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을 묻다
홍양순 지음 / 실천문학사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3년 담쟁이 문고로 출간되었던「컴 온, 졸라」로 만나봤던 홍양순작가님의 두 번째 장편소설 「가족을 묻다」를 읽어보게 되었는 데 정말이지 한 편의 영화를 본 것 같은 기분이 들었습니다.
아버지가 낚시를 하러 바다에 나갔다 실족되어 시신도 찾지 못한 채 실종선고를 받고 억대의 보험금을 지급받았고 아버지가 실종되어 시신도 찾지 못한 충격에 어머니도 대교 난간에서 유서를 남긴 채 증발이 되자 사업에 실패한 명재, 남편이 일용직을 전전하는 명희, 그리고 개인 학원을 차릴 희망을 꿈꾸며 학원에서 국어를 가르치고 있으며 예나와 연애중인 명훈이 어머니를 찾으러 전단지를 제작하여 사람들에게 나눠주고 흥신소에 의뢰하여 어머니의 휴대폰통화내역을 확인하는 등 정말 부모를 끔찍하게 여기는 듯 하지만 알라딘 책 소개에 나와있는 대로 죽은 줄로 알았던, 아니 살아있으면 안 되는 아버지가 살아있다는 소식을 접하게 되자 욕망과 본색을 드러내는 남매들의 모습이 소름끼치기는 했는 데 제가 만약 이들 남매였고 아버지의 목숨을 담보로 받은 보험금을 다시 내놓아야한다면...... 살아 돌아와서 기쁘다는 감정보다 갑자기 나타나 계획이 틀어지게 되어 원망스럽다는 감정이 앞설 수도 있겠네요.
294쪽에 있는 ‘아버지는 희망이란 놈이 그 안에 꼭꼭 감춰둔 절망을 어떻게 작동시키는지 제대로 보여줬다.‘라는 구절이 인상깊게 다가왔습니다.
가족들에게 짐이 되지 않기 위해 극단적이고 잘못된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는 모습들이 서글퍼집니다.
이 소설의 원제목이었던「햇살의 검은 시간」, 그리고 SNS투표를 재미삼아 지인에게 하셨던 「검은 하천」과 「필사적으로 누구였을까」(개인적으로는 「필사적으로 누구였을까」도 괜찮았던 것 같아요.)
최종적으로 결정된 「가족을 묻다」(처음에는 막연히 가족을 땅에 ‘묻는‘ 그런 의미이지 않을 까 생각해봤는 데 읽어보니 가족이란 어떤 것인지를 ‘묻는‘ 의미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라는 제목이 훨씬 좋았던 것 같습니다.

호 : 1. 정말 한편의 영화를 본 것 같은 기분이 들었던 홍양순작가님의 두 번째 장편소설 「가족을 묻다」의 가족들에게 짐이 되지 않기 위해 극단적이고 잘못된 선택을 할 수 밖에 없었던 부모의 심정이 이해되기도 하면서 죽은 줄로만 알았던 가족이 갑자기 살아서 돌아왔고 짐이 되지 않기 위해 의도적으로 사라지게 했다는 것을 알게 되면 살아 돌아와서 기쁜 마음보다 혼란스러운 감정이 드는 자식들의 심정도 이해가 됩니다. 그리고 형사출신 보험조사관의 강렬한 인상도 좋았습니다.

불호 : 1. 이건 지극히 개인적이고 쓸데없는 것이지만 이 소설 판권지에 인쇄, 출간된 2017년 7월 22일과 알라딘에 등록된 2017년 7월 30일과 그리고 실제 알라딘에 등록된 2017년 8월 중순. 제가 출판계에 일하고 있지는 않지만 너무 간극이 큰 것 같습니다.
(실천문학사에서 출간된 「하루코의 봄」이나 「골목에 관한 어떤 오마주」또한 각각 8월 초, 7월 말에 출간일과 실제 등록일의 간극이 커서 조금 줄였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