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적 책읽기, 다독술이 답이다
마쓰오카 세이고 지음, 김경균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나에게 있어서 독서는 어떤 의미일까? 저자의 글처럼 '독서는 패션이다.' '독서는 누군가와의 인연이다.' '독서는 독이기도 하다.' 등등.... 이처럼 독서란 한 마디로 이야기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래도 이야기한다면 '나에게 있어서 독서는 습관인 것이다.' 어릴적부터의 습관.
습관처럼 읽는 책들. 그래서 내곁에는 항상 읽을 책들이 최소한 10권정도는 있다. 그 책들을 읽을 순서를 정해서 책장에 쌓아 놓고, 한 권씩, 한 권씩 정독을 하는 것이 나의 독서습관이다. 어떤 사람들은 몇 권의 책을 한꺼번에 같이 읽는다는 이야기도 들었지만, 나에게는 잘 맞지 않는 독서 방법인 것 같았다. 그런데, 얼마전부터는 가끔씩 2 권 정도는 함께 읽기도 한다. 내용이 좀 난해하고 어려운 책일 경우에는 아주 쉽고 재미있는 책과 함께 읽으면, 머리도 맑아지고 집중력도 생긴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독서의 달인들, 고수들은 책을 어떻게 읽을까 하는 궁금증을 풀어 줄 수 있는 책은 없을까 하는 생각을 하던 중에 읽게 된 책이 '창조적 책읽기, 다독술이 답이다.'이다. 그런데, 제목부터 너무도 딱딱한 느낌이 들고, 이 책의 저자인 '마쓰오 세이고'에 대해서 아는 지식이 거의 없었다. 그래서 책을 보는 순간부터 부담스러운 생각을 갖게 하는 책이었다. 그런데, 의외로 책의 내용들은 저자인 '마쓰오카 세이고'와 이 책을 옮긴이인 '김경균'님과 인터뷰 형식의 글로, 그리고 마지막에는 부록처럼 '특별대담'이 실려 있어서 창조적 책읽기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해주는 책이었다. 저자의 삶에서의 책과의 만남 등을 예시를 통해서 풀어주기 때문에 딱딱한 건조체의 나열일 것이라는 생각과는 다르게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그리고, 인터뷰 형식의 글의 한 꼭지의 글이 끝날 때마다 요점정리를 해주어서 읽으면서 장마다 나온 내용을 정리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저자인 '마쓰오가 세이고'는 우리나라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사람이지만, 일본에서는 출판, 저술활동, 책읽기 등에 있어서 꽤 잘 알려진 사람이다. 지금은 온라인 ISIS (아시스)의 편집학교를 운영하고 '비추얼 북시티'를 구축하고 있으며, 독특한 오프라인 서점도 기획하고 있는 사람이다. 한마디로 장르와 미디어를 넘나드는 다양한 작업을 전개한다. 한마디로 책을 읽고, 편집하고, 기획하는 일을 한다면 쉽게 이해가 될 것이다.

 

책을 통한 지식의 방대함, 그리고 독서에 대한 열정.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책 속에서 삶의 즐거움을 느끼는 것이다.
'세이고식 책읽기' 이 책을 통해서 책을 읽는 방법이 얼마나 다양한지를 깨닫게 되었다. '때와 장소에 따른 다양한 느낌의 독서들'이라면서 나열된 독서 방법들.
感讀, 耽讀, 惜讀, 愛讀,감독(敢讀), 范讀, 食讀, 錄讀, 味讀, 雜讀, 挾讀, 亂讀, 吟讀, 攻讀, 系讀, 引讀, 廣讀, 精讀, 閑讀, 蠻讀, 散讀, 組讀, 筋讀, 熟讀, 逆讀, 雜讀....
아찔하신가요? 그런데, 이 책에서는 이런 독서의 방법이 있다는 것만을 알려 줄 뿐이지, 그에 대한 자세한 요령은 이야기하지 않는다.
세이고는

진정한 독서는 단순히 책을 읽는 것이 아닌 다양한 방법으로 책을 즐기는 것 (옮긴이 서문)
독자 스스로 독서를 통해 지식을 편집하느 방법론을 터득해야 한다. (P6)
 아무리 많은 독서 방법이 있다고 하더라도 자신에 많는 방법이 있을 것이며, 책을 읽는 것을 즐긴다는 생각이라면, 2권 이상의 책을 조합하여 번갈아 읽는 조독은 한 번쯤 생각해 볼 수 있는 방법일수도 있을 것이다.
그가 권장하는 방법중에 '세 권의 나열'은 서점에서 책을 고를 때에도 선택의 기준이 되는데, 근처에 전시된 세 권의 책을 연결하여  구입하여 읽는 방법이다.
그보다 더 관심있게 생각되는 방법은 관련이 있는 책을 함께 읽는 것이다. 장르를 무시하고.... 소설을 읽는다면, 그 소설과 관련된 민속학책이나, 역사책을 함께.
그리고 그가 즐기는 독서 방법중의 대각선으로 책을 읽는 방법은 전혀 다른 분야의 책인 민속학 책과 물리학 책을 함께 읽는 방법이다.
  이 책에서 또한 빼놓을 수 없는 내용은 '센야센사쓰'인데, 이것은 저자 '마쓰오가 세이고'가 온라인에 매일 밤, 한 권의 독서 감상문을 올리고 있는 프로젝트인데, 그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책의 서평이나, 비평을 쓰는 것이 아니라 여행감상문을 쓰듯이 독서감상문을 쓰는 것이다. 그는 공감체험을 안내하는 기록이라고 칭한다.
독서란, 일상생활에서 다른 행동들처럼 그냥 가볍게 받아들이는 것이지, 특별한 행동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 책은 그동안 다독술에 대한 궁금증을 많이 풀어주었다. 그러나, 각자 독자들에게는 자신에 맞는 독서 방법이 있으니,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방법으로 읽으면서, 가능하다면, 새로운 독서방법도 시도해 보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든다.
나처럼 정독이 독서하기에 수월한 사람도 때론, 소설책과 그 당시의 역사책을 함께 읽는다면, 소설의 이해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사람에게는 저마다 책읽는 법이 있으며, 각자 좋아하는 방법으로 읽으면 됩니다. (P178)
웅덩이라니요? 웅덩이나 작은 연못입니다. 웅덩이나 연못을 들여다 보면 크고 푸른 하늘과 주변의 건물들이 투영되어 있습니다. 작은 연못이지만 들여다 보면 각도에 따라 큰 하늘도 들어갈 수 있지요. 더 바짝 들여다 보면 자신의 얼굴이 투영됩니다. 이것은 '눈쌍 구름을 타다' 입니다. 저는 이 한 권으로부터 저의 독서 인생을 자각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더욱 그렇게 생각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P191)

 


독서에 몰두하여 책에 빠져 살다보면 가끔은 이런 생각이 든다. 책을 너무 좋아하는 사람들은 세상 사람들과 멀어질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하루에도 수없이 쏟아져 나오는 책들이 모두 흥미롭고, 관심이 가는데, 어떤 책을 읽어야 할지도.... 그리고, 독서를 하는데 드는 시간도 만만하지가 않으니, 독서를 제외한 세상의 일에 관심을 갖기에 시간은 턱없이 부족하고, 세상의 일에 관심을 가지다 보면 책을 읽을 시간이 부족해지게 된다.
이럴 때에 복선적이고 복합적 방법인 '창조적 책읽기'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