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열일곱, 364일 ㅣ 블랙 로맨스 클럽
제시카 워먼 지음, 신혜연 옮김 / 황금가지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한때 환타지 소설이 거의 모든 소설 장르에서 베스트셀러가 되어서 우리들 독자들을 유혹하던 때가 있었는데, 지금까지도 많은 청춘들이 열광하는 소설들을 보면, 로맨스와 환타지가 빠지지 않는 것을 보면, 아직도 우리들은 사랑과 환타지에 목마른 것은 아닌가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되는데, 이러한 하나의 주류에서 벗어났지만 새로운 시도로써의 소설 장르로 떠오르는 것이 블랙로맨스라는 소설장르인데, 이 장르를 “열일곱, 364일”이라는 이 소설을 통해서 읽게 되었다.
오래간만에 읽는 소설, 그것도 10대의 사랑이야기라고 생각하고 가볍게 읽기 시작했는데, 처음부터 주인공이 죽어서 유령이 되어서 등장하여 우리들 독자를 놀래게 하는 이 소설의 전개가 너무나 흥미로웠다. 그것도 유령이라는 존재를 믿지 않는 문화인 사양사회에서 이 소설이 받아들여진다는 것이 정말 또한 흥미로운 부분이었다.
무엇보다도 이 소설이 흥미가 없다면 아마도 책을 읽는 중간에 읽는 부분까지를 접어 둔 채로 다른 소설이나 책으로 갔을 지도 모르겠지만, 이 책은 이 책이 끝나는 부분까지도 나의 시선을 잡아두었다. “리지와 리츠”라는 십대의 풋풋한 사랑 예기를 기대하고 이 소설을 접했다면, 그 이상의 것을 이 소설을 읽으면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유령이 되어서 만난 친구인 알렉스, 가난하면서 늘 리즈 자신이 어울리던 무리로부터 왕따를 당해, 도서관에서 점심을 먹어야 했으며, 아르바이트 하는 곳에 와서는 10달러를 기부한다면서 리즈 자신이 가진 것을 자랑했던 기억을 떠올리게 해 주는데, 정말 이 부분을 읽으면서는 현재 대한민국의 학원 폭력이 떠오르면서, 정말 가진 다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되었다.
결국 리즈 자신이 왜 그렇게 뛰었으며, 왜 자신이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사람과 어울렸으며, 또한 자신을 학대하면서까지 그 죄의식으로부터 벗어나려 했다는 것을 나중에 알게 되면서, 기억의 조각들을 맞추어 나가다 결국 자신이 알렉스를 치어서 죽음에 이르게 했으며, 그래서 그가 아직도 세상을 떠나지 못하고 영혼으로 떠 돔을 알게 되며, 그러한 모든 것이 정리되면서 알렉스가 정말 영혼의 안식처로 떠난 이후에도 자신은 왜 세상에 남아서 아직 영혼으로 다른 사람의 삶을 지켜보는지 알 지 못했다가, 자신의 의붓여동생이 자신을 죽였으며, 그리고 이 여동생이 DNA검사를 통해 아버지의 핏줄이 아님을 알게 되면서, 자신이 이생에서 짊어졌던 굴레를 벗고, 먼저 돌아가신 어머님의 품으로 가는 것으로 결말을 맺는다.
정말 이 책은 기존의 로맨스소설과는 정말 다른 형식으로 씌여진 소설이라 처음엔 다소 어리둥절했으나, 읽으면 읽을수록 그 재미에 빠져서 책을 들고 2시간여만에 읽을 정도로 재미있는 소설이었다. 여행을 가면서, 아니면 주말 무료함을 달래기에, 또는 잠들지 않는 밤에 읽으면 정말 좋을 소설이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