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스등 이펙트 - 지금 누군가 나를 조종하고 있다!
로빈 스턴 지음, 신준영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 가해자, 피해자 모두 인식하지 못한 채 벌어지는 정서적 학대! 가스등 이펙트.
인간은 관계의 동물이다. 가족, 상사, 인간관계 등.. 사람과 사람 사이에 벌어지는 관계이기에, 감정의 관계에서 벗어나기 힘들다. 일처리를 깔끔하게 하고, 논리적인 생활을 하는 이들도 벗어나기 쉽지 않은 정신적 학대! 사랑받고 싶은 마음과 관계를 잃고 싶지 않은 마음은 "내가 좀 참으면 되지, 나를 이해하지 못해서 그런거야" 등으로 문제를 외면하기 십상이어서, 상황이 악화된다고 생각한다.
그 사람을 소중하게 생각하면 할 수록 상대의 영향력과 정신적 학대에 벗어나기 힘들 가능성은 더 커진다. <가스등 이펙트>는 정신적 학대를 하는 세 가지 유형인 매력적인 유형의 조정자와 선량한 유형의 조정자, 난폭한 유형의 조정자를 소개하고, 확인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 실제 상담 사례를 소개한다. 상대의 정신적 학대가 깊어지는 불신-자기 방어 - 억압의 단계를 차근차근 설명하고, 이것에 벗어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한다.
# 당신의 의견에 동의하고, 선량해 보이는 척 하지만, 배려의 마음이 없다면 정신적 학대!
난폭한 유형의 조정자는 정신적 학대의 경우가 쉽게 판단 할 수 있지만, 선량한 유형의 조정자와 매력적인 유형의 조정자는 처음의 경우보다 구별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약속 시간에 늦고, 자신의 잘못은 변명하려 하지 않고, 매력적인 선물과 서비스로 넘어가려는 태도는 쉽게 용서해 줄 듯 하지만, 그것이 지속되면 자신을 조금씩 정신적 학대에 빠지게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상대가 원하는 대로 하지만, 상대가 원하는 행동을 취하지 않아 마음을 불편하게 하는 마음들이 불편한 마음을 만들고, 좋은 사람인 모습을 보이기 위해 사용되는 절충안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을 알 수 있었던 점이 가장 좋았다.
정신적 학대의 유형에 일반적으로 자신의 의견이 옳으면 무조건 거기에 따라야 한다는 독선과 상대의 기분보다 자신의 기분을 우선시생각하는 이기적인 마음, 피해자가 자신의 마음을 이해한다는 점을 이해해서 감정으로 조정하려는 마음이 스며있음을 알 수 있었다. 피해자가 가해자의 관점에서벗어나지 않으면, 문제가 점점 악화되어 상대의 관점에 이입되어 스스로를 무기력하게 만든다는 점을 알게되어 좋았다. 관계를 소중히 생각하는 만큼, 자신을 더 소중히 하는 마음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할까? 스스로에 대한 자신감과 무력감을 잃기 시작하면 관계 역시 무너질 수 밖에 없음을 확신하게 되었다.
# 실제 사례를 이용한 설명의 방식.
문제의 유형부터 문제점 인식, 해결의 방안까지, 오랜 상담 경험을 한 저자의 상담 내역을 재구성해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부모-자식 간의 혈연관계, 상사-부하의 직장생활, 연인의 경우까지 사람과 사람의 관계가 맺어지는 모든 부분에서 정신적 학대가 발생할 수 있고, 피해자 역시 가해자가 정해진 것이 아니라 누구나 될 수 있다는 점도 알게 되었다. 상대의 의견을 존중하지만, 상대의 영향력을 경계할 수 있는 마음과 상대가 의존하려 할 때, 자립하도록 도와주는 마음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사랑하니까 그의 모든 점을 이해해야 한다'는 맹목적인 사랑이 정신적 피해를 가중시키는 모습과 자신의 의도를 상대가 이해해 주지 않았다고 끝없이 불안해하고, 초조해 하는 마음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다. 상대가 내 마음을 이해해 주지 않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잘못된 문제에서 벗어나려 하지 않는 내 마음에 문제가 있다는 점이 강조된 점이 좋았다. 학대의 경우를 명확히 인지하고, 스스로 해결하려 노력하는 모습의 필요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몸의 학대는 상처가 사라지면 잊을 수 있을지 몰라도, 마음의 상처는 눈에 보이지 않기에 인지하기도 쉽지 않고, 벗어나기도 어렵다. 소중한 관계라는 이유로 누군가에게 피해를 주고 있지는 않은지, 누군가에게 매달리는 건 아닌지 고민해 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해답은 웅덩이에 벗어나는 것처럼 간결하게 표현되지만, 실제 경험은 그렇게 쉽지 않다. 지금 내가 웅덩이에 발이 빠져있는지, 바르게 땅에 디디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부록에 소개된 감정용어집과 상황을 표현하려는 훈련은 관계를 살피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여성들의 사례가 압도적이였는데, 남성의 사례도 다양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과 마지막 부록의 관련기관에 한국내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도 소개되었으면 더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엄마니까, 사랑하니까, 상사니까,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인식해야 한다는 제안.. 정신적 학대의 미묘한 심리에 대해 알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