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기다림 레나테 - 북한 유학생을 사랑한 독일 여인이 47년간 보낸 전세계를 울린 감동의 러브레터
유권하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아름다운 기다림 레나테'는 이 책의 저자인 '유권하'가 중앙일보 기자로 근무하던 중에 베를린 주재 독일 특파원으로 나가 있는 중에 '레나테'할머니의 사연을 접하게 되고, 이 이야기를 기사화하게 되고, 이것이 이슈화되면서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그리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노력 및 국제 적십자사를 비롯한 독일 적십자사를 통해서 독일의 '레나테'와 북한의 '홍옥근'이 재회하게 되는 과정을 인터뷰형식을 빌려서 서술적으로 정리한 책이다.
  1950년대 후반, 북한에서는 한국전쟁이후의 복구 등에 필요한 인재들을 다수 독일 등에 유학을 보내게 되는데, 그때 독일의 예나로 오게된 청년중에 홍옥근이 있었다. 그는 화학을 전공하는 학생으로 같은 대학의 독일 학생 '레나테'와 사랑을 하게 되고, 그들만의 결혼식까지 하게 되는데, 아들이 10개월이 되었을 때에 갑작스럽게 북한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미 '레나테'는 둘째를 임신한 상태였기에 그를 따라 가지 못하게 된다.
 

'이틀내로... 짐을 싸서 귀국행 열차를 타야 하오.' (p51)
청천벽력같은 이 한 마디를 남기고 '48시간의 이별 준비'후에 '레나테'는 '47년간을 두 아들을 키우면서 홍옥근을 그리워하면서 살게 된다.
1961년 4월 14일 오전 10시부터 2008년 7월 25일 오후 4시까지 (p222)
이들이 헤어진 후에 2년 동안은 약 50통의 편지가 배달되었지만, 그 이후에는 생사조차 모르는 상태에서 홍옥근을 기다리는 삶을 살아온 '레나테' 할머니.
우여곡절끝에 47년만의 재회가 이루어지고, 그들을 가로막았던 긴 세월은 낯선 사람처럼 느껴질 정도의 할아버지, 할머니로 변해 있었다. 그들의 두 아들이 어느새 40대 후반의 장년이 되었으니.....
 
레나테는 평소 많은 시간을 보내는 주말농장으로 가서 장미꽃을 꺾어 말렸다. 특별한 마음의 선물을 주기 위해서였다. 남편은 47년 전 가난한 북한에서 보낼 것이 없자, 사랑의 표시로 말린 연꽃잎을 편지에 싸서 보내줬었다. 이제 그 보답을 하고 싶어서라고 했다. (...) 그 사람은 기억하고 있을까? 북한에서 보낸 편지 속에 자신을 잊지 말라고 연꽃잎을 보냈다는 것을, 또 그 꽃잎이 레나테에겐 질곡의 시간을 견디게 해 주었다는 것을 말이다. (p204)
이 이야기는 비단 '레나테'와 '홍옥근' 두 사람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그들이 사랑을 나누었던 그당시에는 독일에 유학온 북한 유학생들이 상당수가 있었기에 이런 비극적인 이별의 이야기는 다수 있다고 한다. 그들은 상대방의 생사조차 모르는 상태로 애타게 소식을 알고 싶어한다고 한다.
그에 비하면, '레나테'는 오랜 세월의 기다림끝에 두 아들과 함께 북한에 가서 10박 11일간이나마 홍옥근을 만날 수 있었으니....   그리고, 현재는 서신왕래는 할 수 있다고 하니.....
47년간의 기다림끝에 레나테의 평생 소원이 이루어진 것이며,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순간을 가질 수 있었으니.....
  국내에서만 이런 안타까운 이산의 슬픔이 있는 것이 아니라, 먼 독일에서까지 이런 애타는 이야기가 있다는 것은 우리 민족의 또다른 슬픔인 것이다.
☆ 홍옥근이 보낸 서신 중에서
'울지마오, 레나테. 당신과 함께 보낸 시간이 모두 아름다운 꿈과 같소. 당신과 결혼한 걸 한 번도 후회해 본 적이 없소. 당신 혼자 그곳에 남겨두고 떠난게 미안하오. (p246)
★ 레나테가 보낸 서신 중에서
'우리의 만남과 아름다운 추억들은 머릿속 깊숙한 곳에 새겨주세요. 세상이 우리를 갈라 놓았지만, 그 기억만큼은 어느 누구도 앗아갈 수 없을거예요. (p2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