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아이
니시 카나코 지음, 권남희 옮김 / 은행나무 / 2018년 2월
평점 :
절판


2016년에 「사라바」라는 작품이 은행나무출판사에서 출간되었고 그 작가의 이름이 니시 가나코라는 것만 알고 있었고 책을 읽어보지는 않았는 데 이번에 「i 아이 = imaginary number」를 역시 은행나무출판사에서 출간되어서 읽어보았는 데 일본작가라는 것은 알고 있었는 데 내전이 있었던 시리아에서 태어나 이집트 카이로와 일본 오사카에서 자랐다는 것을 읽으면서 알게 되었음.
황은덕작가님의「우리들, 킴」, 박선희작가님의「베이비 박스」등 요즘 들어 입양에 관한 소설을 많이 접하였는 데 이번에 읽은 「아이 i」역시 시리아에서 입양된 와일드 소다 아이가 유복한 가정에서 돈 걱정 끼니 걱정 없이 가사도우미를 고용하며 편안하게 살아가고 있지만 자신으로 인해 다른 아이가 입양되지 못하였고 또 다른 아이들은 돈이 없어 굶주리고 병에 걸리거나 도둑질을 하며 살아간다는 사실에 죄책감과 미안함을 가지고 있으며 무고한 사람들이 어떤 사건 사고로 무수히 목숨을 잃는 뉴스를 보며 검은 노트에다 죽은 사람이 몇 명인지 적어두기까지 하며 재해모금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한편 학교생활에 내향적인 아이에게 미나라는 친구가 생기고 ˝이 세상에 아이(i : 수학을 좋아하지 않고 잘 못하는 데 그러니까 수학적인 표현으로 보자면 실수가 아닌 복소수인 허수의 대표 단위를 뜻함)는 존재하지 않습니다.˝에 매료되어 수학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 걸로 대학교에 들어가 수학을 전공하고 대학원까지 가게 되면서까지 부모의 금전적인 지원을 받으며 살이 급속도로 찌면서도 가난을 모르고 살아왔다는 죄책감을 갖고 있으며 사랑이라는 의미로 지은 아이는 자신이 아버지나 어머니, 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다는 사실을 오래전부터 자각하며 살아왔고 우연히 거리를 걷다 시위에 참여하게 되고 그 곳에서 아이보다 한참 연상인 유를 만나 사랑을 하게 되고 자신의 피를 물려받고 속하게 될 아이를 원하게 되는 데 아이라는 뜻이 이 소설에서는 단지 이름이 사랑을 의미하는 아이뿐만이 아니라 어디에도 속하지 않고 존재하지도 않는 ¡이기도 하고 자신의 피를 물여받고 자신의 삶의 증거이자 자신에게 속할 ‘아이‘를 뜻하기도 하는 이 소설을 읽으며 재난이나 범죄등으로 인해 누군가는 죽게 되지만 또 누군가는 그 소식을 뉴스로 접하면서 살아 남았다는 안도감과 허망하게 세상을 떠난 이들에 대한 추모를 동시에 하게 되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던 것 같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