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한방 산약초 백과 (나를 위한 약초 공부 - 초본 산약초 100가지) 손바닥 약용식물 도감 1
장기성 지음 / 이비락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 한방 산약초 백과 > - 초본  산약초  100가지

<우리나라 한방 목약초 백과> -  목본  산약초  100가지

이 2권의 책은 '우리나라 한방 약초 시리즈이다.

 
여기에서 초본이란 초본식물(草本植物)로 줄기가 연하고 물기가 많으며 꽃이 피고 열매를 맺은 후에 전체가 말라 죽거나 땅위 줄기만 말라 죽는 식물을 말한다.

목본은 줄기나 뿌리가 물관부를 만들고 해마다 생장을 계속하는 식물을 말한다.

쉽게 풀이하면 초본은 풀종류와 같은 식물, 목본은 나무 종류와 같은 식물을 말한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자연에서 많은 약재를 구했다. 지금도 시골 아낙들은 산과 들로 망태기를 가지고 다니면서 이것 저것을 채취한다.

채취한 것들은 나물로 무쳐 먹기도 하고, 말려서 겨우내 밥상에 올리기도 하고, 술을 담기도 하고, 약으로 쓰기도 한다.

그래서 웬만한 민간요법 몇 가지는 다 알고 있다. 오래 전에 아파트 1층에 작은 화단이 있어서 그곳에 각종 꽃들을 심었다. 장미, 라일락, 꽈리 나무, 봉숭아, 과꽃, 맨드라미, 접시꽃 등을...

어느날 동네 할머니가 지나가다가 흰색 접시꽃을 보고는 자기에게 주면 안되겠냐고 했다. 흰색 접시꽃은 흔하지 않은데, 그 뿌리를 다려서 며느리에게 주겠다고 했다. 부인병에 좋다고 하면서...

흔쾌히 줬는데, 어느날은 질경이를 캐는 사람을 보기도 했다. 질경이를 말려서 다려 먹으면 신장병에 좋다고 하면서...

무심코 지나친 일들인데, <우리나라 한방 산약초 백과>를 읽다보니, 우리 주변에 널려 있는 초본식물들이 한방 약재로 쓰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봄에 피는 민들레는 흰 민들레가 약효가 더 좋은데, 항암, 위장, 간질환에 좋다. 여름에 피는 원추리는 소염제, 신경 안정제로 쓰인다.

나물이나 장아찌를 담궈 먹는 머위는 해독과 어혈을 풀어준다. 취는 잎을 나물로 먹는데, 그 중에서 봄에 나오는 곰취는 가을에 뿌리를 말려 약용으로 쓴다. 곰취의 어린 잎은 나물로 먹는다.

취는 나물로 먹기에 그 잎은 많이 봤지만 곰취의 꽃은 노란색으로 수수하면서도 예쁘다. 산국꽃과 비슷하면서도 꽃잎의 모양이 다르다.

취 중에 참취는 먹기도 하지만 전초를 짓찧거나 애어서 환부에 바르기도 하고, 가루약으로 만들어서 복용을 한다.

돼지감자라고도 부르는 뚱딴지는 덩이뿌리로 믹서기에 갈아서 우유나 따뜻한 물에 타서 마시면 당뇨나 변비에 효능이 있다.

메밀국수, 메밀전병을 만드는 메밀은 가을에 소금을 뿌려 놓은 듯 하얀 꽃이 아주 보기 좋은데, 심신 안정, 몸 속의 노폐물을 제거하는 풀이다.

논가의 밭둑, 풀밭, 숲 가장자리에는 봄부터 가을까지 뱀딸기가 열린다. 뱀딸기는 항암, 향균작용, 면역기능 개선에 좋다.

나물을 좋아하기에 많이 먹는 비름, 도라지, 고비, 고사리, 비름 등도 좋은 약초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런 초본들 중에는 유독성이 강한 식물들이 많다. 금낭호, 애기똥풀, 산마늘, 여로, 은방울꽃, 할미꽃, 복수초는 독성이 강하다.

특히 은방울꽃은 전체가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전문가의 처방이 있어야 한다. 여로 역시 독성이 강해서 살균, 구충에 유용하게 쓰이지만 용량에 주의를 해야 한다.

<우리나라 한방 산약초 백과 - 초본 산약초 100가지>는 우리나라 산, 들 그리고 농가에서 재배하는 대표적인 약용 초본 식물 100종을 과(科)별로 분류하여 식물의 생육상 정보와 시중에서 흔하게 쓰는 생약명, 이명까지 함께 담았다.

초본 산약초 100종이라고 하지만 기본 100종과 동종의 약성을 갖는 유사종 70여 종까지 함께 소개한다.

부록에는,

* 초보자를 위한 한방 산약초의 이해와 원리

* 한 눈에 보는 초본 산약초 100가지

* 초보자를 위한 산약초의 채집, 건조, 저장법

* 알기 쉬운 한방 용어

* 주요 질환별 초본 산약초 목록 등이 있다.

산약초 초본 100 종을 사진과 함께 담아 놓아서 그 식물들의 형태와 색까지 알 수 있고, 언젠가 한 번쯤 봤던 식물들은 그 이름을 익힐 수도 있다.

산약초의 효능, 부분 효능, 부작용, 독성 여부, 채취 시기, 이용 부위, 용법, 용량까지 자세히 설명해 준다.

비록 이 책에서 익힌 산약초를 채취하여 복용을 하지는 않겠지만 산약초를 알 수 있어서 좋았다. 특히 우리의 식탁에 오르는 나물류의 상당수가 산약초이고 효능도 뛰어나다는 점을 상기시킬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