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예수
이세벽 지음 / 굿북(GoodBook)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예수'를 소재나 주제로 한 작품들은 셀 수없을 정도로 많이 있다. 장편소설 '예수'의 출간소식을 접했을 때에 단지 '예수'라는 고유명사만을 은유적으로 차용한 어떤 소설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했다. 기독교인들에게는 '예수'라는 책제목만으로도 어쩌면 민감하게 다가갈 수 있는 문제이기에 장편소설의 책제목이라는 것 자체가 의아하기도 했다. 그런데, 막상 책을 접하고 보니, 성경을 근간으로 하여 쓰여진 예수의 일대기였다.
글쓴이는 "이 책은 예수의 일대기를 적은 것으로 문학을 사랑하는 사람에겐 픽션이며, 기독교인에겐 논픽션이라고 할 수 있다"(p4)고 책머리에 적고 있다.
예수의 말씀과 나의 첫 만남은 언제였을까?
아주 먼~~~ , 초등학교 4학년 시절에 어머니가 집사로 계신 장로교회의 전도사의 권유(?)로 크리스마스때에 처음으로 교회를 찾았던 것이다. 아기 예수의 탄생을 축하하는 크리스마스 행사로 어린이 극이 있었는데, 교회를 나간지 며칠밖에 안되는 나는 1인 2역을 맡게 되었다. 제사장과 여인숙 주인역이었다. 신도들로 꽉 찬 무대에서 떨리는 마음으로 보여주었던 크리스마스 연극.
그후에는 교회를 다니다가, 안다니다가, 다니다가 를 반복하면서 지금은 아무런 종교를 갖지 않고 있다. 교회를 다니면서 느끼는 마음중에 하나가 아마도 성경에 나오는 이야기들을 단편적으로 한 사건, 한 사건으로 들을 때는 옛날 이야기처럼 재미있고, 그 말씀속에 담긴 의미를 이해할 수 있지만, 혼자 성경책을 읽노라면 서술방법에서부터, 지금은 사용하지도 않는 언어적 기술 방법이 웬만한 신앙심이 없다면 그냥 책을 덮어야 할 정도로 어렵게 느껴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역사적배경과 지리적 환경도 상당히 이해하기에 어려운 점이 많았던 것이다.
그런점에서 글쓴이가 말하듯이, 나는 한때는 기독교인의 무리속에 있어 보았기에 이 책을 논픽션으로 읽을 수도 있고, 책을 좋아하는 문학적 사람이기에 한 편의 작품으로 본다면 픽션으로 읽을 수 있는 양면성을 가지고 책을 접했다고 볼 수 있다.
동정녀 마리아를 통해서 이 세상에 오시는 장면에서부터 골고다 언덕 십자가에 매달려 돌아가시고 사흘만에 무덤이 열리고 부활하시는 예수의 일대기가 그대로 쓰여져 있다. 사복음서를 중심으로 거기에 나오는 이야기들이 가감없이 쓰여졌다고 하는 편이 올바른 표현일 것이다.
장편소설이라고 해서 어떤 상상력이나 허구적 문장을 찾아 보기는 그리 쉽지 않을 것이다. 어렵게 느껴지던 글들이 현대의 사람들이 읽기 편하도록 다듬어졌다고나 할까.....
어쩌면, 대중들에게 말씀을 전하는 내용이나, 제자들과 나누는 문답식 이야기들이 그 자체만으로도 아름답고 지혜로운 말씀들이고, 그가 행한 많은 기적들은 그것이 기적이라는 것이상의 의미있는 사건이며, 인간들에게 깨달음을 주려는 의도가 있었음을 깨닫는다면 그것만으로도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는 책이 될 것이다.

이 책을 인간의 모습으로 이 세상에 오셔서 사람들을 구원하시려고 하셨던 한 성인의 이야기, 또는 하나님(신)이라는 개념의 예수를 생각하지 않더라도, 책속에는 깊은 깨달음을 주는 의미있는 이야기들이 담겨 있는 것이다.
종교적인 의미로 이 책의 어떤 부분이 성경과 일치하지 않는다, 일치한다 하는 논란은 별 의미가 없을 것이다. 이세벽의 '예수'는 한 편의 장편소설이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