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 백과사전 - 고전 속에 숨어 있는 우리 귀신 이야기
이현 지음, 김경희 그림, 조현설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귀신'하면 떠오르는 생각들. 어릴적에 여름방학을 이용해서 시골 외할머니댁에 간 적이 있다. 밤이면 넓은 대청마루의 뻥뚫린 공간에 누워서 옛날이야기를 들었다. 그때의 단골이야기는 단연 '귀신 이야기'. 밤새도록 씨름하듯 싸웠던 정체불명의 물체가 아침에 일어나 보니 피묻은 싸리비였다는 이야기, 화장실에 가면 '빨간 보자기 줄까? 파란 보자기 줄까? 하면서 귀신 손이 올라온다는 이야기, 그밖에도 달걀 귀신이야기, 몽달 귀신 이야기..... 그 이야기들을 듣고 있노라면 바람결에 커다란 나무들은 하얀 달빛을 받아서 더욱 커지면서 그 움직임이 꼭 귀신과 같아서 섬뜩하였던 기억들이 생각난다.
이런 귀신 이야기. 우리 고전속의 귀신 이야기는 공포스럽기는 하지만 나름대로의 해학도 담겨 있다.
 
귀신의 모든 것을 모아 놓은 '귀신 백과사전'. "아니, 무슨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냐고요?" 귀신 백과사전이라니.... 정말로, 귀신의 모든 것을 모아 놓았다. '세상은 넓고, 귀신은 많다'고 한다. 별의별 귀신들이 다 있다. 원래 귀신은 죽은 사람의 영혼이거나, 죽은 동물의 영혼, 오래 산 동물의 영혼이 귀신이 된다고 한다. 또는 물체가 변해서 되기도 하는데, 도무지 정체가 무엇인지 알 수 없는 귀신들도 있다고 한다.
'귀신백과사전'은 백과사전답게 귀신의 사전적 지식에서부터 출발한다.
  그리고, 귀신을 만나기 위해서 저승으로 떠난다. 무슨 관광지를 가듯이.... 지옥을 관광객이 되어서 출입을 한다. 저승가는 방법, 저승 관광 안내서, 금지구역, 저승의 유명인사들의 소개.



저승의 유명인사는 단연 염라대왕, 저승사자.... 이 정도는 알고 있지만, 그밖의 인물들이 있다는 것.
 
 

그리고, 귀신들도 그 종류가 다양하다. '원귀', '호국신', '조상신', '보은귀'. '동물귀', '마마신'......

   

이런 이야기들을 우리의 옛 문헌인 '삼국사기'. '삼국유사', '천예록', '청구야담', '학신한언', '용재총화'등의 내용을 빌려서 들려준다.
밀양아리랑의 바탕이 된 이야기인 '아랑 귀신'의 원한, 남해 여수 앞바다의 손돌목의 유래가 된 '손돌'이야기.....
귀신의 일종인 원귀는 억울해서 죽은 귀신들인데, 그들이 이승에서 당한 설움... 신분에 따라서, 남녀차별에 의해서, 먹을 것이 없어서, 죽은 귀신들의 슬픔이 담겨 있는 것이다. 이렇게 '원귀'가 원수를 되갚기위해서 귀신이 된 것과는 상반되게 은혜를 갚기 위한 귀신인 '보은귀'도 있는 것이다. '단군' '김유신, 등과 같은 자나깨나 나라를 걱정하는 '호국신'도 있다. 그리고. 세월이 흘러서 지금은 학교에서 왕따를 당했거나 억울한 일을 당한 '학교 귀신'이 나와서 괴담들을 들려주기도 하는 것이다.

이런 다양한 귀신들의 이야기를 읽다가 보면 무서운 존재라기보다는 그 사연들이 흥미로워지게 된다.
그런데, 귀신은 정말 있는 것일까?    또, 무슨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냐고요?
이 책의 저자는 다음과 같은 말로 마무리 짓는다.

귀신이란 곧 마음이지요, 세상 모든 것에는 마음이 있으며, 그 마음을 눈에 보이는 것으로 그려 낸 것이 바로 귀신이지요. 원귀는 억울한 마음이고, 호국신은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이며, 조상신은 가족을 아끼는 마음이고, 동물귀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마음이지요. 세상에서 가장 큰 힘, 그것이 바로 마음이에요. 이승과 저승을 오가고, 무서운 모습으로도 평온한 모습으로도 바뀌고, 동물이 사람이 되고, 사람이 동물이 되는 것은 모두 우리 마음이지요. (p117)
귀신의 모든 것이 궁금한 어린이들에게 귀신의 정체를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