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진실과 반전의 역사 - 유물과 유적으로 매 순간 다시 쓰는 다이나믹 한국 고대사 서가명강 시리즈 12
권오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가명강 - 울대에 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

지금까지 12권의 책이 시리즈로 나와 있다. 그 중의 몇 권을 읽었는데, 이번에는 역사관련 강의다.

<삼국시대, 진실과 반전의 역사>인데, 문헌사료가 부족한 고대사의 연구를 위해서는 고곡학 발굴조사를 통한 빅테이터의 활용이 중요함을 말한다.

  

삼국시대의 역사는 <삼국사기>, <삼국유사>등을 비롯한 역사책을 바탕으로 공부하여 왔지만 이 책들은 당시의 역사가들에 의해서 씌여진 책들이 아니다.

시간이 많이 흘러서 고려시대에 씌여졌고, 어떤 의도에 의해서 왜곡된 경우도 있다. 때론 문헌이 아닌 설화 등의 이야깃거리가 삼국시대의 역사처럼 회자되기도 한다.

그런데 지금까지 믿어 왔던 역사적 사실이 하루 아침에 진실이 아닌 왜곡이었음이 드러나는 경우가 있다.

당시의 유물과 유적이 발굴되면서 고대사의 진실이 밝혀지는 순간들이 있다. 그런 현장에서 활약을 했던 서룰대 국사학과 교수 '권오영'의 생생한 이야기가 책 속에 담겨 있다.

저자는 '현장을 지휘하며 진실을 발군하는 역사학자'이다. 역사학과 고고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풍납토성 경당지구 발굴, 한성백제 시대의 숨겨진 역사를 밝히는 역사의 현장에 있었고, 천안 청당동 유적, 순천 대곡리 유적 발굴도 했다.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는 아제르 바이잔, 카자흐스탄, 몽골, 러시아, 베트남 등 해외 유적 발굴에도 앞장서고 있다.

저자는 삼국시대의 역사가 국내가 아닌 해외에서도 불구되거나 해외의 유물이 국내에서 발굴되는 것을 보고 고대사의 진실은 한반도를 넘어 세계로 나아갔음을 확인시켜준다.

유물, 유적의 발굴은 새로운 역사를 쓰는 경우가 많은데, 대표적인 사례는 경주의 조양동 유적, 창원의 다호리 유적, 천안의 청당동 유적이다. 이들은 삼국시대 초기사를 밝히는 중요한 발굴이었다.

마을의 유적을 발굴하여 거기에서 나온 인골을 통해서 고대사회의 가족관계를 밝힐 수도 있다.

무덤에서 나오는 무기, 말투구, 말갑옷 등을 통해서는 당시의 군사조직, 전쟁 방식을 알 수 있다.

유물에서 나온 소소한 식물 등을 통해서는 고대인들의 음식문화를 알 수 있다.

일본이 꾸준히 주장해 왔던 임나일본부설처럼 왜곡된 한일관계사, 가야사를 바로 잡을 수 있었던 것도 고분조사와 발굴 작업에서 얻어진 성과이다.

기존에는 한정된 문헌 자료만을 가지고 연구실에 틀어 박혀서 연구하고 그 결과를 고대사인양 주장하였는데, 이제는 그런 시대는 끝났다. 답사를 통해서 발굴된 유물들을 통해서 역사적 사실을 추정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 앞으로 역사학자는 오케스트라의 지휘자 같은 역할을 맡아야 한다. 고고학자가 발굴한 유물을 가지고 화학자와 함께 분석하기도 하고, 토목 공학자와 함께 공학적 원리를 규명하는 식으로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개발해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역사 연구는 퇴보 할 수 밖에 없다. " (pp. 68~69)

" (...) 언제든 기존의 학설이 무너질 수 있기에 사료를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는 비판적인 사고가 필요하다.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역사는 과거의 역사가가 사실을 선택하고 재구성한 결과다. 사학자라면 과거의 해석에 끊임없이 질문을 던질 수 있어야 한다. 역사는 그런 질문과 대답으로 시작되고 이어지며 미래로 나아간다. " (p. 71)

고대 유적에서 발굴되는 인골은 생물학적 개체로서 인간을 연구 수준을 넘어서서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 연구로 생각하게 되었다.

특히, 순장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준다. 무덤은 고대인들의 사후 세계에 대한 인식을 알 수 있는 귀한 자료이며, 무덤 속에서 나오는 소장품들을 통해서 그들의 생활상, 사회상을 엿 볼 수 있다.

서울을 수도를 중심으로 연구하는 수도 유적지이다. 백세사의 이른 단계를 한성기라고 하는데 그 유적들이 송파구 일대에서 많이 발굴된다.

풍납토성, 몽촌토성, 석촌동 고분군 등은 백제 초기의 역사를 규명할 중요한 곳이기에 정밀한 학술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풍납토성, 미래마을지구에서는 호자라고 불리는 변기가 발견됐다. 이동식 변기가 아닌 화장실이 통째로 발견됐다.

익산 왕궁리 유적, 부여 화지산에서도 백제의 대형 수세식 화장실이 발견되었다.

또한 경주의 왕경 유적에서는 돌로 만든 럭셔리 화장실이 나오기도 했다.

이를 통해서 왕족과 귀족들의 일상 생활상을 그리고 당시의 환경과 위생상태도 알 수 있다.

저자는 처음에는 국내 유적 발굴만을 했는데 해외에서도 고대의 유물들과 비슷한 유물들이 발굴되는 것을 보고 해외의 유물 발굴에도 관심을 갖게 된다.

고대 선인들도 자신이 살고 있는 좁은 지역에만 국한되어 살았던 것이 아님을 알려 주는 교역과 관련된 길들이 있다. 초원길, 사막과 오아시스를 이이주는 길, 바닷길을 통해 중국과 일본 등으로 진출...

그리고 그 지역을 넘어 동남 아시아와 서아시아까지 고대인들도 자신의 영역을 넓혀 나간 흔적들이 여기 저기에서 발견된다.

신라 황남대총과 카자흐스탄, 중앙아시아 속 한국 고대사의 흔적, 페르시아에서 발견되는 신라의 유물, 페르시안 글라스는 초원길, 사막, 오아시스를 통해 신라로 들어왔으며 다시 일본까지 건너가게 된다.

그동안 박물관을 다니면서 눈에 익었던 유물들, 그 유물들을 발굴하고, 그것을 토대로 역사의 부분 부분을 맞추어 나간 학자들의 발굴에 얽힌 이야기를이 흥미롭게 책 속에 담겨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