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버스토리
리처드 파워스 지음, 김지원 옮김 / 은행나무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주변 환경 재난 현상은 미세먼지와 폭염이다. 폭염이 지속되는 한여름밤은 결국 인간이 이 세상에 마구 누려왔던 결과이자 반작용이다.

“이익의 사유화, 비용의 사회화”의 대표적인 주제인 환경문제 공유의 필요성과 자연-인간사이의 권리와 책임이라는 인문학적 성찰의 고민이 결국 부담스런 벽돌두께(약 700페이지)의 분량에도 추천한 이유이기도 했다. 또한 주제의 지루함에도 불구하고, 소설 형식의 서사적 글 전개와 2019년 퓰리처상 수상의 권위 부여는 북클럽 회원들의 불평과 불만을 제압하는 강력한 도구로 작용했으리라 본다.

이 소설의 최대 장점은 스토리 구성의 독창성과 연관성에 있다. 주제와 형식이 독립적(independent)이지만 보이지않는 곳에서는 네트워크처럼 서로 영향을 주고 엉켜있다. 마치 나무의 뿌리처럼...

미국 독립전쟁부터 시작한 약 100년의 시간 흐름과 아시아계 출신을 포함한 비사회적이면서 개성만점의 9명 인물로 시작한다. 그리고 숲이나 나무와 연결된 인물은 모두 독립적으로 그려진다. 그래서 1부 (뿌리)편에 소개된 인물편이 지루할 수 있다. 하지만, 청각과 언어 장애를 가진 과학자(패트리샤 웨스터퍼드)는 나무들이 서로 의사소통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나무에서 떨어져 반신불수가 되었을지라도 컴퓨터 속 세계에서 더 생동감 있게 움직이는 학생(닐리 메타)의 역할은 감동적이다. 과학자 논문-지금이야 나무들이 서로 뿌리와, 향기등으로 소통한다는 과학 이론은 학계에서 당연하게 받아들여지지만-은 숲 관련 논문의 주류가 되는 과정에서 과학이 인간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게임 개발에서 숲과 나무 역할의 인정은 작가의 깊이가 그대로 들어난다.

9명의 인물들은 두 그룹(5명-근본 및 실천주의자 vs 4명 - 대안중심 현실주의자)으로 나눌 수 있고, 각각도 재미있는 캐릭터들이다. 무분별한 개발 벌목으로 북미대륙의 원시림의 98퍼센트가 사라진 1990년대 태평양 북서부의 대규모 목재 전쟁에서 정점을 이룬다. 목숨을 담보로 한 맹렬한 벌목 반대 운동가들의 새로 심은 나무가 벤 나무를 대신할 수 없다는 꺾이지 않는 믿음의 실천주의자들 모습과 일련의 과정에서 겪는 사건들은 이 소설의 재미중 하나이다. 반면, 종자은행 구축하고 전세계적인 게임의 업그레이드 장면은 숲의 권리를 인정하는 인간들의 겸허한 실천으로 보인다.

끝으로, 작가(리처드 파워스)의 나이가 만만치 않다. 나무를 제대로 알기 위해 로키 산맥과 그레이트스모키 산맥등 미국 전역을 둘러보았으며, 120권의 나무에 관련된 책을 읽었다고 한다. 우거진 숲에서 살기도 했다.

픽션은 흔히 작가의 상상력에 기반한다고 한다. 그런데 상상력은 사실에 기반한다. 사실은 공부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이 소설은 작가가 행한 공부의 깊이를 증명한다. 지적인 것은 아름다운 것과 형제다. 듣도 보도 못한 소설, 초유의 소설이다. 이런 소설을 쓴 작가를 존경한다. 이런 작가들의 책들은 주제와 상관없이 무조건적으로 읽으려고 한다. 이런 느낌의 책으로, 70세의 동물학자(델리아 오엔스)가 쓴 <가재가 노래하는 곳>를 추천한다.

2018년 겨울, 2주간의 평창올림픽 스키장을 위해 원시림을 베어낸 가리왕산은 어떻게 복원되고 있는지 갑자기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라시아 견문 1 - 몽골 로드에서 할랄 스트리트까지 유라시아 견문 1
이병한 지음 / 서해문집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깊은 사유의 젊은 학자 내공이 독자를 사로잡는 강인한 필력으로 결합되었다.

<견문>의 겸손한 표현과는 달리, 좌/우, 전근대/근대, 서구-비서구의 3중 분단 체제를 뛰어넘는 새로운 유라시아의 재구성이다. 특히, 서양중심의 근대사 편견과 한계를 지적하는 부분에 고개를 저절로 끄덕여진다.

다만, 저자의 친중국적 시각에 동의할 수 없다. 중국의 유라시아 일대일로 사업, 공산당의 지도 체제 및 선출 방식, 유교 전통 등 미화되어 서술되고 있는 흠이 있을 뿐만아니라 학자적 관념성도 엿보인다.

<서울선언>의 저자 김시덕 교수와 더불어 유연한 사고와 진영적 사고에서 자유로운 젊은 학자들의 만남은 항상 기쁘고 역동적이다. 새로운 자극이랄까...저자는 몇 개 언어를 구사할까 궁금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평등의 세대 - 누가 한국 사회를 불평등하게 만들었는가
이철승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시 말해서, 공정성이 담보되지않은 경쟁의 실상에 대해 이전 세대들보다 더 심각하게 반응하는 것이다. 더구나 계급(계층) 간 사회이동성이 낮아지며 상층계급 이 스스로를 재생산하는 정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수많은 연구 결과가 여론을 통해 거듭 공유되면서, 현 청년 세대는 금수저와 흙 수저의 대비를 일찍부터 ‘내면화 하고 있는 세대이기도 하다. 이미 아파트가 여러 채 있는 조부모를 뒀거나 자기 명의의 집과 건물이 있는 친구들을 보며 자란 세대인 것이다. (p. 24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평등의 세대 - 누가 한국 사회를 불평등하게 만들었는가
이철승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 수준의 합리적 선택’이 ‘사회 수준의 비효율’을 초래하는 예는 비일비재하다. (p. 33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에서 가장 느린 달팽이의 속도로
김인선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9년 7월
평점 :
품절


현재 만날 수 없지만 글이 대신한다. 가감없는 자연스러운 매력이 살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