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양장)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청미래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알랭 드 보통의 '여행의 기술'을 읽고 여행 에세이라고는 하지만 흔히 읽었던 여행에 관련된 책들과는 차별화되는 신선한 느낌의 책이었고, 글을 풀어 나가는 방법이나 책 속의 글들이 좋았었다.
그래서 선택한 책이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인데, 이 책의 장르는 소설로 분류되어 있지만, 이것도 사랑에 관한 이야기이기는 하지만 그런 관점으로 이 책을 읽게 되면 읽는 중간 중간에 마음의 갈등을 느끼게 될 것이다. 이 책은 끝까지 읽어야 되는냐, 말아야 되느냐는 생각을 여러번 하게 될 정도의 쉽게 읽히는 책은 아니다. 그것은 이 책은 '사랑'의 과정을 통해서 그 과정 과정의 심리적 분석과 철학적 사유가 담겨져 있기때문이다.
이 책의 저자인 '알랭 드 보통'은 스위스에서 태어나서 케임브리지 대학을 다녔고, 런던 대학교에서 철학 프로그램을 지도하는 분으로 국내에도 그의 저서는 여러 권 나와 있다. 저자는 다른 사람에 비해서 어떤 상황을 해석하는 능력이 뛰어나고 그런 능력은 우리의 일상을 해석하는 재주를 가지고 있다. 여행, 사랑, 일 등의 우리가 경험하게 되는 사건의 과정을 정치, 사상, 철학 등의 눈으로 관찰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솔직히 이런 분석은 너무 사람을 힘들고 삭막하게 만드는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이 소설(소설이라는 생각으로 읽으면 안된다. 철학책이라는 개념이 더 이 책을 이해하기 쉬우니까}은 소설가로서는 생각조차 할 수 없을 정도로 독특한 이야기의 전개과정을 보여준다.
파리에서 런던으로 가는 브리티시 항공 보잉기 안에서 1인칭 화자와 클로이(여)의 만남에서부터 헤어짐까지의 사랑의 과정을 저자만의 새로운 시각으로 엮어 나간다.
두 사람의 만남이 이루어지게 되는 비행기 탑승의 확률 계산으로 부터 시작한다. 보잉기의 내부 그림까지 곁들여 가면서 계산한 확률은 5840.82분의 1이란다. 이것이 두 남녀의 '낭만적 운명'에서 정해진 필연적 사건의 만남이 될 이야기의 시작이다. 그이후의 과정별 상황 전개의 심리적 분석, 어떤 상황이 일어날 가능성, 그때의 철학적 분석 등이 계속 이어진다. 모든 상황에 의미가 부여되는 것이다. 마르크스, 자유정치, 공포정치까지 동원하여 설명이 이어진다.
이글의 주제가 되는 '연애'는 우리 대부분이 경험하게 되는 과정인데, 그 과정을 분석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 운명적 만남- 전화걸기- 만남- 상대방 알아가기- 친근감- 같이 지내기- 그녀에 대한 나의 사랑 알아가기- 여자의 부모님 만나기- 사소한 의견차이-그녀의 어떤 점이 좋은가에 대한 생각- 좋아하는 의미-다툼-멀어짐 -화해- 여행- 남자의 친구와의 만남뒤의 이상한 예감- 상대방에 대한 불안감 - 다시 가까워지는 듯- 뭔지 모르는 의심- 그녀의 행동의 변화- 결별- 여자의 새로운 연인(자신의 짐작의 적중)- 블루 크리스마스(자살시도)- 실패- 회상(보고싶은 마음)- 서서히 잊혀짐-
이와같은 과정은 흔한 사랑의 과정들인데, 과정에 의미가 부여된다. 
이 책의 기본 줄거리인 1인칭 화자와 클로이의 사랑 이야기는 아주 평범하고 때론 너무 많이 보았던 사랑이야기의 장면들이기때문에 진부하게까지 느껴질 수 있는데, 사랑의 과정을 해석하는 시선은 너무도 철학적이고 학문적인 통찰과 사유가 존재하는 것이다.
그래서, '알랭 드 보통'의 글이 특이하고, 그러한 글쓰기의 재주가 돋보이는 것이다. 아마도 글쓰기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표현해도 과언을 아닐 것이다.



 (내가 클로이를 바라보는 방식-나의 사랑은 똑같은 선 양쪽끝에 붙어서 설사 허구적이라고 하더라도 어쨋든 다르다는 인상을 주는 화살표와 같았다. (p116) 



 
(플라톤의 관점에서 그녀를 생각하는 사람이라면 불완전하다고 생각했을지도 모르는 이목구비의 특징에서 매력을느꼈다는 점이다.( p117) 
 



 (비트겐슈타인의 그림에서는 보는 사람의 태도에 따라서 많은 것이 달라진다. 상상력이 오리를 찾으면 그는 오리를 보게 될 것이다. 상상력이 토끼를 찾으면 토끼가 나타날 것이다. p119)
 

아마도, 편한 마음으로 이 책을 펼쳤던 독자들은 사랑이야기와 딱딱하고 철학적인 사유가 얽혀서 그 과정을 이해해 나가는 글을 읽으면서 새롭다는 느낌도 받을 수 있겠지만, 이 책은 현학적인 글들이기에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지적 수준에 도달하여야 함을 느낄 것이다.
솔직한 나의 독서후의 생각도 내가 이 책을 과연 제대로 이해하였는가? 하는 생각과 이 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지적 수준이 나에게는 없다는 자괴감도 들게 된다. 그렇지만, 새로운 의도의 구성이라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