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의 반격 - 2017년 제5회 제주 4.3 평화문학상 수상작
손원평 지음 / 은행나무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 초 출간되었던「아몬드」로 제10회 창비청소년문학상을 수상하신 손원평작가님이 연이어 제5회 제주 4.3평화문학상도 수상하셨으며 「서른의 반격」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되어서 읽어 보았습니다.
1988년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개최되었던 서울올림픽.
개막식에서 굴렁쇠를 굴리던 소년(1년전만 해도 결혼정보회사 광고에 모델로 출퇴근길에서 한번씩 보았던 기억이 나는 데 최근에 보니 모델이 바뀌었네요.)의 모습을 텔레비전으로 보며 야속하게 아이의 이름을 추봉이라 미리 짓자마자 세상을 떠나신 시아버지 때문에 곧 태어날 아이가 딸은 아니기를 바라던 엄마. 그런 엄마를 두고 아빠는 두문불출하고 결국 신호가 오자 엄마는 병원으로 혼자 가게 되고 뒤늦게 찾아온 아빠에게 아이의 이름을 새로 바꾸자며 각서까지 썼고 죽은 아버지의 유언이나 살고 있는 부인 사이를 두고 고민하다 부인의 손을 들어준 남편. 그리하여 태어난 딸의 이름이 흔하지 않던 추봉이에서 흔하디 흔한 지혜로 바뀌게 됩니다.
지혜가 초.중.고등학교를 다니면서 자신과 이름이 같은 여러명의 지혜들을 만나고 지혜(다)나 지혜(B), (작은)지혜를 거쳐서 대학교에 다니고 대학교를 졸업하고 누구나 입사하기를 희망하던 DM그룹에 지원하였으나 합격하지 못하고 DM아카데미에 인턴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살이 된지 얼마 안 된 느낌이었는 데 벌써 저도 서른을 앞두고 있을 줄은 몰랐습니다.
남들 다한다는 TOEIC이나 공무원시험준비나 스펙관리에 엄두도 못내고 허송세월만 보낸것만 같아 야속하기도 하고 후회스럽기도 합니다만,
「서른의 반격」의 지혜씨도 서른이 다 되어 인턴으로 복사, 커피심부름이나 문서작성같은 잡다한 일이나 하며 상사의 잔소리를 들으며 하루하루 근근히 버티는 와중에 커피전문점에서 교수였던 스타강사에게 많은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망신을 주었던 손등에 별문신을 한 규옥이라는 사람이 인턴으로 새로 들어오게 되면서 변함이 없던 일상에 조금씩 균열이 가기 시작합니다.
저도 사실 지혜씨처럼 잘 나서지 못하고 부당한 걸 부당하다고 말할 용기가 없는 겁쟁이라서 읽으면서 부당대우하고 부당한 상황을 겪는 모습들을 보며 분노가 치밀어올랐어요. 그걸 규옥이 나타나면서 법에 위반되지 않는 적당한 선에서 응징하는 모습들을 보며 시원한 사이다를 느끼기도 했었는 데 결국 ‘돈‘이라는 물질 앞에 무너져버리는 모습도 보면서 화가 나기도 했지만 나라고 다르지 않을 것 같아 씁쓸한 마음도 들었습니다.
저도 머지않아 곧 ‘서른‘이 되고 그 때가 되면 어떻게 될 지 어떤 모습으로 하루를 살아갈지는 몰라도 결코 조급해하지 않고 아쉽고 아깝게 되더라도 마음에 담아 두지 않고 훌훌 털어버리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