상황에는 충분히 참고할 만한 AI 시대의 모범이다.
마약류 사용량 추정치 중 - P103
데이터가 인공지능 정신의 양분이라면, 전력은 인공지능 육신의 양분이기 때문이다.
_ 지역별 전력 자급률 중 - P106
표심이 무서워전기 요금 인상을 주저하다 데이터 센터나 전기 자동차같은 추가 전력 수요를 외면하는 것은 장기적 산업 경쟁력을 깎아 먹는 일이다. 대체 언제까지 전기 요금 인상 억제 조치를 ‘착한 적자‘라는 말로 옹호할 수 있을까? 진정으로 AI 시대를 준비하려면 이런 사실을 더는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
_ 지역별 전력 자급률 중 - P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