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숨김없이 남김없이
김태용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0년 4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그 크기부터가 일반적인 책의 크기의 틀을 깨는 크기이며, 그 속의 여백의 활용도 여태 보아왔던 책과는 다른 점이 묘한 점이었다. 가히 매력이라고까지는 할 수 없으나, 끌림은 가져오는 그런 것이었다. 뭐랄까, 이상한 곳에 갔을 때의 새로움에 대한 동경과 더불어 모른다는 것에 대한 짜릿함에서 비롯되어 아드레날린이 생성되는 그런 느낌, 글로 표현하기 어려운 묘한 느낌이었다.
처음 김태용이라는 작가의 글을 대하다 보니, 과연 이 작가가 의도한 바가 무엇인지, 정말 소설을 쓰길 원한 건지, 아니면 언어의 유희를 즐기고 싶었던 것인지 알 수가 없었다. 책을 읽어가면 갈수록 방향을 잃고 헤매게 되며, 다시 어디에 있는지 확인을 하면서 읽어야 하는 소설, 이것이 정녕 독자들을 위한 소설이란 말인가! 아니면 글 속에서 길을 잃고 헤매는 것이 현재 현대인들이 숱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자기 자신의 길을 간다고 생각하지만, 이미 미로 속에 갇혀 버리게 되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하고자 한 것인지, 작가의 의도는 알 길이 없으나, 이 책의 말미에 있듯이, 이 소설은 읽으면서 독자들로 하여금 중간 중간에 방황하게 하면서 사색의 장으로 안내하는, 아니 독자들에게 무언가를 고민할 시간을 주는 그런 책이었다. 고민의 주제나 사색의 장에 올려 놓아야 할 개인의 감정 등은 각각의 독자들에 따라 다르리라는 생각을 하게 되면서, 이끌려서 어디론가 가는 듯한 느낌으로 이 책을 읽어 내려 갔다.
소설이라기보다는 장문의 에세이에 가까운 것도 같고, 에세이라기 보다는 산문에 가까우며, 어떻게 보면 시라고도 할 수 있는 이 소설 속의 언어적인 유희는 정말 우리가 인류사에서 만든 모든 언어들이 어떻게 우리가 부르는 그 용도나 의미로만 씌여져야 하는 지에 대한 사유를 동반하면서, 단어 하나하나가 그 다음의 의미를 이어가면서, 독자들에게 생각의 창을 제시해 주고 있었다.
감동적인 소설을 읽고 눈물을 흘리거나, 환타지 소설 등을 읽고 느끼는 신비한 경험에 대한 동경이나, 연애소설 및 추리소설을 읽고 생각할 수 있는 줄거리를 이 책에서 원하는 독자라면, 이 책은 그런 책과는 너무나 먼 사유의 글들을 나열한 하나의 퍼즐과도 같다고 감히 말하고 싶다.
너무 어렵다! 라는 말이 나올만한 소설 – 천재로 요절한 작가로 하는 ‘이상’의 소설 이후 가장 어렵다고 느껴지는 소설이었다. 정말 끝까지 읽기가 조금은 버거운 책이었기에 사유의 재미, 난제를 푸는 재미를 가진 이들에게만 이 책을 권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