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팀으로 일하라 - 팀십(Teamship), 변화와 성과를 이끄는 에너지
박태현 지음 / 시그마북스 / 201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팀원들과의 소통에 있어서 상사의 위치에 있건, 팀원의 한 사람으로 있던 직장생활을 하면서 쌓이는 스트레스가 정말 만만치 않은 것이 오늘날 대부분 직장인들의 현실이 아닌가 한다. 회식자리에서 상사를 씹는 것이 하나의 안주가 되고, 그 자리에 없는 팀원의 잘잘못을 예기하는 것이 하나의 스트레스 해소 방법으로 전락해 버린 오늘날의 팀원들간의 모습이라는 것이 얼마나 인간미가 없으며, 발전이 없는 것인가! 또한 어느 여론 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팀장들이나 중간관리자들이 부하직원들의 눈치를 보면서 업무 지시를 하게 되고, 신세대의 생각과 능력을 활용해 성과를 내기보다는 그것을 묵살하거나 아니면 자신의 영역을 범하지는 않을까 하면서 방어적인 자세를 치하고 있지는 않은가!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를 있어서 과연 팀으로 일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교과서적인 책이 이 책이 아닐까 한다. 우리가 익히 아는 리더십과 팔로워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팀십(teamship)을 발휘할 때, 리더도 팀원들도 모두 성공으로 향해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 이 책을 관통하고 있는 핵심이었다.
TEAM하면 ‘같이 일하는 동료들’ 정도로 생각했던 나에게 이 책은 “Together Everyone Achieves More”라는 네 단어의 조합으로도 설명이 되며, 그러하기에 팀원들 모두가 더 많이 성취할 수 있도록, “Small & Quick Win” 전략을 써야 한다는 지혜를 가르쳐 주기도 했다. 또한 근접소통오류라는 부분을 읽으면서는 정말 우리들이 직장생활을 하면서 팀원들과의 관계에서 겪게 되는 같이 일을 하지만 친밀도가 없는, 소통이 잘 되지 않는 이유를 생각해 볼 수 있는 부분이었다.
책의 중간 정도에 있는 긍정과 부정의 비율이 5:1이 되는 팀이 높은 성과를 창출하는 팀이라는 것과, 이를 위해서는 팀원들간의 대화의 대부분을 긍정적인 것들로 채워가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칭찬, 격려, 사과, 감사, 미소, 인사”의 여섯 가지 긍정 표현을 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가를 이 책을 통해서 배웠다. 그리고 책의 후반부에 나오는 SK와이번스의 변화에 대한 예기는 정말 우리들이 고객들로부터 들려오는 소리를 어떻게 공유하고 대응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해 주는 부분이었다. 또한 애빌린 패러독스를 예기하는 부분에서는 왜 상급자의 결정이 어떤 때에는 정말 바보 같은 결정이 되어 버리는 지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책의 서두에 나오는 Team Ground Rule 은 지금 내가 리더로 있는 팀에 적용해서 같이 만들어봐야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소중한 지혜였다. 이렇듯 이 책은 여러 가지 지혜의 단편들을 담고 있는데, 그 하나하나가 실제 팀십을 이루어가지 위한 과정 중의 하나에 필요한 것들이며, 이를 위해서 저자는 책 중간 중간에 진단과 피드백을 제공하기도 하고,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다시 요약해서 설명해 주는 부분이 있어서 정말 고마웠다.
이 책이 우리들에게 주는 가장 큰 것은 매일 보는 팀원들의 얼굴을 하나 하나 생각하게 되었으며, 앞으로 팀원들을 대할 때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이 좋을까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되었다는 점이 가장 큰 수확이 아날까 한다. 또한 이 책을 통해 팀십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게 되었으며, 이 책을 팀원들과 같이 읽고 앞으로 팀으로 일하는 것이 정말 즐겁고 유쾌한 것이 될 수 있도록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