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의 마지막 습관 - 기본으로 돌아간다는 것 다산의 마지막 시리즈
조윤제 지음 / 청림출판 / 202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다산의 마지막 공부>를 읽은 후에 다시 접하게 된 <다산의 마지막 습관>

 

다산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정조의 총애를 받았다. 그러나 다산을 기억하는 사람들은 그의 유배생활을  떠올리게 된다. 전라도 강진으로 유배를 가서 그곳에서 많은 저서를 남겼기 때문이다.

<경세유포>, <목민심서>, <흠흠신서>등을 통해서 정치와 사회에 대한 개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다산은 자신의 삶을 이야기하기를 과거를 준비하고 성공을 구가했던 때를 '나를 잃어버린 시간'이라고 말한다. 그는 유배생활을 길고 큰 비극의 시간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나을 찾은 시간'이라고 말한다.

다산이 길고 긴 유배생활을 나를 찾은 시간이라고 말할 수 있었던 것은 그 기간 동안에 자신의 삶의 의미와 가치가 학문에 있음을, 그리고 오직 집필을 통해서만 삶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확신했기 때문이다.

다산은 마지막 습관은 자신을 가두고 있던 껍질을 하루 하루 내려 놓는 것이었다. 공부의 정점에서 육십 년간 쌓은 성취를 모두 내려 놓았다.

그는 자신의 모든 것을 비워 나갔다. 꽉 찬 그릇에는 더 이상 아무 것도 담을 수 없음을 알기에....

비워진 자리에는 새로운 습관들이 채워졌다.

다산이 선택한 생의 마지막 습관은 매일, 기본으로 돌아가는 것이었다. 다산은 귀양지에서 <소학>을 자신의 마지막 공부로 삼았다. 학자로서의 정체성을 깨닫고 진정한 자신을 되찾을 수 있었다.

" <소학>으로 외면을 다스리고 <심경>으로 내면을 다스린다면 현인의 길에 이르지 않을까"

다산은 말년에 그동안 쌓은 학문을 모두 비우고 <소학>과 <심경>만을 남겼다. 이 2권의 책은 사서삼경에서 좋은 구절을 선별한 사대부들의 필독서라는 공통점이 있다.

<심경>은 유학의 가장 높은 경지에서 마음을 들여다 보는 심호한 구절을 정리한 책이다.

<소학>은 유학의 가장 낮은 곳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일상생활을 살아가는 가장 근본적인 인간관계, 수양, 효도, 교우관계 등을 담고 있다. 기본적인 인간의 도리를 행동으로 실천한다면 내면을 다스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산은 <소학>을 통해 스스로를 바로 세우고 큰 일을 이룰 수 있게 하는 수신을 꺄닫게 된다.

대학자인 다산이 평생의 공부를 다 비우고 그 자리에 채워 넣은 책인 <소학>의 내용을 접하게 되니 그 내용들이 마음에 와닿는다.

다산이 18년의 유배생활에도 두 아들에게 편지를 보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이야기이다. 그만큼 자녀의 교육, 가정 교육이 중요함을 일깨워준다.

부모는 자녀의 성공을 바라지만 무엇을 어떻게 해야할 지를 모른다. 부모의 살아가는 모습이 바로 자녀에게는 삶의 기준이 된다. 좋은 교육을 시키겠다고 이곳 저곳을 기울거리기 보다는 부모는 말과 행동으로 자녀에게 부모의 삶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책 속의 내용 중에 이 부분이 요즘의 어름들에게 일깨워주는 바가 가장 크게 느껴졌다.

다산은 다방면에 뛰어난 인물로, 의료, 과학 분야에도 관심이 많았으며 음악의 중요성도 알고 있었다.

그래서 <악서고존>이라는 책을 쓴다. 음악을 수양의 도구로 삼아 완성의 경지에 이르자는 조언을 남긴다.

"입으로 정의를 외치면서 정작 행동은 불의하다면, 더욱 비난받아 마땅하다. 가식과 위선이 더해지기 때문이다. " (p. 83)

" 말은 한 사람의 입에서 나와 천 사람의 귀로 들어간다. " (p. 242)

" 흰 구슬의 흠집은 갈아서 고치면 되지만 말의 잘못은 어찌할 수 없도다, 가볍게 말하지 말고 함부로 지껄이지 마라. 누구도 혀를 붙잡지 못하니 해버린 말 쫒아가 잡을 수 없도다. " (p. 243)

사람들은 말을 통해서 자신을 드러내고, 말로써 그말을 했던 사람을 평가하게 된다. 바로 지금 이 사회에 만연하는 말, 말, 말....

매일같이 쏟아지는 사회지도층의 말, 말, 말. 그들의 입을 바라보는 국민들. 지금 이 순간, 이 곳에 다산이 있다면 어떤 말을

할까

 

 

<다산의 마지막 습관>에 담긴 내용들은 단 한 구절도 버릴 것이 없다. 읽고 또 읽고 마음에 새기고 그걸 실천하도록 노력해야 겠다.  

책의 목차

입교立敎) 위학일익爲學日益 배움이란 매일 채워도 끝이 없다
명륜明倫) 자승자강自勝者强 예의란 타인이 아닌 스스로를 이겨내는 자세다
경신敬身) 독립불개獨立不改 흔들리지 않는 마음은 단단한 몸가짐에서 나온다
계고稽古) 이대사소以大事小 강자는 머리를 숙여 자신의 정수리를 보여준다
가언嘉言) 붕정만리鵬程萬里 감히 짐작할 수 없는 말의 내공을 갖춘다
선행善行) 일일청한一日淸閑 하루만이라도 다산처럼 살아본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