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평 쓰는 법 - 독서의 완성 ㅣ 땅콩문고
이원석 지음 / 유유 / 2016년 12월
평점 :
독서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아마 책을 한 권 다 읽은 후에 서평을 꼭 쓸 것이다. 책 내용을 다시 맛보고, 그 책을 아직 읽지 않은 사람들에게 책에 대한 정보를 주고 싶어서 말이다. 이런 면에서 서평 쓰기는 하나의 조리 방식이다. 책이라는 재료를 손질하여 서평이라는 요리를 만드는 조리 방식 말이다. 책을 읽을 때는 느끼지 못하는 또 다른 재미를 서평을 쓸 때 느낄 수 있다.
서평을 쓰는 사람이라면 한 가지 고민을 할 것이다. 어떻게 하면 더 잘 쓸 수 있을지는 기본이다. 여기에 더하여 자신의 글이 서평인지 독후감인지, 그 경계에서 어느 쪽으로 기울어 있는지 글의 정체성을 고민할 것이다. 그리고 서평이라면 상관없는데 독후감이라면 앞으로 서평을 써야 할지, 서평은 어떻게 쓰면 되는지 궁금할 것이다.
『서평 쓰는 법』
이 책은 독후감과 서평의 차이점, 서평 쓰는 법을 안내하고 있다. 이 책은 독후감과 서평의 차이점을 이렇게 말한다(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첫째, 독후감이 정서적이라면, 서평은 논리적입니다.
둘째, 독후감이 내향적이라면, 서평은 외향적입니다.
셋째, 독후감이 일방적이라면, 서평은 관계적입니다.”
많은 사람이 독후감과 서평을 혼동하지만, 둘은 엄연히 차이가 있다. 간단히 말해서 독후감은 감상이라고 할 수 있고, 서평은 요약과 평가라고 할 수 있다. 쉽게 말해서 서평은 장단점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책을 읽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대신 판단해 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서평은 어떻게 쓰는 것인가?
먼저 잘 읽어야 한다. 제대로 읽지 않고,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면 서평을 쓸 수 없다. 책을 다 읽은 후에는 입장을 정해야 한다. 저자의 말에 따르면 “적이냐 친구냐 하는 두 가지 입장 가운데 하나를 택”해야 한다. 입장을 정해야 책을 바라보는 관점이 서기 때문이다. 입장을 정했으면 이제 본격적으로 쓴다. 요약하고, 평가한다.
시중에 글쓰기 책은 많지만, 서평 쓰기 책은 손에 꼽는다. 사람들이 서평을 어떻게 쓰는지에 대한 고민은 별로 하지 않는다는 방증이다. 서평은 기자나 전문서평가의 영역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그런 면에서 이 책은 그 자체로 읽을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서평 쓰기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읽을 만하다. 이 책의 단점이 있다면, 이론과 실제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이 없다는 것뿐이다. 하지만 그것은 이 책의 관심사가 아니기에, 정확히 말해서 단점이라고 할 수는 없다. 아무튼 서평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읽어볼 만한 책이다.
•
책을 읽고 독후감을 써야 할까, 서평을 써야 할까. 무엇이든 쓰는 사람 마음일 것이다. 독후감이든 서평이든 쓰고 싶은 방식으로 쓰면 된다. 대신 독후감을 썼음에도 서평을 썼다고 착각하지는 말아야 한다. 둘은 분명히 다르기 때문에 차이를 분명히 알아야 한다. 차이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차이, 목적이 분명하지 않으면 글이 산으로 갈 수도 있기 때문이다. 혹시 누군가 그 글을 본다면, 그 사람이 시간을 낭비하게 한 셈이 된다. 차이만 분명히 안다면 무얼 쓰든 무슨 상관이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