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심령학자
배명훈 지음 / 북하우스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9년 「타워」를 시작으로 꾸준하게 작품활동을 하신 배명훈작가님의 다섯번째 장편소설 「고고심령학자」가 출간되었고, 저는 예약구매를 해서 읽어 보게 되었습니다.
사실 ‘고고심령학자‘라는 직업이나 학문을 처음 들어봐서 어떤 일을 하고 어떤 것을 공부하는 지는 잘 몰랐는 데 이 소설을 읽고 나서 어렴풋이 알게 되는 것 같습니다.
고고심령학계의 대가인 문인지박사가 급작스럽게 세상을 떠나버리시자 살아생전 문인지박사의 연구자료나 평소에 읽었던 책들을 정리하여 데이터로 기록하는 일을 맡게 된 문인지박사의 제자이자 고고심령학자인 조은수(‘은수‘라는 이름을 배명훈작가님의 소설에서 얼핏 본 기억이 나서 찾아보니 「가마틀 스타일」에서 나오는 군요.)와 그와는 정반대의 스타일을 지닌 은수의 동료이고 친구이자 역시 고고심령학자이지만 잠시 그 길을 벗어나고 있는 김은경(작년에 나온 소설집「예술과 중력가속도」의 단편의 대부분에서 등장하는 이름이 은경이지요.), 그리고 문인지박사와 인연이 깊은 요새빙의라는 단어를 정의시킨 스위스 건축사학자 한나 파키노티 같은 고고심령학자들이 평소에서는 세상에 잘 드러나지 않게 어둡고 조용한 곳에서 연구를 하고 있었지만 예고도 없이 서울 도심 한복판에 검은 벽이 생겨나고 그 것들이 나타나는 주기가 짧아지고 좀 더 많은 곳에서 생겨나자 그 이유를 풀기위해 고고심령학자들이 저마다의 방식으로 파헤치게 되는 이야기입니다.
사실, 배명훈작가님의 작품을 나름대로 많이 읽은 편이긴 해도 「고고심령학자」같은 경우에는 뭐랄까, SF적인 요소가 다른 소설에 비해서 짙게 나타나지 않은 것 같았고 ‘고고심령학‘을 연구하는 ‘고고심령학자‘에 대한 지식이 전무하다보니 조금은 낯설게 느껴졌던 것 같았습니다.
특히 코끼리 아미타브와 수많은 변형이 일어나 생기게 된 체스, 장기, 샹치, 차투랑가같은 게임이나 구전으로 이어지고 변형되는 몬데그린현상같은 생소한 전문적인 지식들을 소설과 같이 보게 되니 낯설었던 것 같았습니다.
영혼(혼령)이 실제로 존재하는 지는 제가 직접 눈으로 보거나 영혼의 목소리같은 것을 들어본 적이 없기 때문에 확실하게 존재유무를 말할 수는 없지만 만약 제 주위에 있다면 비명지르지 않게 침착하게 대화를 나눠보고 싶습니다.

호 : 1. 꾸준하게 작품활동을 하는 배명훈작가님의 신작 장편소설 「고고심령학자」는 이전의 배명훈작가님의 소설과는 또 다른 느낌을 받으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불호 : 1. 다만 몬데그린현상이나 많은 변형으로 파생된 차투랑가, 샹치, 체스, 장기의 유래같은 다소 전문적인 내용들이 있어서 배경지식이 많지 않으면 읽으면서 조금은 생소하게 느껴지실 수 있을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