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콘 D700 카메라는 처음 출시되었을 때 무척 가지고 싶었던 카메라 기종이다. 당연 Dslr 기종의 풀 프레임 보디(센서가 35MM 필름과 1: 1 비율을 풀 프레임이라고 한다.)이다 보니 설레기도 했던 보디이다. 가격 때문에 구매는 못해 손가락만 빨았던 적도 있다. 그런데 최근에 우연스럽게도 이 기종의 보디 가격을 보니 글쎄 40도 안되는 놀라움. 가격 방어가 파괴된 상태였다. 처음 출시되었을 때보다 가격이 무척 떨어진 걸 이해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씁쓸한 이중적인 감정이 흘렀다. 처음엔 200인가 하여간 중급 이상 급으로 기억난다. 카메라 가격은 그야말로 격세지감이 따로 없다. 중급 보디가 초급용의 가격이 되어 버렸다니 놀랍기도 하고 이렇게까지 떨어진 게 약간은 섭섭하기까지 하니 말이다. 한때 Dslr 바람이 불어서 어디 관광지를 가봐도 카메라도 큰 게 종종 보였을 정도로 사진작가가 된 마냥 많기도 했는데 지금은 다들 어디로 갔을까 싶을 정도이니 까. 바람은 한때의 바람일 뿐었던가 보다. 사진이 단지 카메라의 기계적인 호기심으로 충족될 수는 없다는 걸 그들은 몰랐을 테니까 말이다. 카메라도 수요가 가격이 파괴될 정도로 수요가 줄었다.

 

평소 내가 좋아하는 기종 또 하나가 있다. 올림푸스 카메라.

 

 

 

이 카메라는 마이크로 포서드 마운트의 미러리스 카메라인데 당연 처음 출시될 때도 고급 기종 카메라. 이 카메라 가격도 다나와나 지마켓에서 최저가가 40이 안된다. 카메라 시장은 그야말로 끝물이자 재고 떨이로 전락한 느낌이 나지 않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른 느낌이라고나 할까. 이렇게 가격이 추락하는 것이 이해 못할 일도 아니다. 역시나 카메라의 수요가 대폭 줄어들었음을 체감 가격에서 느낀다. 하기야 요즘 어디를 가나 핸드폰에 손톱보다 작은 액세서리로 찍는 카메라가 대세이다 보니 카메라 수요는 없을 수 밖에 없다. 카메라의 대체품이 핸드폰 카메라로 이전되었을 뿐이지 사진 찍는 사람이 줄어든 건 아니다. 다만, 큰 카메라가 작은 카메라로 대체되었을 뿐이다.

 

카메라의 편견일 수도 있겠지만, 나는 작품처럼 담겠다고 마음먹으며 찍는 사진은 핸드폰 액세서리용 카메라로 담지 않는다. 게다가 액정 모니터로 보면서도 사진을 안 찍는다. 거의 대게가 뷰 파인더에 한 쪽 눈을 접안 시켜서 찍는 편이다. 이는 카메라의 작동원리가 큰 카메라나 핸드폰 카메라나 거의 같다고는 하나 물리적인 광학의 사이즈가 차이가 무지하게 난다. 특히 빛을 받아들이는 렌즈를 통한 빛의 감광되는 센서가 다르다. 좁쌀보다도 작은 센서의 크기로 무한대의 빛스펙트럼을 다 받아도, 생략되는 빛들이 너무 많다는 뜻이다. 즉 화소 수에 따른 화질의 차이는 실로 어마어마하게 많이 난다. 물론 문서라든가 기록으로 기억을 해내야 하는 것은 핸드폰이 카메라보다 낫다. 그런데 이미지가 사진의 미학으로 진행하려 들면 핸드폰의 렌즈가 너무 작다. 특히 한 쪽 눈을 감고서 한 쪽눈으로만 찍는 사진에 대해 민감하게 생각한다. 사각 프레임의 4개의 모서리까지 시선을 옮겨가며 빛을 받아들이는 시각을 보고자 한다. 그 시각에서 생각되는 모든 것을 시처럼 읊조린다. 즉 보이는 것의 너머에 있는 생각과 사진의 너머에 있는 보이지 않는 것들까지 찾으려 한다. 


