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들의 학교
박민정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령이 신체를 얻을 때」를 읽은 지가 3년이 훌쩍 넘었음에도 아직까지도 그 느낌이 남아있을 줄은 몰랐는 데, 이번에 박민정작가님이 두 번째 소설집 「아내들의 학교」를 내셨길래 읽어보니 솔직하게 첫 소설집이었던 「유령이 신체를 얻을 때」를 생각해볼 때 뭔가 더 확실해진 것 같았어요.
(행복의 과학)과 (A코에게 보낸 유서)의 초보편집자인 하나와 그의 사수이자 부당하게 허름하기 짝이 없는 물류창고로 발령났다 다시 돌아온 수영(사실 저도 이 부분에서 실제로 소설과 같은 상황을 겪으신 윤정기님이 생각이 났었는 데 작가님도 작가의 말에 언급해주셨더군요.), (당신의 나라에서-이 단편의 제목을 보며 김금희작가님의 첫 소설집 「센티멘털도 하루이틀」에 수록된 (당신의 나라에서) 가 생각이 났는 데 단순히 제목이 같아서 생각이 났던 것 같습니다. 참고로 김금희작가님의 당신의 나라에서는 일본이, 박민정작가님의 당신의 나라에서는 러시아가 배경입니다.)의 유나와 유나에게 편지를 보내던 윤지나, (청순한 마음)의 대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상담을 하는 윤수지와 그런 윤수지를 가르치던 이수지 선생, (버드아이즈 뷰)의 자살소동을 하며 SNS상에서 열사로 불려지는 재혁과 재혁의 집에서 6개월 간 살게 된 유경, 표제작인 (아내들의 학교)에서 키가 180에 달하며 붉은 머릿결이 인상적인 선과 그의 곁에 그림자처럼 머물던 선혜, 마지막으로 (천사는 마리아를 떠나갔다)의 남자친구 석준을 떠나보낸 딸 지은이와 친한 언니 필남이었던 수경과 주혜를 외면하고 떠나보낸 엄마까지 여성들의 목소리에 대해서는 잘 표현할 수는 없겠지만(단지 제가 남성이기 때문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유령이 신체를 얻을 때」의 단편 제목만으로 막연하게 어떤 이미지가 떠올랐다면 「아내들의 학교」는 한 발 더 나아가 뚜렷하게 보여지는 것 같았습니다.
그리고 제가 태어나고 얼마되지 않은 1991년에 대해, 1991년에 어떤 일이 일어났는 지 자세하게 알고 싶어졌습니다.

호 : 1. 「유령이 신체를 얻을 때」와는 조금은 다른 인상을 주는 박민정작가님의 두 번째 소설집 「아내들의 학교」에서는 뭐라 표현하기는 어렵지만 이전과는 다른 무언가가 선명해진 듯한 인상을 받았습니다.

불호 : 1. 책의 표지를 선정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란 것도 작품에 맞는 표지를 선정하기위해 고심한다는 것도 알지만 김금희작가님의 「너무 한낮의 연애」이후 문학동네에서 나온 여성작가님들의 책 표지들이 다 비슷비슷하네요. 조금은 다른 이미지였으면 하는 데 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