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의 가족을 뭐라고 부르지? - 바르게 부르는 가족 호칭책
채인선 지음, 배현주 그림 / 미세기 / 201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릴적부터 친인척간의 왕래가 많게 되면 자연스럽게 생활 속에서 가족간의 호칭을 익히게 된다. 그러나, 핵가족 시대인 요즘엔 친척들과의 만남이 그리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이 아니다. 거기에 외동아이들이 많다보니, 형, 언니, 동생들마저도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런 어린이들에게 가족 간의 호칭이란 어렵고 어려운 문제인 것이다.
이 책에 나오는 민규는 다행스럽게도 아빠는 3남 1녀 중의 둘째 아들, 엄마는 2남 3녀 중의 큰 딸, 그리고 민규에게는 여동생 민지가 있다.
이 정도의 가족 관계라면 자연스럽게 할아버지, 할머니, 고모, 이모, 삼촌, 사촌 형, 동생 등의 호칭을 익히기에 좋은 환경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이와같은 가족 구성이 안된다면, 생각만으로 '엄마의 여동생을 어떻게 부를까?' , '아빠의 여동생은 어떻게 불러야 할까?' 하면서 가르쳐 주어야 하니 어린이들에게는 이해가 쉽지 않은 일이 될 것이다.
그래서 '가족의 가족을 뭐라고 부르지?'에서는 처음부터 가장 가까운 '나 (민규)로 부터 출발하여 '아빠, 엄마, 여동생'. 부모, 형제 자매, 할아버지, 할머니, 외할아버지, 외할머니, 큰아버지, 큰 어머니..... 로 그 범위를 넓혀가면서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니, 가계도는 차츰 차츰 복잡하고 넓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렇게 복잡해지면, 어린이들이 혼란스러울 수도 있으니까, 천천히 나로부터 촌수가 시작된다는 것을 알려주면서, 가족 구성원들 중에 있는 촌수부터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을 듯 싶다. 그것은 어른들도 마찬가지이지만, 어린이들은 나와 관계가 없으면 좀처럼 흥미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인 것이다.
 
 
이렇게 가족의 촌수를 알아가는 과정에서 가족은 어떻게 형성되는지, 가족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알아갈 수 있게 해 준다면 더욱 좋겠다는 생각이다.

그리고, 조금 조금 멀어지면 그냥 '언니, 오빠, 동생'이라고 불러도 무관함을 알게 해 주면 어떨까.
그리고, 이 책은 너무 너무 어려워지는 가족관계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새로운 가족들이 생길 때마다 '숨은 그림 찾기'를 통해서 가족의 호칭을 이해해 나가는 퀴즈까지 담겨져 있다.



이런 놀이를 통해서 가족의 호칭뿐만아니라, 가족이란 무엇인가를 발견할 수 있으며, 가족의 소중함을 이해해 나가기에 좋은 그림책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