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빠가 최고야 킨더랜드 픽처북스 9
앤서니 브라운 글.그림, 최윤정 옮김 / 킨더랜드 / 2007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현대 가정에서 '아빠'라는 존재는 아주 작고 힘없는 존재로 낮아졌지만, 어린이들에게 아빠란 이 세상에서 가장 힘도 세고, 무슨 일이든지 척척척 다 할 수 있는 '천하무적'처럼 크고도 큰 모습으로 비쳐 질 것이다.
'앤소니 브라운'의 그림책인 '우리 아빠가 최고야'는 그런 아빠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어린이의 눈에는 아빠가 이 세상에서 최고이다.
그런데, 그 표현이 잘 재미있다.
마치, 친구들과 우리 아빠는 너네 아빠보다 이걸 더 잘해 하는 식으로 자랑을 늘어 놓는다. 어린이의 눈에 비친 그대로.... 그러다보니, 아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동물과 자신이 가장 잘 알고 있는 사물과 비교를 한다.
'말만큼 많이 먹고 물고기만큼 헤엄을 잘친다.'
'고릴라보다 힘세고 하마만큼 늘 기분이 좋다.'
'집채만큼 몸이 크면서도 곰 인형처럼 부드럽다.'
'부엉이처럼 똑똑하기도 하고, 빗자루처럼 바보같기도 하다.'
이런 우리 아빠는 못하는 것이 없다. 심지어 그 큰 둥치로 빨랫줄 위로 걸어 다닐 수 있다고 생각을 한다.
유아적 발상이 너무도  재미있다. 그러나, 솔직하게 표현을 하고 있다.
아빠가 빗자루처럼 바보처럼 보인 적도 있는가 보다.
그런 아빠를 어린이는 사랑한다. 영원히~~~
 
 
 

우리 아빠는 거인이랑 레슬링도 할 수 있고, 운동회날 다른 아빠들이랑 달리기 시합을 해도 아빠는 문제없이 이긴다. 우리 아빠는 최고야. (...) 축구는 또 얼마나 잘 하는데! 그리고 나를 얼마나 웃겨주는지 모른다. 나도 우리 아빠가 정말 좋다. 왜 그런지 알아. 아빠가 나를 사랑하니까 지금도 그리고 앞으로도.....
몇 장 안되는 그림책이지만 그림책속에는 아빠에게 느끼는 어린이의 마음이 그대로 들어가 있어서 간결하면서도 순수하다. 더군다나, 그 표현이 너무도 재미있어서 웃음을 자아내게 한다.
도서관에서 '우리 아빠가 최고야'를 찾다가 보니, 이 책을 쓴 '앤서니 브라운'의 그림책이 제법 많았다. 그의 그림책에는 월이와 함께 침팬지와 고릴라가 많이 등장한다고 한다. 어릴적의 '킹콩'에서 받았던 인상이 깊었기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우리 아빠가 최고야'의 아빠도 덩치가 큰 고릴라를 연상하게 만든다.
그런데, 이 아빠의 복장이 더 흥미롭다. 우리들의 아빠가 집에서 가장 편한 파자마와 나이트 가운을 입고 있는 것처럼, 이 그림책 속의 아빠는 달리기를 할 때도, 레슬링을 할  때도, 춤을 출 때도 파자마 바람이다.
 
  어린이의 눈에는 어른의 모습이 있는 그대로 보이듯이, '앤서니 브라운'도 우리의 아빠를 보이는 그대로 표현한 것이다.
어린이가 자라면 자랄수록 아빠의 권위가 사라지고 있는데, 이제부터는 어린이 눈에 비친 우리 아빠처럼, 모든 일에 자신감있는 그런 아빠로 되돌아 왔으면 참 좋겠다. 늑대도 안 무서워하고, 달위도 뛰어 넘을 수 있고, 빨랫줄 위로 걸을 수도 있고, 힘도 세고, 헤엄도 잘 치고, 똑똑하고, 춤도 잘 출 수 있고, 그러나 때론, 빗자루처럼 바보같아도, 영원히 영원히 자식을 사랑하고, 자식이 사랑하는 아버지로 남았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