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플라스틱 사회 -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고 단 하루라도 살 수 있을까
수전 프라인켈 지음, 김승진 옮김 / 을유문화사 / 2012년 11월
평점 :
절판
마트에 간다. 물건을 사고 집에 가져가기 위해 박스에 옮겨 담는 포장대에서는 여기저기에 비닐 포장재가 넘쳐난다. 되도록이면 상품을 싸고 있던 포장지를 벗겨내고 알맹이만을 담느라 정신없다. 쓰레기 종량제로 바뀐 뒤 벌어지는 진풍경이다. 상품을 고를때 진열장에서 얼른 나를 가져가세요라고 손짓하던 그 포장재가 사자 마자 쓰레기로 돌변하는 순간인 것이다.
집에 와도 포장재가 모두 사라진 것은 아니다. 생활필수품이며 야채를 싸고 있는 것은 모두 플라스틱이기 때문에 먹고 난 빈 용기며 봉지를 버리는 분리수거를 하다 보면 또다시 시작된 똑같은 작업이 일어난다. 시장바구니를 대신한 비닐봉지는 어느새 또다른 물건을 담고 있지만 아마 금방 다른 것들과 같이 쓰레기봉지속으로 떨어질 것이다.
현대 사회를 플라스틱으로 정의내린 <플라스틱 사회>(2012. 11 을유문화사)는 제목자체에서 화려한 색상을 가진 플라스틱으로 대변하는 현대인들의 소비성향, 경제구조, 환경까지 두루 생각나게 한다.
플라스틱이 여러가지 물질로 변할 수 있는 것은 분자구조가 중합체이다. 이름이 각각 다르지만 한 가지 공통점인 중합체라는 것은 원자 단위 수천 개가 사슬로 길게 이어져 거대한 분자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구슬들의 길이와 배열에 따라 강도, 내구성, 투명서, 유연성, 탄력성 등에서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최초의 합성수지 베이클라이트의 발명은 자연에서 발견되지 않는 분자들로 구성된 최초의 플라스틱의 시작이다. 그리고 2차 대전중에 처음으로 사용하던 합성수지가 전후 일반용품에 바꿔내면서 우리는 비로소 플라스틱으로 불리는 현대소비생활에 들어서게 된 것으로 본다.
총 8가지- 머리빗, 의자, 링거백, 라이터, 비닐봉지, 페트병, 신용카드- 플라스틱 제품들으로 본 플라시틱이 특성은 우리가 그동안 이들과 관계맺어 온 흔하지만 실질적인 모습에서는 소수의 인간들의 전유물이 일반인들이 손쉽게 닿을 수 있기까지 플라스틱이 미친 영향은 마치 기적에 가까운 것을 알게 된다.
특히, 의자의 경우 많은 시행착오 겪고 난 뒤 소비사회의 대변인으로 표현되기도 하는 일체형의자가 어떻게 대중화가 되었는지, 뭔가 좋은 것을 만들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확신을 가진 것을 많은 디자인너들에게 가져다 줌으로써 새시대를 열었다.
의학적인 면에서 링거백은 환경호르몬의 유해성을 심각하게 고려하게 만들고 세대를 거쳐 나타날 위험성 지적하고, 라이터와 비닐봉지의 경우 대양오염으로 점철된 현대의 버리는 문화를 가져온 플라스틱의 폐해 그리고 대안을 찾는 이들의 노력을 엿볼 수 있다. 놀라운 사실은 페트병의 경우 무수히 버려지고 또 재활용되는 과정에서 중국 공장으로 쏟아져 들어온 뒤 다시 원료인 수지로 변화되는 현장을 직접 가본 저자의 생생한 보고가 놀라웠다.
이제는 생분해 되는 천연물질로 추출되었던 처음으로 다시 돌아가고자 중합체시장의 새로운 경쟁자가 된 농업분야, 그리고 플라스틱과 조화롭게 지내기 위해 관계 재정립으로 사람과 지구에 더 안전한 플라스틱을 개발해야 함을 강조하는 그린 플라스틱까지 저자는 뒤에 참고한 수많은 문헌들과 인터뷰만 봐도 알수 있을만큼 거의 치밀한 조사가 뒤따랐다.
흔하고 값싸고 쉽게 버려지기 때문에 중요성보다는 싸구려라는 이미지 안에는 발견해낸 이들이 겪은 놀라운 발견, 대중화에 힘쓴 흔적은 놀랍고 뒤에 벌어질 일들 - 썩지 않고 남아서 환경적으로 문제시되는-여러 가지 후폭풍까지 이 책 한권에서 만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