 





사진은 도구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는다. 때로는 도구가 어디서 누가 만들었는가라는 명성에 따라서도 감성적인 차이가 난다. 카메라도 이와 다르지 않다. 요즘처럼 가성비를 따지기도 하지만 예술 지양하는 도구는 공학적인 경제적인 효율성과는 맞지 않는 분야 중 하나이다. 누가 사용했는지에 대한 명성과 주장하는 바를 적어 내려는 기능과의 조합으로 도구는 결정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도구에 의해서 사진은 철저히 종속되는 이유기도 하다. 카메라는 광학이라는 물리적인 특징을 담아 기록하는 매체이기 때문에 만능이라는 카메라는 없다. 따라서, 가성비를 따지며 좁쌀만한 렌즈의 한계는 사진의 제약으로 드러나는 한계를 보인다. 가끔 아이폰으로 SLR의 효과를 주겠다고 아웃포커싱을 넣은 사진을 보면 아는 사람은 안다. 그거 사기라는 거. 소프트웨어적으로 가공했을 뿐이다. 그럴지도 모르겠다. 같은 아이폰으로 찍었는데 나는 왜 안되는지 궁금했을 거다. 여기서 더 나아가다 보면, 카메라는 현상의 도구이기도 하지만 사유의 도구이기도 하다. 물론 처음에는 현상적으로 접근하지만 사진을 오래오래 하다 보면 이게 단순히 보이는 것만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는 걸 알게 된다. 결국 예술이란 현상에서 사유로 이어지고 현상에서 추상으로 사유가 확장된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사진은 빛을 감광시키고 감광된 이미지를 본다. 이 빛은 에너지의 욕망이자 허무이다. 빛의 변화와 에너지의 흡수와 방출에 따른 떨림이 곧 허무이다. 우리는 거대한 빛의 욕망과 그 허무에서 산다. 사진의 용도는 허무의 각성이자 욕망을 붙들고 싶은 표현이다. 결국 모든 것이 변하고 사라지고 생성되는 과정 속에 잠시 내가 나를 만난 것뿐인데, 이 변화에서 내가 추출하고 싶은 욕망만을 영원히 붙들고자 하는 부질없음에 저항이다. 결국의 자기 모순들. "안되는 줄 알면서 왜 그랬을까"라는 동요 가삿말은 흡사 사진의 용도를 두고 하는 기막히게도 정확한 표현일 것인지도 모른다. 우린 다 사라질 줄 알면서도 낳고 죽고 살아가는 과정 속에 있다는 것이다. 소용도 없는 클라이언트가 없는 사진은 불행한 운명처럼 그런데도 불구하고서 말이다. 카메라를 구입하려다가 포기했다.가격이 문제가 아니었다. 카메라가 더 있다 한들. 무슨 소용일 것이며, 무슨 용도를 더 확인할 것인가. 단지 돈이 더 들고 안들고의 문제가 아니다. 까짓것 한 대 더 있다 한들 이 무소용의 허무조차 극복할 제간도 생각도 못한다. 욕망이 무력화될 때, 사진을 찍으며 살아가는게 좀 두렵다. 그래도 찍어야지. 별 수 없다.

















댓글(18) 먼댓글(0) 좋아요(3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장소] 2018-12-12 09:1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유레카님 , 진짜 , 좋은사진 잘 보고 가요!^^

yureka01 2018-12-11 08:51   좋아요 1 | URL
감사합니다.
그장소님 잘 지내시죠?

[그장소] 2018-12-11 17:27   좋아요 1 | URL
네.. 12월 , 눈 조금 날리다 만 오늘도 잘 지내고 있습니다 ~^^

yureka01 2018-12-12 09:01   좋아요 1 | URL
겨울 춥지만 따습게 ^^..

카알벨루치 2018-12-11 09:1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제가 몇년전에 사진찍으시는 분과 임실에 새벽출사를 따라갔는데 그때가 새벽5시 안되었을 때인데 산등성이 곳곳에 사람들이 왜 그리 많은지, 특히나 노인분들이 왜 그리 많은지...

