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요 - 2012년 제13회 이효석문학상 수상작품집
김중혁 외 지음 / 문학의숲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김중혁이란 이름을  단번에 기억이 나게 하는  작품은 <악기들의 도서관>이다.  면접장에서 서로 역할을 바꿔보는 장면은  나를 떨어뜨린 면접관의 모습의 난처해할 모습이 생각나 그래서 통쾌하기까지 해서 재미있었다.  에세이집 <뭐라도 되겠지>와 <좀비들>은 유머러스함과 동시에 작가의 소소한 일상을 엿본 느끼게 할 만큼 관심이 높은 작가다.

 

   그의 <요요>라는 작품이 이효석문학상 수상작에 선정이 되었다는 소식에 뒤도 안보고 달리듯 읽었다. 제목은 한때 장난감이자 유행했던 그 요요가 생각나지만 실은 기계식 시계의 이름이다. 주인공 차선재는 자신의 존재 때문에 결혼을 하게 된 부모가 이혼을 하게 되고 모든 것을 원점으로 돌릴 수 있다면 어떨까하는 생각에 시간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시계에 몰두하게 된다.

 

  아버지와 둘이 살던 주인공은 지방에 있는 한 대학에 입학하게 되고 거기서 우연히 어느 명사의 강의 포스터앞에서 그를 찍는 여학생 장수영을 만난다. 그녀와의 아름다운 추억도 잠깐 그녀가 겨울방학과 동시에 연락이 끊기고 그는 군대를 가게 되면서 둘의 인연은 끝나보인다. 한장의 편지와 함께 사라진 그녀와 먼시간을 돌고 돌아 우연히 메일을 받게 된다.  용기를 내어 그녀를 찾아가기로 한 차선재는 갑작스런 아버지가 쓰러져 결국 그녀가 있는 베를린에는 가는 것을 포기하고.. 전시장을 찾은 수영과 만나 다시 만날 약속을 한뒤 그가 만들기로 했던 시계의 이름을 요요로 바꾼다.  나쁘지 않아. 그래 나쁘지 않지.

 

  시간을 돌릴수 없지만 흐르는 시간역시 머무르게 할 수 없듯이.

 

  이번 수상집을 통해 반가운 작가는 <당신옆을 스쳐간 그 소녀의 이름은>의 최진영작가이다.  워낙 처음작품이 강렬한 나머지 다음작품을 어떻게 그려낼지 기대된다는 지인의 강력추천에 단박에 사서 읽었던 작품이었다. 나역시 다소 직접적인 표현역시 거부감이 있었지만 다 읽은 후에 소녀가 겪은 모든 일들이 롤러코스터 같았지만  우리가 지녔던 사회적 편견이 어디까지일까 자문하게 했던 기억이 있다. 이번 작품<엘리>는 스물여덟살인 주인공이 50살먹은 코끼리와의 동거, 영화를 찍기 위해 그만의 훈련과정까지 웃으면서 그전에 진지한 모습은 기억조차 나지 않게 만들만큼 읽었다.

 

  <백의 그림자>의 작가 황정은의 <상해>는  친구와 친구어머니와 함께 떠난 가을걷이 여행(?)을 마치 로드무비를 읽은 느낌이었다. 일손이 부족한 한적한 시골마을에 사는 두 노부인과의 일과는 다음을 기약하기 어려운 슬픔이 그리고 쓸쓸한 가을날이 연상되었다.

 

  신인이라고 할 수 없는 작가들의 모음집이다. 이름이 생소한 작가라고 해서 무조건 신인이라고 할 수 없다. 그저 이번에 처음 접해 본 작가라 앞으로 어떤 작품으로 다시 만나게 될지 기대가 되는 작품집이다. 책을 덮으려는데 책날개에 그동안 수상한 작가들의 작품이 연도순으로 나열이 된 것을 보게 된다. 아 나는 아직 갈 길이 멀구나 싶은 생각이 동시에 들게 만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