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름은 바람 위에 있어 ㅣ 열다
헤르만 헤세 지음, 폴커 미헬스 엮음, 박종대 옮김 / 열림원 / 2025년 8월
평점 :
걷기를 좋아하고 사색에 잠기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구름을 좋아한다. 하늘의 구름은 계절에 따라서 시간에 따라서 날씨에 따라서 각양각색으로 변한다. 아마도 이 세상의 어떤 것 보다도 변화무쌍할 것이다.
나는 하늘의 구름을 보기를 좋아한다. 요즘처럼 다양한 구름이 떠 있는 가을의 하늘을 좋아한다. 그래서 하늘을 카메라에 담기도 한다.
헤세는 초기 작품인 <페테 카멘친트>에서 만년의 소설인 <유리알 유희>에 이르기까지 헤르만 헤세는 자연의 묘사로 하늘 위의 마법의 현상인 구름을 표현하고 해석해 왔다. 아마도 헤세가 시, 소설 뿐만 아니라 그림에도 조예가 깊었기에 하늘의 구름들에 관심이 많았고, 그를 작품 속에 녹여 낸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구름은 바람 위에 있어>는 독일의 '폴커 미헬스'가 '헤르만 헤세'의 초기 작품부터 마지막 작품까지에서 구름과 관련된 글들을 모아서 엮은 책이다.
이미 '폴케 미헬스'는 '헤르만 헤세'의 유고집을 출판하는 일을 했고, 최초의 헤세 전집을 발간했다. 헤세의 글을 모아서 엮은 <헤르만 헤세, 내게 손을 내밀다>, <화가 헤세>, <헤르만 헤세의 시와 음악> 등의 책도 출간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 요즘 가을의 하늘은 너무도 아름답다. 뭉게구름 속에 자세히 보면 무지개 다리를 건넌 강아지의 모습도 있고, 풀밭에서 뛰노는 토끼의 모습도 있다.
'헤르만 헤세'는 이런 구름의 변화하는 모습에서 다채로운 변주를 찾아내 그의 상상력을 자극하여 작품 속의 몇 줄의 글로 표현했다.

헤세에게 있어서 구름은 또 다른 자아였다고 할 수 있다. 구름은 헤세의 이상을 비추는 거울이었다. 한 곳에 머물지 않고 하늘위를 곱게 수놓은 구름은 인간의 한계를 넘는 영원과도 맞닿아 있었다. 구름이 의미 있는 것은 바로 구름이 흘러간다고 표현하는 움직임 때문이다. 구름에는 색이 있다. 흰색, 쟂빛, 핑크빛, 황금빛....
해 뜰녘의 구름, 해질녘의 구름은 태양의 영향을 받아서 붉게 물든다. 폭풍우가 몰아칠 때의 구름은 성난 파도처럼 무섭게 느껴지기도 한다.
저자는 이런 구름을 작품 속의 글에 섞어 써놓은 헤세의 시, 산문 등에서 발췌하여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그래서 구름과 헤세의 마음을 한꺼번에 읽을 수 있다.

*** 꽃가지 ***
쉼 없이 이리저리
꽃가지가 바람결에 나달거린다.
쉼 없이 아래위로
내 마음이 아이처럼 사부작거린다.
환한 날과 흐린 날 사이에서.
욕망과 고행 사이에서
꽃잎이 바람에 흩어지고,
가지에 열매가 달릴 때까지.
아이 상태에 지친 내 마음이
차분히 가라앉으면서
삶의 소란스러운 놀이도 무척 즐거웠고
헛되지 않았다고 고백할 때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