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선생의 지도로 읽는 세계사 : 서양 편 - 지리로 ‘역사 아는 척하기’ 시리즈
한영준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관심있는 분야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들려주는 유튜브가 인기를 끌고 있다. 유튜브 채녈 중의 <두선생의 역사공장>은 '역사와 지리', '세계와 사람'에 관한 이야기를 방송한다.  이 유튜브는 '역사를 위한 지도', '시사를 위한 지리'라는 콘셉트의 역사 강의이다.

<두선생의 지도로 읽는 세계사>는 누적 조회 수 1,740만, 최고 조회 수 152만의 화제의 유튜브를 책으로 재탄생시켰다. 이 책의 저자인 '한영준'은 '역사와 인문사회학의 대중화'를 목표로 '역사 소상공인' '지식 유통업자'의 길을 걷고 있다.

 

 

역사 또는 지리를 좋아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학창시절에 시험을 보기 위한 목적으로 공부했던 사람들에게는 암기과목이라는 잘못된 생각으로 관심 밖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살아가면서 뉴스의 한 부분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지리, 역사는 꼭 알아야 할 부분들이 많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관계도 결국에는 지리적, 역사적인 문제들 때문에 일어난 일이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중국의 동북공정, 한일관계....   모두 지리와 역사를 알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국사, 세계사를 공부할 때에 내용의 한 부분이 지도였던 것도 지리와 역사는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 역사는 필연적으로 시공간이라는 두 축을 기반으로 하는데 공간은 곧 지리를 뜻한다. " (책 속의 글중에서 ) 그래서 역사를 알기 위해서는 그곳의 지리적 특징을 알아야 한다.

이 책은

CHAPTER 1 : 문명의 요람에서 혼란의 대륙으로, 중동

CHAPTER 2 : 지리가 만든 여러 개의 나라, 유럽

CHAPTER 3 : 지리가 만든 초강대국, 미국

CHAPTER 4 : 가지각색 아메리카, 중남미

CHAPTER 5 : 인류의 시작과 세계의 끝, 아프리카

 

 

CHAPTER 별 내용은 그 지역의 자연지리, 역사와 인문지리 그리고 챕터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지리는 자연환경이 만든 지리이고, 인문지리는 사람이 만든 지리 그리고 현재의 지도를 말한다. 역사 속의 국경선이 왜 그렇게 만들어졌는지, 왜 그렇게 그어졌는지를 안다면 그 지역의 지리와 역사를 어느 정도는 이해했다고 할 수 있다.

<두선생의지도로 읽는 세계사>은 지리로 '역사 아는 척하기'시리즈로 이번에 출간된 책은 서양편에 속한다. 앞으로 동양편도 나올 예정이라 생각된다.

책 내용의 시작이 중동이라는 점이 다른 지리, 역사책과는 다르다는 생각을 갖고 책을 읽기 시작했다.

 

 

중동은 북아프리카와 서아시아지역을 일컫는데, 고대 4대 문명 중의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이집트 문명의 발상지이다. 20세기 아라비아 반도에서 석유가 발견되면서 전쟁과 분쟁이 끊이지 않는 지역이다. 왜 그런 분쟁이 일어났느지를 알기 위해서는 지형적 특색과 역사를 이해한다면 거기에 답이 있다.

중동의 역사는 이슬람교 성립 이전의 역사와 이슬람교 이후의 이슬람교가 중도에 끼친 영향을 알면 분쟁의 원인을 알 수 있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지역의 분쟁 역시 유대인의 굴곡진 역사를 알아야 한다.

 

 

여기에 이슬람교를 바탕으로 현재 중동 권역의 토대를 이룬 아랍인, 페르시아 제국을 세웠던 이란인, 셀주크, 오스만 제국을 세운 터키인. 각각의 민족 정체성과 종교 등은 중동의 역사를 이해하는 핵심이 된다. 이런 역사를 알기 위해서는 각 시대의 민족의 변천사를 지도에서 확인해야 한다.

유럽은 민족적, 언어적으로 로망스계, 게르만계, 슬러브계 그리고 종교는 로마카톨릭, 동방 정교회, 개신교이다. 유럽을 중심으로 형성된 역사는 자연지리를 알아야 한다. 그래야 유럽인들이  세계를 이끌었던 역사를 알 수있다. 유럽의 역사를 알면 세계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다.

미국은 독립을 선언한 지 약 80여 년이 지났는데 거대한 국가를 형성했다. 미국의 역사는 미국의 지형, 기후 등의 자연지리 그리고 각 지역이 가진 특성, 문화, 정치, 역사를 알아야 전체적인 미국의 역사를 알 수 있다. 여기에서도 미국의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 지도, 즉 지리가 수반되어야 한다.

 

 

<두선생의 지도로 읽는 세계사>는 특별한 이야기가 담겨 있는 책은 아니다. 지리와 역사 관련 책들에서 흔히 다루고 있는 내용들이 담겨 있다. 역사공부를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지도를 펼쳐 놓고 시작해야 하는 이유를 알려 준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역사는 역사, 지리는 지리, 따로 생각하는 독자들에게 왜 역사를 알기 위해서 지리를 알아야 하는가를 먼저 이해시켜 분다. 이 책에 담긴 내용들은 새로운 지식이나 새로운 주장은 아니다. 역사를 제대로 공부하기 위한 대중 인문서이다.

 

 

" 이 책을 읽고 지난친 '지리결정론'에 빠지지 않기를 바랍니다. (...) 지리적 환경이 인간과 사회의 모든 것을 결정하지는 않습니다. 인류의 역사는 자연에 적응해온 과정이기도 하지만, 자연을 극복해온 과정이기도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세상을 보는 또 하나의 관점 정도로 받아들였으면 합니다. " (p. 237)

책 속의 지도를 보면서 역사를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