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에서 만난 도시의 미래 -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도시재생 이야기
김정후 지음 / 21세기북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 역사를 가진 유럽의 도시들은 옛 건물과 새로운 건물들이 공존을 한다. 그 중에서도 런던은 한 공간 앞에서 옛 건물과 새 건물이 독특한 방식으로 공존을 하고 있다.

런던에서 가장 눈에 띄는 런던 시청 건물은 독특한 디자인을 자랑하며 런던 타워 브릿치를 바라보고 있다.

산업혁명의 출발지였던 영국은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산업구조의 변화로 여러 지역들이 쇠퇴하게 된다.

한 때는 도시의 발전에 큰 역할을 했던 발전소, 기차역, 재래 시장 등은 새로운 도시의 변모와은 어울리지 않는 흉물로 변하게 되었다.

그래서 등장하는 것이 도시 환경의 반전을 모색하기 위한 도시 재생이다.

런던은 화려한 도시의 이면에 황폐한 장소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도시 재생의 출발지가 된다. 도시 재생은 '소외된 공간에 온기를 불어 넣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런던을 중심으로 한 도시 재생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저자인 '김정후'는 런던정경대학 (LSE) 사회학과에서 런던의 도시 재생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도시학, 사회학, 지라학을 넘나들며 도시와 건축의 본질을 탐구하였다.

그는 <런던에서 만난 도시의 미래>에서 런던의 도시재생 사례 10곳을 선정하여 그 사례를 분석해 본다.

런던은 도시 재생의 출발지이기는 하지만 모든 곳이 도시 재생에 성공한 것은 아니다. 그 중의 많은 곳은 실패를 했고, 일부 지역만이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

저자는 런던이 도시 재생에서 어떤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는지, 그 해결 방법은 무엇이었는지, 지금은 도시재생을 어떻게 발전시키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책 속에서 다룬 10개 지역의 사례는 위치, 규모, 기능, 역할, 성격은 다르지만 '쇠퇴한 지역을 살리기 위해서 어떤 방법을 적용하였는기'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도시 재생과 관련하여 가장 주목받는 사례는 테이트 모던이다. 현대 미술에 초점을 맞추기도 한 이곳은 양적, 질적으로 도시 재생의 좋은 사례로 꼽히고 있다.

테이트 모던은 밀레니엄 브리지와 함께 밀레니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00년 5월에 개관한 현대 미술관이다. 테이트 브리튼(Tate Britain), 테이트 리버풀(Tate Liverpool), 테이트 세인트이브스(Tate St.Ives), 테이트 온라인(Tate Online)과 함께 테이트 그룹의 미술관 중 하나다. 보이는 외관 느낌처럼 원래 이곳은 화력 발전소인 뱅크 사이드 발전소로 사용되었던 곳이었는데 공해 문제로 공장이 이전한 다음, 1981년 문을 닫은 상태였다. 이때 건축가 헤르조그와 드 뫼론(Herzog & De Meuron)이 미술관으로 멋지게 개조시켜 테이트 모던이라는 현대 미술관으로 재탄생시켰다.  <출처 : Daum 백과사전 >

테이트 모던은 2000년에 개관한 이래 국내외의 여러 분야의 전문가와 일반인까지도 관심을 가지게 된 곳이다.

문화예술공간이 쇠퇴한 장소, 나아가 지역 전체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테이트 모던은 버려진 거대한 산업유산인 화력발전소를 재활용했다. 그로 인하여 블랙홀처럼 방치된 서더크 지구의 템스강변에 활력을 불어 넣었다.

또다른 사례로는 2000년을 기념하는 밀레니엄 프로젝트로 건설된 밀레니엄 브리지이다. 템스 강을 중심으로 단절된 두 지역 간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킹스 크로스의 경우에는 하나씩 맞춰가는 21세기 런던의 퍼즐이라 한다. 전 세계적으로 추진된 도시 재생 사업과 관련해 가장 많이 언급되는 사례이기도 하다.

그 이유는 재생 사업으로 시민 참여, 민관 협력, 공공 공간 조성, 보행환경 새건, 역세권 활성화, 산업 유산 재활용, 복합 개발, 주거지 활성화 등 오늘날 도시 재생이 추구하는 화두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킹스 크로스 사례는 사업 과정이 단계적이며, 도시 재생 사업의 결과가 단계적으로 등장한다. 

그래서 킹스 크로스 재생사업은 하나 하나씩 맞춰가는 퍼즐과 같은 느낌이 든다.

저자는 런던의 재생사업 지역을 수십 번에서 수백 번에 이를 정도로 방문을 하고 관련 전문가들과 여러 차례에 걸쳐서 토론하고 대화하면서 이 책을 썼다.

런던의 도시 재생사업은 옛건물과 새건물이 독특한 방식으로 공존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성공과 실패 사례들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그렇지만 런던은 낙후한 지역의 쇠퇴를 해결하기 위해서 치열하게 도전하고 있다. 그래서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도 도지재생사업으로 쇠퇴한 지역을 살리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지 못하고 그저 지역 미관만을 살리는 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다. 

런던의 사례를 참고하면 좋은 지역도 있겠지만 그렇지 않은 지역도 있을 것이다. 무조건 도시재생 사업에 의해서 변모된 모습만을 보고 사업을 진행할 것이 아니라 지역마다의 특성을 살리는 도시 재생사업이 되도록 해야 한다.

우리 도시는 우리 도시답게 재생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