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고심령학자
배명훈 지음 / 북하우스 / 2017년 8월
평점 :
2009년 「타워」를 시작으로 꾸준하게 작품활동을 하신 배명훈작가님의 다섯번째 장편소설 「고고심령학자」가 출간되었고, 저는 예약구매를 해서 읽어 보게 되었습니다.
사실 ‘고고심령학자‘라는 직업이나 학문을 처음 들어봐서 어떤 일을 하고 어떤 것을 공부하는 지는 잘 몰랐는 데 이 소설을 읽고 나서 어렴풋이 알게 되는 것 같습니다.
고고심령학계의 대가인 문인지박사가 급작스럽게 세상을 떠나버리시자 살아생전 문인지박사의 연구자료나 평소에 읽었던 책들을 정리하여 데이터로 기록하는 일을 맡게 된 문인지박사의 제자이자 고고심령학자인 조은수(‘은수‘라는 이름을 배명훈작가님의 소설에서 얼핏 본 기억이 나서 찾아보니 「가마틀 스타일」에서 나오는 군요.)와 그와는 정반대의 스타일을 지닌 은수의 동료이고 친구이자 역시 고고심령학자이지만 잠시 그 길을 벗어나고 있는 김은경(작년에 나온 소설집「예술과 중력가속도」의 단편의 대부분에서 등장하는 이름이 은경이지요.), 그리고 문인지박사와 인연이 깊은 요새빙의라는 단어를 정의시킨 스위스 건축사학자 한나 파키노티 같은 고고심령학자들이 평소에서는 세상에 잘 드러나지 않게 어둡고 조용한 곳에서 연구를 하고 있었지만 예고도 없이 서울 도심 한복판에 검은 벽이 생겨나고 그 것들이 나타나는 주기가 짧아지고 좀 더 많은 곳에서 생겨나자 그 이유를 풀기위해 고고심령학자들이 저마다의 방식으로 파헤치게 되는 이야기입니다.
사실, 배명훈작가님의 작품을 나름대로 많이 읽은 편이긴 해도 「고고심령학자」같은 경우에는 뭐랄까, SF적인 요소가 다른 소설에 비해서 짙게 나타나지 않은 것 같았고 ‘고고심령학‘을 연구하는 ‘고고심령학자‘에 대한 지식이 전무하다보니 조금은 낯설게 느껴졌던 것 같았습니다.
특히 코끼리 아미타브와 수많은 변형이 일어나 생기게 된 체스, 장기, 샹치, 차투랑가같은 게임이나 구전으로 이어지고 변형되는 몬데그린현상같은 생소한 전문적인 지식들을 소설과 같이 보게 되니 낯설었던 것 같았습니다.
영혼(혼령)이 실제로 존재하는 지는 제가 직접 눈으로 보거나 영혼의 목소리같은 것을 들어본 적이 없기 때문에 확실하게 존재유무를 말할 수는 없지만 만약 제 주위에 있다면 비명지르지 않게 침착하게 대화를 나눠보고 싶습니다.
호 : 1. 꾸준하게 작품활동을 하는 배명훈작가님의 신작 장편소설 「고고심령학자」는 이전의 배명훈작가님의 소설과는 또 다른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불호 : 1. 다만 몬데그린현상이나 많은 변형으로 파생된 차투랑가, 샹치, 체스, 장기의 유래같은 다소 전문적인 내용들이 있어서 배경지식이 많지 않으면 읽으면서 조금은 생소하게 느껴지실 수 있을 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