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서리의 탄생
신주희 지음 / 자음과모음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를 돌보던 조선족출신 베이비시터가 아이와 함께 갑자기 사리지고 시간이 지나 중국에 외딴 항구에서 아이의 토막난 사체가 발견된다(당신은 말한다)면, 남한으로 넘어가 정착하여 살아가기 위해 얻어야 했던 임미정, 림미정, 푸셰, 219등의 이름들(네 개의 이름),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린 가족들을 찾으려고 오늘도 전단지를 주섬주섬 챙기거나(미싱 도로시), 순식간에 벌어진 그 날의 사고로 사라져야했던 아이들을 아직도 찾고 있거나 잊으려고 애쓰다 노인이 되어 딸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북극으로 떠나고(극) 학력을 위조하여 자신의 정자를 아이를 원하는 이에게 팔고(홀로, 코스트코)그렇게 생긴 아이를 두고 떠난 자리에 아버지가 아이를 오랫동안 컨테이너박스안에 가둬두고 욕구충족시키기 위해 ‘섹스돌‘과 함께 있게 하고(사막의 뼈), 아니면 장난처럼 나이많은 사람과 관계를 즐기다 뱃속에 생긴 아이를 결국에는 낙태(소녀의 난)하고 왁싱숍에서 가서 왁싱시술(브라질리언 왁싱)을 받고 그것들을 하기 위해 사채까지 써서 채권자들이 99% 채권 추심원에게 의뢰하여 추심원이 그들에게 찾아가 독촉을 하여(인어) 그 것에 못 이겨 모아놓았던 수면제를 털어 스스로 목숨을 끊게되는(점심의 연애) 이러한 이야기들을 뉴스에서 인터넷검색하면서 많이 접해보았는 데 오늘 읽은 신주희작가님의 첫 소설집 「모서리의 탄생」을 보니 ‘모서리‘라는 단어가 주는 느낌들을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육체적으로 또는 정신적으로 고통받는 인물들이 등장하는 이 소설이 낯설지가 않았는 데 아무래도 앞서 언급했듯이 뉴스나 신문기사에서 접해볼 수 있는 이야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부딪치고 깨질 때마다 불뚝불뚝 솟아오르는 날카롭고 예민한 모서리들로 인해 찔리고 베여 붉게 붓고 피가 흐르며 생기는 상처들을 볼 때마다 신주희작가님의 글들이 떠오를 것 같습니다.
그리고 재작년에 읽었던 최정화작가님의 첫 소설집 「지극히 내성적인」을 읽었을 때와 비슷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물론 보여주는 방식은 달랐지만.
앞으로 작가님의 다른 작품들도 기대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작가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