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도깨비 책귀신 1
이상배 글, 백명식 그림 / 처음주니어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우리의 옛이야기에는 도깨비가 자주 등장한다. 우리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이야기가 <금방망이, 은방망이>일 것이다. 또는 <도깨비 방망이>, <혹부리 영감>이라고 하기도 한다.

우리 선조들은 전래 동화에 나오는 도깨비들을 재미있게 표현하고 있다. 재주와 조화를 부릴 줄 알기도 하고, 재물이나 욕심에 어두운 사람들에게는 벌을 주기도 하고, 착한 마음씨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복을 주는 것이다.

우리 나라 축구 응원단이 '붉은 악마'인 것도 바로 이런 도깨비를 말하는 것이니, 우리 민족에게 도깨비는 해학적인 의미를 가진 좋은 존재인 것이다.

이런 도깨비를 좋아하는 동화작가가 있으니, 그는 <책 읽는 도깨비>의 저자인 이상배이다.

그의 동화에는 유난히 도끼비 이야기가 많다. < 도깨비 아부지>, < 학교에 간 꼬마 도깨비>, < 도깨비 삼시랑>, < 푸하하 나 도깨비>등의 동화가 있다.

 

 

 

이 책에는 도깨비가 셋이나 나온다. 고리짝 도깨비, 빗자루 도깨비, 공책 도깨비.

 

    

 

" 키가 바지랑대처럼 크고, 눈 코 입 다 크고,

붉은 얼굴에 온 몸은 털북숭이고,

큰 머리에 달랑 패랭이를  썼네요."

"그런데, 눈빛이 푸른 불빛이 춤을 추듯 흔들거리네요. " ( 책속의 글 중에서)

 

 

고리짝 도깨비는 구두쇠 영감이 돈을 넣어 놓는 은행나무로 만든 고리짝이 영물이 되어서 도깨비가 되었다. 그래서 그는 살금살금 구두쇠 영감의 돈궤를 훔쳐서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나간다.

그가 거처하는 곳은 벼락맞은 은행나무 밑둥에 푹 파인 곳으로 이곳에는 돈궤에 돈이 잔뜩 들어 있다.

어느날 고리짝 도깨비는 빗자루 도깨비와 공책 도깨비를 만나게 되고, 그들과 지내던 중에 한 선비를 만나게 된다.

 

 

그 선비는 고리짝 도깨비가 차지하고 있는 땅을 사기를 희망하는데, 돈이 없어서 그곳에 건물을 짓지를 못하는 것이다.

고리짝 도깨비와 선비는 이 땅을 두고 문답을 내게 되는데, 그 문답을 풀기 위해서 만나게 되는 사람이 세종대왕이다. 밥보다는 책을 더 좋아하는 우리의 세종대왕은 도깨비들에게 답글과 함께 책 심부름을 시키게 된다.

 

 

 

 

이렇게 <책읽는 도깨비>는 엉뚱한 도깨비와 선비, 세종대왕 등을 등장시켜서 책을 읽는 즐거움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도깨비들이 깨닫게 되는 기쁨~~

책방가는 기쁨.

책 사는 가쁨.

그리고, 책을 읽는 기쁨을 느끼게 해 주는 것이다.

 

 

선비는 고리짝 도깨비에게서 땅을 살 수 있을까?

또한 땅을 사게 된다면 그 땅에는 어떤 멋진 건물을 짓게 될 것인가?

궁금하다면 이 책을 지금 당장 읽어 보면 어떨까?

 

 

선비가 도깨비에게 낸 문답과 그에 대한 답글은 이 책을 읽는 모든 사람들에게 꼭 가슴에 새길 수 있는 글이 아닐까 한다.

" 인불통고금(人不通古今)이면 마우이금거(馬牛而襟据)니라."

즉, " 사람이 고금의 일을 알지 못하면, 마소에게 옷을 입히는 것과 같다."는 말로, 뜻은 " 옛 선인의 가르침을 알지 못하고는 참다운 사람이 될 수 없다." 는 것이다.

 

 

도깨비 세상을 엿 보는 재미, 그리고 수수께끼를 풀어나가는 재미,

그 보다 더 재미있는 것은 고리짝 도깨비, 빗자루 도깨비, 공책 도깨비가 책을 읽는 즐거움을 알게 된 것이다.

이처럼 도깨비는 우리들에게 깨달음을 가져다 주는 우리 민족의 해학을 엿 볼 수 있는 존재였던 것이다.

그런데, 우리의 어린이들에게 또 이런 즐거움을 깨닫게 해 주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