은퇴이후에 사진을 소일거리로 삼아 출사를 하신다는 이야길 전해듣고 놀랬죠 사진은 헛헛함을 유발하기도 하겠지만 또 한편으로는 헛헛함을 해소하는 창구가 되기도 하겠다 싶네요 유레카님 오늘도 멋진 날 되시길!

yureka01 2018-12-11 09:20   좋아요 2 | URL
사진을 찍기 시작하면 초창기에는 다들 새벽 출사 필히 나갑니다.ㅎㅎㅎㅎ
한번쯤 거치는 과정처럼요..저도 그랬으니까요.
주로 풍경사진에 빠지면 일출사진 때문에라도 가게되죠..
그런데 오래 못가요..그래서 더 헛헛하기도 하죠...
일단 뭐든 그렇겠지만 사진도 돈과 시간이 많이 들기도 하거든요..
그래서 사진 오래 하시는 분들의 특징이 심미적으로 접근하게 되면 취미가 오래 갑니다.
감사합니다~

카알벨루치 2018-12-11 09:38   좋아요 2 | URL
맞네요 심미적인 접근...오늘도 하나 배웁니다 결국 사유와 생각이 가장 큰 것 같네요

yureka01 2018-12-11 09:42   좋아요 2 | URL
네..사진도 눈에 보이는 피상성만 찾으면 오래 못합니다.
예술이란 게 대부분 다 그렇거든요..심미적이라는 거..^^..
그래서 예술과 철학은 두바퀴의 수레처럼 나가게 되는 거죠..
그게 작가가 담당하는 분야기도 하죠..
감사합니다!~

겨울호랑이 2018-12-11 09:4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사진가에게 카메라는 마치 기사에게 명마와 같은 존재라 생각됩니다. 순간을 놓치지 않는 멋진 파트너를 만나고 싶어하는 것은 사진가들의 공통된 바람임을 다시 알게 됩니다.^^:)

yureka01 2018-12-11 10:08   좋아요 2 | URL
사진은 카메라에 특성의 영향을 절대적으로 받거든요..사진이 에전에 없었던 거라서 말이죠..
카메라 욕심...ㅎㅎㅎㅎ이거 내려 놓기도 참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강옥 2018-12-11 11:2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필름 카메라를 거쳐 똑딱이, 하이엔드, 렌즈교환식.... 죄다 거쳐왔군요 저는 ㅎ
편리함에 반해서 똑딱이를, 뭔가 아쉬워서 하이엔드를, 제대로 찍어보겠다고 렌즈교환식을.
근데 지금은 다 내려놓았어요. 24~600렌즈가 주무기인 소니 하이엔드로 갈아탄 지 몇달 됩니다

우리 지역 문화예술회관의 전시회에서 사진이 차지하는 비중이 무려 70~ 80%래요
이 정도면 나까지 설칠 이유가 없지요. 그냥 재미로 찍고, 평생 취미로 가는 거죠 뭐
고은미술관 출신 모 작가님이 문하생들을 가르치고 계신데, 지인이 2년째 그 강좌를 듣더니 하는 말
˝내 사진은 사진이 아니란 걸 깨달았어요.˝ 저는 모 작가님같은 분을 만나고 싶지는 않아요
그래서 사진 공부하러 안 다닙니다. 비싼 돈 주고 공부해서 주제 파악하고 실망할 것 같아서 ㅎㅎ

2018-12-11 11: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雨香 2018-12-12 00:1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사진을 찍는 것 보다는 보는 걸 즐기는 편인데요. 그래도 2000년대 초중반까지는 해마다 똑딱이를 하나씩 샀습니다. (아마도 7-8개) 2008년인가 니콘 하이엔드 디카를 마지막으로 지금은 폰으로만 찍고 있습니다.

최근에와잎이 엔트리급 소니 미러리스를 가지고 다니는 걸 보고 나선, 저도 엔트리레벨 미러리스를 찾아보고 있습니다. 확실히 스마트폰과는 느낌이 다르더군요.

˝액정 모니터로 보면서도 사진을 안 찍는다. 거의 대게가 뷰 파인더에 한 쪽 눈을 접안 시켜서 찍는 편이다. ˝ 카메라라는 물성이 드러나는 문장입니다만, 그래도 저는 미러리스로 ...

yureka01 2018-12-12 09:01   좋아요 2 | URL
핸드폰의 주 목적은 통화거든요..카메라는 악세사리죠..
미러리스와 체급 자체가 다르죠..주 임무와 부차적 임무의 강도차이겠지요..^^..
감사합니다~

2018-12-12 11: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12-12 11: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12-15 06: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12-18 11:5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