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80년, 열하로 간 정조의 사신들 - 대청 외교와 『열하일기』에 얽힌 숨겨진 이야기 서가명강 시리즈 16
구범진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 '21세기북스'에서 출간되는 시리즈인 '서가명강(서울대에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의 16번째 책은 <1780년, 열하로 간 정조의 사신들>이다.

 

 

이 책의 저자인 구범진은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로, 통념을 뒤집고 실체를 추적하는 역사학자로 알려져 있다.  그의 주요 연구분야는 중국 근대사이며 조선과 청나라의 외교 관계, 명청 시대의 경제사를 전공했다.

" 이 책의 제목 '1780년, 열하로 간 정조의 사신들'에서 '1780년'과 '열하'는 이야기의 중심을 차지하는 시, 공간을 나타내고자 쓴 말이다. (...) 1780년은 지금까지 한국사에서 '아무 일도 없었던 해'로 여겨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열하라는 지명은 한국의 독자들에게 전혀 낯설지 않다. 열하 하면 '열하일기'라는 책 제목이 머릿속에 떠오르기 때문이다." (들어가는 글 중에서)

1780년은 청나라의 황제 건륭제의 칠순이 있었던 해이다. 청나라에서 요청하지도 않았는데, 정조는 왜 건륭제의 칠순 잔치에 특사를 파견하였을까?

 

 

건륭제는 청의 수도가 아닌 열하에서 칠순잔치를 하는데, 이때에 특사를 보낸 나라는 조선이 유일했다고 한다.

칠순잔치에는 진하 특사로 정조의 고모부인 박명원이 파견된다. 그런데 박명원은 팔촌 동생인 박지원을 데리고 간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박지원의 <열하일기>는 진하 특사로 동행하여 청나라를 방문하면서 겪은 일을 기록한 책이다.

 

 

그런데, 박지원의 <열하일기>는 사실을 그대로 옮기기 보다는 어떤 기획 의도를 가지고 취사 선택하여 쓴 내용들이 있다.

특히, 청나라에서 받아온 불상에 대한 해명적 내용들이 담겨 있다. 조선시대의 연행록으로는 박지원의 <열하일기>, 김창업의 <연행일기, 1712~1713>, 홍대용의 <연기, 1765~1766>이 있는데, 연행록의 최고 걸작은 <열하일기>이다.

<열하일기>는 한국 문학사와 사상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많은 연구가 되고 있으며, 조선시대에 쓴 한문으로 쓴 작품으로 이만큼 대중적 인기를 누린 책은 없다.

북학파인 박지원은 진보 지식인으로 당대를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이 책에서 언급하는 1780년을 분수령으로 조선과 청의 관계가 크게 달라졌다. 그렇다면 1780년에 정조의 특사파견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조선은 건국이래 수백 년 동안 여진족을 변방의 오랑캐라 여겼으며 병자호란의 치욕적인 패전으로 청나라의 신하로 전락하게 된다.

명나라를 섬기던 조선의 입장에서는 18세기 중엽까지도 청의 멸망을 기대해 본다. 하늘이 청나라를 멸망시키기에는 아직 운수가 다하지 않았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1780년의 건륭제 칠순 잔치에 정조가 자발적으로 '진하 특사'를 보낸 것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

 

 

책의 내용을 살펴보면,

1부 : 1780년 이전의 조선의 반청의식이 형성된 이유, 청에 대한 사신 파견은 어떻게 이루어 졌는가를 설명한다.

2부 : 청의 황제들의 생일 잔치, 1780년 열하, 건륭의 칠순잔치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3부~ 4부 : 박지원이 <열하일기>에 남긴 열하 이야기를 살펴본다. <열하일기> 속의 역사적 사실과 다른 이야기들은 어떤 의도의 산물인가

5부 : 1780년의 열하 이후 조선 사신들에 대한 청나라의 접대에 나타난 변화를 소개한다. 조선, 청 양국 관계의 역사 속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가. 변화의 의도와 효과를 알아본다.

 

 

각 부가 끝난 후에는 Q&A를 통해서 책의 내용을 재확인하고 독자들이 궁금하게 생각하는 문제를 다룬다.

진하 특사로 간 박명원 일행은 건륭제를 만나러 온 티벳의 승려 판첸을 만나게 된다. 그런데 특사들을 당황스럽게 하는 것은 청 황제는 정조의 장수를 기원한다는 의미에서 금불을 선물로 준다.

배불의 나라인 조선의 특사들은 건륭제에게 받은 불상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 것인지 고심하게 된다.  일단은 귀국길에 묘향산에 불상을 모시기로 한다.

그런데, 이 불상은 성균관 유생들은 박명원을 '봉불지사'라고 비난을 하면서 집단 행동을 한다.  불상을 준 사람이 건륭제인지 판첸인지도 확실하지는 않다.  박명원이 판첸이 준 불상을 건륭의 선물로 여겨 조선에 가지고 오게 됐다는 설도 있다.

이 책의 4부에는 박지원의 <열하일기>에서 특사에 대하여 '봉불지사'라고 비난하는 것에 대하여 변호하는 내용이 있다.

판첸과의 만남, 불상에 관한 일을 자세하고 치밀하게 해명한다. 처치곤란한 불상을 받고 어쩔 줄 몰라하는 박명원 일행의 이야기가 나온다. 티벳 승려인 판첸은 달라이 라마에 버금가는 종교적 권위를 지닌 전생활불이다.

박지원은 공식적으로 아무런 책임을 질 필요가 없는 자제군관의 신분으로 청나라에 갔기때문에 실제로 건륭제와 박명원 사이에서 일어난 일들을 알 수가 없었다. 그러나  자신의 목격담처럼 묘사하면서 박명원이 봉불지사라는 오명을 뒤집어 쓴 것을 변호한다.

정조의 자발적이고 파격적인 건륭제의 칠순 잔치에 진하 특사를 파견한 것에 대하여 청도 역시 파격적인 우대 조치로 화답을 한다. 정조는 이외에도 여러 차례에 걸쳐서 청과의 관계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한다.

 

 

1780년대 이후, 조선의 청에 대한 인식은 큰 변화를 가져 온다. 지금까지 독자들은 1780년에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1780년, 열하로 간 정조의 사신들>을 읽어보면 조선과 청의 외교관계에 대하여 새로운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