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지킬게요 책고래마을 63
김미라 지음, 김세진 그림 / 책고래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골에 가면 목줄에 묶여서 반경 1m 내외에서 생활하는 개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얼마나 답답할까? 주인은 강아지를 사랑하기나 하는 것일까? '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시골 강아지, 아니 시골 개에 대한 이야기가 가슴을 뭉클하게 한다.
할아버지는 시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개에게 진돌이란 이름을 지어 줬다. 할아버지는 세상을  떠나시고 진돌이는 할머니와 함께 살고 있다. 
어느날, 할머니의 아들 상순이 형이 찾아 와서 할머니를 모시고 어딘가로 떠났다. 진돌이는 영달 할머니에게 맡기고...



할머니는 진돌이에게 육포 간식을 주고, 상순이 형은 그 순간 진돌이의 목에 목줄을 맸다. 이제부터 진돌이는 자유가 없어졌다. 진돌이가 할머니 아들을 상순이 형이라고 생각하는 걸 보면 진돌이는 자신도 할머니 아들이라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목줄에 묶이게 되자 그동안 겁을 먹었었던 고양이, 두더지가 제 세상을 만난 듯하다. 그리고 여러 날이 지난 후에, 
시골집을 떠났던 할머니가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돌아 온다.



오랜만에 할머니는 할아버지 산소를 찾고, 할머니는 진돌이를 나무에 묶어 놓고 산소 정리를 한다.



그때에 멧돼지가 나타난다. 진돌이는 있는 힘을 다해서 목줄을 끊고 할머니에게 다가가는 멧돼지를 몰아낸다. 
진돌이는 할머니를 걱정했지만 할머니는 혹시라도 진돌이가 멧돼지로 인하여 다치지나 않을까 걱정을 한다. 
할머니와 진돌이의 끈끈한 사랑 이야기. 아무 것도 모르고 할머니가 떠난 집을 지키면서 할머니를 기다리는 진돌이.
할머니가 시골집을 떠나서 아들집으로 살러 간 것이 아니라서 다행이었다. 



그림책 <내가 지킬게요>는 전체적으로 그림이 큼직큼직하다. 진돌이의 모습이 시무룩할 때, 걱정스러울 때, 화가 났을 때, 할머니를 지키려고 멧돼지에게 달려 드는 모습이 생생하게 표현되어 있다.집안에서 애지중지 키우는 강아지 보다 더 용감하고 늠름한 진돌이의 모습을 잘 표현했다. 배경 그림 역시 색감이나 전체적인 분위기가 전체적으로 강하게 느껴지는데, 이 책의 이야기와 잘 어울리는 듯하다. 
진돌이가 상순이 형이라는 표현을 쓰면서 자신을 할머니의 아들이라 생각하는 부분도 가족 구성원이 반드시 사람이 아니라도 강아지, 고양이도 가족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듯하다. 진돌이는 할머니와 마음으로 맺어진 가족이다. 
할머니와 진돌이가 행복한 하루 하루를 보내고 있는 모습이 그림책을 덮으면서도 느껴진다. 
어린이들에게는 이 책을 통해서 가족의 의미, 동물도 가족이 될 수 있음을 알려 주는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