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례 - 그 높고 깊고 아득한
박범신 지음 / 파람북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70년대, 젊은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국내 작가로는 박범신(1946년생}, 최인호 (1945년생), 하수 (1945년생), 김홍신(1947년생) 등이 있다. 박범신의 <죽음보다 깊은 밤>, <풀잎처럼 눕다>. 한수산의 <부초>, 최인호의 <별들의 고향>, 김홍신의 <인간시장>은 그당시의 작가들의 대표작으로 많은 인기를 끌었던 작품들이다. 그 이후에도 꾸준히 작품활동을 하면서 자신들만의 영역을 넓혔었다. 


그들 작가 중에 최인호는 안타깝게도 세상을 떠났지만 박범신, 한수산, 김홍신은 세월을 따라 노년의 길을 걷고 있다. 그 중에도 현재까지 꾸준하게 작품활동을 하고 있는 작가는 박범신이다.


많은 이슈를 일으켰던 <은교>는 작품과는 결이 다른 영화가 상영되면서 원작의 그 느낌이 희석되기도 했다. 그 이후에 박범신은 당시 유행처럼 번지던 미투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 작가로서는 억울한 면이 많았다고 하는데, 법적 조치를 통해서 시끄러운 것 보다는 적극적인 대응을 하지 않으면서 속앓이를 많이 했었던 듯하다.


박범신은 197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여름의 잔해>가 당선되면서 등단한다. 그래서 올해는 등단 50주년이 된다. 작가의 작품이 출간될 때마다 관심을 가지고 줄곧 읽었기에 작가의 문학, 작가의 삶에 대해서 어느 정도는 알고 있었다. 작가는 등단 50주년을 맞아 2권의 산문집<순례> 그리고 <두근거리는 고요>를 출간했다. 



 

<순례>는 그가 작품 <나마스톄>, <촐라체>를 통해서 묘사하기도 했던 지역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 인생이란 시간을 따라 걷는 하나의 순례이다. " (글쓴이의 말 첫문장)

<순례>의 1장은 <비우니 향기롭다>는 히말라야 트래킹 이야기로 히말라야에서 K형에게 보내는 사색 편지형식이다. 



 

2장은 <카일라스 가는 길>이다. 

"히말라야에서 할 수 있는 것은 걷는 것 일 뿐" 이라고 한다.



 

그의 소설 <나마스테>는 이주 노동자들의 농성을 기본 얼개로 쓴 소설이다.  코리안 드림을 쫒아 한국에 온 히말라야 마르파 마을에서 온 네팔 청년(카밀)과 아메리칸 드림을  쫒아 이민 갔다 실패하고 돌아 온 한국 여성(신우)의 이야기이다. 그들의 딸인 애린이 카일라스를 찾아가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그 지역의 이야기가 자세하게 묘사된다. 



 

<촐라체>에는 촐라체 북벽을 등반했던 산악인 박정헌, 최강식을 모델로 한 소설 속 인물이 등장한다.  이 소설은 히말라야 등반의 치열함, 조난, 생환 과정이 나온다. 


<나마스테>, <촐라체>의 배경이 되기도 하는 히말라야와 카일라스 순례기는 이번에 출간된 산문집의 1,2장에 나오는데, 이전에 발표했던 글들을 압축하고 새로 다듬은 글이다.


제 3장은 <산티아고 가는 길>이다. 이 부분은 최근에 쓴 글인데, 작가가 산티아고가 가기로 한 이유는 앞에서 언급했던 미투 사건 이후에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기 위해서 가게 된 순례길 이야기이다. 37일간 꼬박 걸어서 산티아고 대성당에 도착하는데, 그 과정은 걷는 그 자체가 순례이다. 오직 걷는 것만이 그가 가는 길이니....



 

순례를 마치자 마자 작가는 폐염으로 병원 치료를 받는다. 어느 정도 회복이 되어 국내로 들어와서도 병원 치료를 받던 중에 폐암 선고를 받는다.



 

4장은 폐암일기이다. 박범신은 자신을 영원한 청년 작가라고 말하곤 했는데, 그에게 찾아 온 병마. 다행히 폐암 1기로 수술만으로 치료를 마치게 된다. 생존율 27퍼센트라는 폐암에 걸리면서 작가가 느꼈던 많은 생각들이 담겨 있다.



 

<나마스테>와 <촐라체>를 재미있게 읽었기에 <순례>의 1장. 2장의 내용을 읽으면서 그 소설들에 담겨 있었던 이야기를 다시 한 번 되짚어 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